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청소년 놀이공간으로서 사이버 세계에서의 자기개념: 초, 중, 고, 대학생을 중심으로

Leisure activity and self-concept of adolescents in cyberspace: With specific focus o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1, v.17 no.1, pp.81-113
박영신 (인하대학교)
김의철 (인하대학교)
탁수연 (인하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사이버 환경실태와 활동내용 및 활동시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청소년 놀이공간으로서 사이버 환경을 이해하고, 이러한 사이버 세계에서 청소년의 자기개념을 학교별 성별로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1,388명(초 337, 중 326, 고 361, 대 364; 남 696, 여 692)이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 환경실태를 보면 청소년 대부분(96.9%)이 집에 컴퓨터가 있었고, 집에 컴퓨터가 있어도 PC방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사이버 활동내용으로 PC방 이용형태를 분석한 결과는, 청소년의 70.3%가 PC방에서 게임을 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정보검색, 채팅, 사이버 커뮤니티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 활동시간으로서, 1주일 평균 온라인 게임하는 시간은 5.43시간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현저하게 많이 하였다. 1주일 평균 정보검색 시간은 2.60시간이었으며, 대학생이 가장 많이 하였다. 1주일 평균 채팅하는 시간은 1.69시간이었으며, 학교별 성별 차이가 없었다. 1주일 평균 인터넷 사용하는 시간은 9.65시간이었으며, 초등학생에서 대학생으로 됨에 따라 점차 많이 사용하였다. 1주일 평균 컴퓨터 사용하는 시간은 총 10.91시간이었는데, 학교별로는 초 중 고등학생에서 대학생으로 됨에 따라, 성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더욱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였다. 넷째, 사이버공간에 있을 때의 자기로서, 초등학생과 중학생은 재미있다를, 고등학생과 대학생은 평소와 같다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다. 이외에도 여가활동을 한다, 가상인물이 된다 등이 부각되었다. 다섯째, 인터넷에서 게임할 때의 자기는, 학교별로나 성별로 모두 재미있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다. 이외에, 몰입한다. 거칠어진다, 평소와 같다 등이 지적되었다. 여섯째, 인터넷에서 채팅을 할 때의 자기도, 학교별로나 성별로 모두 재미있다는 반응이 가장 많았다. 이외에, 관심없다, 평소와 같다, 채팅안함, 대화한다 등이 부각되었다. 일곱째, 인터넷에서 친한 친구와 교류할 때의 자기도, 학교별로나 성별로 모두 재미있다가 과반수 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 대화한다, 평소와 같다, 가까워진다 등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한국 청소년들에게 친숙한 놀이공간으로 작용하고 있는 사이버공간에서의 자기개념으로 재미라는 요소가 가장 특징적으로 부각되었다.

keywords
사이버공간, 자기개념, 청소년 놀이공간, 재미, 인터넷 게임, 채팅, 친구관계, cyberspace, self-concept, leisure activity, fun, Internet games, chatting, relationship with friends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leisure activity, involvement and self-concept in cyberspace of various age groups of adolescents. A total of 1,388 students (elementary school=337, middle school=326, high school=361, university=364, consisting of 696 male and 692 femal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vast majority of adolescents (96.9%) had a computer at home, majority of adolescents visited Internet cafe. Second, 70.3% of adolescents visited Internet cafe to play Internet games, followed by engaging in information search, chatting, and participated in cyber community. Third, on average adolescents spent 5.43 hours per week playing Internet games, with more males playing Internet games than female adolescents. As for information search, the weekly average was 2.60 hours, with university students spending more time than the other groups. As for chatting, the weekly average was 1.69 hour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weekly average of Internet use was 9.65 hours, with older groups spending more time. The weekly average use of computer was 10.91 hours, with older groups spending more time and more males using more computer than females. Fourth, as for self-concept in cyberspac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ported that they had fun, while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reported that they were the same as in the regular daily life. In addition, adolescents reported that they spent leisure activity in cyberspace and they become a fictional character in cyberspace. Fifth, when they played Internet games,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adolescents reported that they had fun, followed by that they were absorbed, that they became aggressive, and that they were the same as in the regular daily life. Sixth, when they chatted on Internet,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adolescents reported that they had fun, followed by that they were not interested, that they were the same as in the regular daily life, and that they do not chat on Internet. Seventh, when they interacted with their friends on Internet,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majority of adolescents reported that they had fun, followed by that they conversed, that they were the same as in the regular daily life, and that they felt clos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adolescents view Internet as a place to spend their leisure time and that they enjoyed spending time on Internet.

keywords
사이버공간, 자기개념, 청소년 놀이공간, 재미, 인터넷 게임, 채팅, 친구관계, cyberspace, self-concept, leisure activity, fun, Internet games, chatting, relationship with friends

참고문헌

1.

고동우 (2002). 여가 경험의 변화과정: 재미진화모형.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465-471.

2.

김난옥, 박영신, 김의철 (2008). 대학생과 부모의 자기개념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164-165.

3.

김성일 (2007). 재미는 어디서 오는가?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12-13.

4.

김연정, 박영신, 김의철 (2009). 사이버 자기개념: 초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420-421.

5.

김의철, 박영신 (1999). 한국 청소년의 심리, 행동특성의 형성: 가정, 학교, 친구, 사회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1), 99-142.

6.

김의철, 박영신 (2006). 한국인의 자기 인식에 나타난 토착문화심리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4), 1-36.

7.

박영신, 김의철 (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문화심리학총서 제 5권. 서울: 교육과학사.

8.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2010). 청소년 사이버일탈에 대한 도덕적 이탈, 관계효능감, 부모 및 친구의 영향. 한국교육학회 국제학술대회 논문집, p.193.

9.

신지명, 방희정 (2008). 사회적 역할에 따른 청소년기 자기표상의 발달적 분석: 내용의 특질 및 구조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1), 89-112.

10.

이경민, 장성숙 (2004). 인터넷 중독자의 자기개념과 자기도피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743-756.

11.

이규환 (1997). 사이버 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정신병리적 현상과 대책.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67-93.

12.

이장주 (2009). 놀이문화적 관점에서 본 미디어, 인터넷 그리고 디지털 게임. 한국인간발달학회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전생애적 관점에서 본 놀이의 의미와 변화. pp.49-65.

13.

장휘숙 (2009). 종합토론: 전생애 동안 놀이의 발달과 활용. 한국인간발달학회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전생애적 관점에서 본 놀이의 의미와 변화. pp.85-88.

14.

정태연 (2009). 종합토론: 놀이에 대한 사회적 및 발달적 이해. 한국인간발달학회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전생애적 관점에서 본 놀이의 의미와 변화. pp.95-97.

15.

조은예, 최인수 (2008). 재미에 관한 아동의 암묵적 지식과 플로우와의 관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1), 115-132.

16.

최인수 (2007). 재미와 창의성.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16-17.

17.

황상민 (1997). 사이버공간에서의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 가상 공동체의식과 복합 정체성의 형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35-66.

18.

황상민 (2000). 신세대의 자기 표현과 사이버공간에서의 상호작용: 사고와 행동 양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3), 9-19.

19.

황상민 (2007). 사이버공간과 게임에서의 재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pp.20- 21.

20.

황상민, 김지연, 조희진 (2008). 사이버공간 속의 관계 맺기: 싸이월드 이용행동에 나타난 소셜 네트워크 활동 양상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9(2), 285-303.

21.

허태균 (2009). 종합토론: 우리는 연령에 따라 다른 놀이를 할까? 같은 놀이를 할까? 한국인간발달학회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전생애적 관점에서 본 놀이의 의미와 변화. pp.99-100.

22.

Cavelli-Sforza, L. L., & Feldman, M. (1981). Cultural transmission and evolution: A quantitative approach.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

Csikszen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The experience of play in work and games. SF: Jossey Bass.

24.

Csikszen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Y: Harper & Row.

25.

Huhr, H. S., Kim, U., Park, Y. S., & Kim, J. H. (2010). Conception of self in the cyberspace: With specific focus on university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Indigenous & Cultural Psychology. p.313. July 24-27. Yogyakarta, Indonesia.

26.

Huhr, H. S., Park, Y. S., Kim, U., & Kim, Y. J. (2009). Self-concept in cyber space: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8th Biennial Conference of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p.339, December 11-14, New Delhi, India.

27.

Kashima, Y., Kashima, E., Farsides, T., Kim, U., Strack, F., Werth, L., & Yuki, M. (2004). Culture and context-sensitive self: The amount and meaning of context-sensitivity of phenomenal self differ across cultures. Self and Identity, 3, 125~141.

28.

Kim, U. (2004). Relational concept of sel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behavior. Keynote address, Annual conference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July 31. Honolulu.

29.

Kim, U. & Park, Y. S. (2004). Indigenous psychologies. In C. Spielberger (Ed.), Encyclopedia of applied psychology, vol 2. 263-269. Oxford: Elsevier Academic Press.

30.

Kim, U., Park, Y. S., & Park, D. H. (1999). The Korean indigenous psychology approac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 application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8(4), 451-464.

31.

Kim, U., Yang, K. S., & Hwang, K. K. (2006), Indigenous and cultural psychology: Understanding people in context. 24-48. New York: Springer.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