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 성만족도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Types of Communication of Married Couples and Their Sexual Satisfac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1, v.17 no.2, pp.199-218
김영기 (단국대학교)
한성열 (고려대학교)
한민 (서울대학교)

초록

부부의 성만족도는 결혼생활 및 삶의 만족을 예언하는 중요한 변인이다. 또한 부부간의 성관계는 부부 상호간의 신체적, 정서적 상호작용으로서 평소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간의 성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을 부부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서울과 경기, 강원 일부지역(원주)에 거주하는 부부 688명(344쌍)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부부의 의사소통 유형과 부부 성만족도 사이에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었다. 언어적 표현을 많이 사용하는 개방형 의사소통을 할수록 높은 수준의 감정을 노출하는 고정서형 의사소통을 할수록 부부의 성만족도가 높았다. 전반적으로, 부인이 개방적이고 높은 수준의 감정을 노출하는 의사소통을 할수록 부부의 성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남편이 의사소통에 적극적일 수록 부부의 성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sexual satisfaction, types of communication, interaction, married couple, 부부, 성만족도, 결혼만족, 상호작용, 의사소통 유형

Abstract

The sexual satisfaction of married coupl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s marriage life satisfaction. And the sexual intercourse is considered as a physical and emotional communication which is related with the type of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But, former researches had conducted on the husbands or wives separately, the interactions of married couples could not be considered sufficiently. So, the purpose of present research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the type of communication and sexual satisfaction in the perspective of married couples' interactions. 344 married couples were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provinces, and data of 344 married couples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The type of married couple's communication is related with their sexu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more wives communicate actively, the more sexual satisfaction of married couples is increased.

keywords
sexual satisfaction, types of communication, interaction, married couple, 부부, 성만족도, 결혼만족, 상호작용, 의사소통 유형

참고문헌

1.

강희선, 김숙남, 장순복 (1998). 기혼 여성의 성 만족. 대한 간호학회지, 28(1). 201-209.

2.

고정애 (2004). 기혼여성의 성만족 및 일반적 의사소통과 성관련 의사소통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정혜. 채규만 (1998).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논문집.

4.

김동석 (1988). 정관수술 수용자군과 비수용자군의 성기능 및 성만족도 비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영기, 한성열, 한민 (2008). 부부의 자존감 수준과 성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2), 103-119.

6.

김요완 (2000). 부부 의사소통 유형과 성지식 수준의 성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용옥 (1991).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 후 성생활 변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윤미 (1996). 임부의 성생활에 대한 조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인숙 (1988). 부부간의 의사소통 유형 재차원에 따른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김임영 (2002). 남편과 아내의 가치관이 신혼기 부부의 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정옥, 박경규, 박순희, 안영희, 구향숙, 한동희, 전형미, 류도희, 박영숙, 이은경, 이현혜, 정복희, 김성희 (1996). 결혼과 가족. 서울: 학지사.

12.

김진영 (2005). 기혼여성의 성행동 및 성만족도와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김효현 (1996). 성생활 만족도가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 도시의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나은영, 민경환 (1998). 한국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기존 조사자료 재해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4(1), 75-93.

15.

문혜숙 (1994). 부부적응과 성적 적응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연구: 도시 중산층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박영숙, 신혜숙, 이은희, 장순복 (1999). 현대여성의 건강생활. 서울. 학지사.

17.

방영희 (2001). 임신부부의 성태도와 성만족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서선영 (2001). 결혼초기 부부관계에서 남편과 아내가 지각하는 사랑과 성. 이화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손영미, 김효창 (2009). 상호구성적 성지수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2), 241-267.

20.

송성자, 정문자 (1998). 경험적 가족치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21.

양혜주 (1997). 혈액투석환자와 신이식 환자의 삶의 질과 성생활 만족도.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양희란 (1993). 임신 부인의 성생활 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윤가현 (1998). 성 문화와 심리. 서울 : 학지사.

24.

윤진, 오경자, 이훈구, 정찬섭, 최정훈, 한종철 (1993). 인간행동의 심리적 이해. 서울: 범우사.

25.

원효종 (1984). 부부간의 의사소통양식과 의사소통 불안의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이근후 (1999). 가족해체와 부부간 성윤리.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학술대회.

27.

이민식 (1988). Derogatis 성 기능 검사의 표준화 예비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이영실 (1989). 도시 부인의 부부갈등 제 요인과 성생활 불만족의 정도.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9.

이윤수 (1998). 한국 여성의 성의식 및 성실태. 한국성의학연구소.

30.

이정순 (1991). 부부간 커뮤니케이션 유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1.

이정은, 이영호 (2000).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31-548.

32.

이홍식 (1987). 완전한 부부: 전문의가 쓴 알기 쉽고 완벽한 성의학 백과. 서울: 오늘.

33.

이혜진 (2004). 기혼 여성의 심리적 특성과 성기능간의 관련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임승락, 권정혜 (1998). 부부간 의사소통 행동과 결혼생활 만족-성차, 요구입장 차이 및 성격특성의 영향-. 한국심리학회 1998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109-124.

35.

장성숙 (2006). 한국문화에서의 부부상담: 현실역동 상담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특), 117-131.

36.

장순복 (1989). 자궁절제술 부인의 성생활 만족에 관한 요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7.

홍숙선 (2001). 기혼여성의 결혼만족: 관계 및 자율지향성과 성만족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8.

홍성묵 (2000). 사랑은 진할수록 아름답다. 서울: 명진출판.

39.

황민혜, 고재홍 (2010). 부부간 결혼가치관 차이, 오해 및 부부갈등: 의사소통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4), 779-800.

40.

Adams, B. N. (1980). The family(3rd ed) Chicago: Rand Mcnally Colledge Publishing Company

41.

Bell, R. B. & Bell, P. L. (1972). Sexual satisfaction among marriged woman. Medical Ascepts of Human Sexuality, 6, 136-144

42.

Brentton, M. (1994). 성 커뮤니케이션 소프트 [Sex communication soft]. (이민섭 역). 서울: 한이름. (원전은 1991년에 출판)

43.

Brommel, B, J. & Galvin. (1991). 의사소통과 가족관계 [Family communication cohesion and change]. (이재연, 최영희 역). 서울: 형설출판사. (원전은 1988년에 출판)

44.

Conrad, H. & Milburn, M. (2001). Sexual Intelligence. NY: Three Rivers Press.

45.

Derogatis, L. R. (1980) Psychological assessment of psychosexual functioning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3(1), 113-131.

46.

Donnelly, D. (1993). Sexually inactive marriages. Journal of Sex Research, 30, 171-179.

47.

Gilbert, S. (1976) Empirical and theoretical extentions of self-disclosure. exploration in interpersonal commnication. Gerald Miller, (Ed.). Beverly Hills: Sage Publication, 197-215

48.

Gottman, J. M., Porterfield, A. L. (1981).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nonverbal and the family, (vol. 43), 818.

49.

Hansen, J. E, Schuldt, W. J. (1984). Marital self-disclosure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6, 923.

50.

Hawkins, J. L, Weisberg, C, & Ray D. L (1977). Marital communication style and social clas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ly, 39

51.

Hawkins, J. L, Weisberg, C, & Ray D. L (1980). Spous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style : Preference, perception,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ly, 42(3), 585-593.

52.

Jorgensenm, S R, & Gandy, J. C (1980) Self-disclosure and satisfaction in marriage : The relation examuned Family Relations, 29, 281-288.

53.

Jourard, S. (1971). Some lethal aspects of the male role. Men and masculinity. Joseph Pleck and Jack Sawyer,(Ed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1-29

54.

Kaplan, H. S. (1990). 새로운 성치료 [The new sex therapy]. (박영숙, 성금영, 이근후 역). 서울: 하나의학사. (원전은 1982년에 출판)

55.

Landis. J. T., & M. G. Landis (1968). Building a successful Marriage, U. S. A. 275-301

56.

Littlejohn, S. (1983). Theories of human communication. Columbus, OH :Charles Merrill.

57.

Marokoff, P, & Gilliland, R (1993). Stress, sexual functioning, and marital satisfaction. Journal of Sex Research, 30, 43-53.

58.

Marshall, E., Krupinski, J., & Yule, V. (1970). Patterns of marital problemes in marriage guidance clients, Journal of Marrigge and the Family, 32, 138-143

59.

Means (2000). An intergrative approach to what really want Sexual satisfaction. University of Detroit Mercy.

60.

Perlman, S. D.M., & Abramson, P. R.(1982). Sexual satisfaction among marriaged and cohabiting individuals. Journal of Counselling and Clinical Psychology, 50(3), 459-460.

61.

Satir, V. (1991). 사람 만들기 [People making]. (성문선 역). 서울: 홍익제. (원전은 1972년에 출판).

62.

Stack, S, & Gundlach, J. (1992). Divorce and sex. American Sexual Behavior, 21, 359-367.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