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Research on Gender-role Identity, Gender Discriminative Consciousness and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of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1, v.17 no.1, pp.1-17

ENDO YUMI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male oriented military culture and gender discrimination. It examined whether the experience of military service would affect the attitude of Korean college students, gender role identity, and sexism by classifying 317 college students into three groups; males who have completed military service, males who haven't completed military service, and a female group.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military experience did not enhance awareness of gender identity nor affect attitudes toward gender discrimination, but significantly enhanced masculinity in some males who completed military service was a major factor in strengthening masculinity and benevolent sexism. Second, males who completed military service and women had a more positive view of the military than males who had yet to serve in the military. Third, regardless of military experience and gender, military experience was perceived to enhance benevolent sexism towards women. Fourth, all three groups showed a strikingly positive correlation in hostile sexism and benevolent sexism. However, they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rrelation of groups. Tough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ep-rooted gender discrimination in Korean society is enhanced by military experience, it also confirms the significance and impact of the reality of the military ideology.

keywords
the experience of military service, gender role identity, hostile sexism, benevolent sexism, 군복무 경험, 성역할정체감, 성차별의식, 적대적 성차별주의, 온정적 성차별주의

Reference

1.

권오분 (2000). 군대경험의 의미화 과정을 통해서 본 군사주의 성별 정치학: 남녀공학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논문.

2.

권인숙 (2000). 우리들 삶 속의 군사주의: 여성의 군사주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여성평화아카데미 2000년 봄강좌.

3.

권인숙 (2001). 군사주의와 여성-징병제도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인권학술대회발표논문.

4.

권인숙 (2005). 대한민국은 군대다. 청년사

5.

권인숙 (2009). 군대와 성평등(양현아 편), 제 1부 4장 징병제의 여성참여: 이스라엘과 스웨덴의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119-163.

6.

김영희 (1988). 한국형 성역할검사(Korean Sex Role Inventory)개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27, 153-182.

7.

김지영, 김기범 (2005). 한국여성에게 적용 되는 사회문화적 규범의 형성과 심리적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10(2), 157-171.

8.

김현영 (2002). 병역의무와 근대적 국민정 체성의 성별정치학. 이화여자대학교 여성학과 석사논문.

9.

김혜래 (2006). 청소년의 성역할정체성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사회연구, 7(2).

10.

김혜숙, 안상수, 안미영, 고재홍, 이선희, 최인철 (2005). 적대적 성차별주의와 온정적성차별주의가 여성 하위 집단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3), 117-133.

11.

김혜숙, 장재윤 (2002). 여성 공무원 리더의 효율성, 성정체성, 삶의 만족도와 조직 성차별 문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191-208.

12.

문승숙 지음, 이현정 옮김 (2007). 군사주 의에 갇힌 근대. 도서출판 또 하나의 문화.

13.

박진환 (2004). 담론의 활용을 통한 대학 내 군대 문화의 재생산. 한양대학교 인류학과 석사논문.

14.

박진환 (2006). 韓国の大学生における軍隊 の再生産-懲役制度 ‘談話’日常的実践. Asia Culture Forum, 5-19.

15.

백종천 (1985). 군복무경험이 국민의식에 미치는 영향 분석. 현대사회연구소 85-8 연구보고.

16.

사량 (여성모임) (1993). 남성연구: 때론 밉지만 함께 가야할 반쪽에 대한보고서. 나라사랑.

17.

안상수, 김혜숙, 안미영 (2005). 한국형 양 가적성차별주의척도(K-ASI)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2), 39-66.

18.

안상수, 백영주, 김인순, 김혜숙, 김진실 (2007). 한국형 다면성별의식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9.

양현아 (2009). 공익과 인권15 군대와 성 평등,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경인문화사.

20.

오미영 (2001). 군사화에 의한 젠더위계체계강화. 신라대학교 여성학과 석사논문.

21.

유혜정 (2006). 남성 섹슈얼리티의 사회화 기제로서 군대 성문화 연구. 상지대학교 여성학과 석사논문

22.

이미경 (2003). 한반도 분단구조 속의 여성: 가부장적 군사문화지배하의 남북한 여성. 국제지역연구, 7(2), 229-253

23.

이민주 (1995). 군대경험이 권위주의와 성역할 전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대구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여성학과 석사논문.

24.

이철위 (1991). 복무청소년에 대한 관심의 전환. 청년연구, 14, 3-22.

25.

장용선 (1991). 군복무가 후기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청년연구, 14, 23-67.

26.

장필화, 조형 (1991). 한국의 성문화-남성 성문화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한국 여성 연구소. 여성학논집, 8.

27.

정진경 (1990), 한국 성역할 검사 (KSRI). 한국심리학회: 사회, 5(1), 82-92.

28.

조성숙 (1996). 군대와 남성.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발표문, 220-225.

29.

青野篤子編 (2009). ジェンダ-の心理学ハンドブック, (2) 性差別主義.ナカニシア出版

30.

Glick, P., & Fiske, S. T. (1996).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ovolent sex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491-512.

31.

Glick, P., & Fiske, S. T. (2001). Benovolent Sexism.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33, 115-188.

32.

Goodwin, S. A., & Fiske, S. T. (2001). Power and gender: The double-edged sword of ambivalence, In R. K. Unger (ED). Handbook of psychology of woman and gender. New York: Jone Wiley & Sons. pp.358-366.

33.

(宇井美代子(訳)(2004). 権力とジェンダ-: アンビバレンスという両刃の剣, 青野篤子編(2009), ジェンダ-の心理学ハンドブッ., 北大路書房.

34.

田島信元 (2005). 発達理論からの心理学入門. pp.103-136

35.

鈴木淳子、柏木惠子 (2006). ジェンダ-の心理学-心と行動への新しい視座、第2章ジェンダ-役割の態度変化と文化․社会変動.培風館

36.

Viki, G. T., Abrahams, D., & Hutchison, P. (2003). The “・rue” romantic: Benovolent sexism and paternalistic chivalry. Sex Roles, Vol.49, 533 -537.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