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부적응 도식과 결혼 만족도 간의 관계: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의 조절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justment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2, v.18 no.2, pp.169-190
이지혜 (성신여자대학교)
채규만 (성신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부적응 도식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방략, 행동적 정서조절방략, 그리고 체험적 정서조절방략 각각의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기혼 남성 102명, 여성 131명으로 모두 233명이며, 부적응 도식 질문지, 정서조절방략 질문지(Emotion Regulation Strategy Questionnaire: ERSQ), 결혼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부적응 도식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인지적, 행동적,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위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부적응 도식과 결혼만족도 간 관계에서 적응적 정서조절방략(인지적, 행동적, 체험적)의 조절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각 부적응 도식 영역마다 이 3가지의 정서조절방략의 효과가 달리 나타났는데, 먼저 손상된 자율성과 타인 중심성의 부적응 도식 영역은 인지적, 행동적, 체험적 3가지 방략 모두에서 조절 효과를 보여, 이 3가지 방략들을 사용할수록 더 높은 결혼만족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절 및 거절의 부적응 도식 영역을 지닌 개인의 경우 인지적, 행동적 방략을 사용할수록, 과잉 경계 및 억제의 부적응 도식 영역을 지닌 개인은 인지적, 체험적 방략을 사용할수록 높은 결혼만족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손상된 한계의 부적응 도식 영역을 지닌 개인은 체험적 방략을 사용할 경우에만 높은 결혼만족도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함의와 한계 및 후속연구에서의 제안을 논의하였다.

keywords
부적응 도식, 결혼만족도, 정서조절방략, 조절효과, maladjustment schema, marital satisfactio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moderating effect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havior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experienti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each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ladjustment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e moderating effects fo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adjustment schema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result showed the selection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Impair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Directedness’, ‘Overvigilance and Inhibition’ as maladjustment schema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via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that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Impair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Directedness’ as maladjustment schema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via behavior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and that of ‘Impaired limits’, ‘Impaired autonomy and Performance’, ‘Other-Directedness’, ‘Overvigilance and Inhibition’ as maladjustment schema variable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via experiential regulation strategy.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부적응 도식, 결혼만족도, 정서조절방략, 조절효과, maladjustment schema, marital satisfaction, emotion regulation strategy, moderating effect

참고문헌

1.

권석만 외 공역 (2005). 심리도식치료. 서울: 학지사

2.

권은정 (2008) 이혼가정 대학생 자녀들의 비합리적 신념과 이성 친구에 대한 친밀감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미영 (1999). 결손 가정학생과 정성가정학생간의 비합리적 신념의 차이.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시연 (2008). 부적응 도식 및 스트레스와 결혼만족의 관계: 부부 지지의 매개 및 중재효과.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서정선 (2006). 부부의 결혼만족에 미치는 용서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석지은 (2008). 애착과 결혼만족과의 관계: 심리도식을 매개변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이명선 (1985). 20대 여성의 우울대응행동에 관한 연구: 대학생 집단과 환자집단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미열 (2005). 청소년기 애착과 우울증과의 관계: 초기 부적응 도식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은정 (2001). 분리 경험, 애착, 결혼만족이 기혼여성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이정은 (1999). 개인특성, 스트레스 및 부부간 의사소통과 결혼만족의 관계. 가톨릭대 석사학위 논문.

11.

이지영, 권석만 (2007). 정서조절방략 질문지의 개발: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6(4). 963-967.

12.

이지영 (2008). 정서조절방략과 정서장애의 관계 및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이지영 (2009). 정서장애와 정서조절방략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8(1) 245-261.

14.

이지영 (2009). 정서강도와 정서조절방략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8(4) 1217- 1226.

15.

이지영, 권석만 (2010). 체험적 정서조절방략의 효과.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 2한국 상담심리 2권(1)

16.

이지영 (2010). 정서조절방략이 정신 병리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9(3)

17.

임승락, 권정혜 (1998).우 울증상이 부부간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17(2), 17-3

18.

임유경 (2011). 거부민감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조절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정미현 (2008). 부적응 도식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

조성호 (2001). 한국판 도식 질문지의 요인구조.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 (1), 177-192.

21.

조성호 (2002). 초기 부적응 도식과 심리적 부적응.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775-788.

22.

지혜정 (2003). 결혼만족에 미치는 심리, 사회적 요인의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최규련 (1988). 한국 도시 부부의 결혼만족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통계청 (2007) 2006년 이혼통계결과. http:// www.nso.go.kr

25.

한혜영 (2004).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부부 조망수용과 갈등해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Baucom, D. H., Epstein, N., & Lataillade, J. J. (2002). Cognitive-behavioral couple therapy. In Gurman, A. S., & Jacobson, N. S.(Eds)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pp.26- 58).Guilford Press

27.

Cole, P. M., michel, M. K., & Teti, L. O. (1994).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A clinical perspective. In N. A. Fox (Ed.),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Biological and behavioral considerations (pp.73-100).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celopment, 59 (2-3, Serial No. 240).

28.

Eisenberg, Richard A., Fabes., Bridget C., & Murphy (1995) Relations of Shyness and Low Sociability to Regulation and Emotionality, Original Research Artic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505-517.

29.

Fosha, D. (2000). The transforming power of affect. Basic Books.

30.

Garber, j., & Dodge, K. (1991).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Greenberg, L. S. (2002). Emotion-focused therapy. Coaching clients to work through their reelings.. Washingt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32.

Gross, J. J. (1999). Emotion regulation: past, present, future. Cognition and Emotion, 13(5), 551-573.

33.

Hautzinger, M., Linden, M., & Hoffman,m N. (1982). Distressed couples with and without a depressed partners: An analysis of verbal interaction.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13, 307-314.

34.

Hinchcliffe, M., Hooper, D., & Roberts, F. J. (1978). The melancholy marriage. New York: Wiley.

35.

Hops, H., Biglan, A., Sherman, L., Arthur, J., Friedman, L., & Osteen, V. (1987). Home observations of family interaction of depressed woma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5, 341-346.

36.

Kowalik, D. L., & Gotlib,, I. H. (1987). Depression and marital interaction: Concordance between intent and perception of communic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6, 127-134.

37.

Kring, A, M., & Bachorowski, J. (1999). Emotions and psychopathology. Cognition and Emotion, 13(5), 575-599.

38.

Kring, A. M., & Werner, K. H. (2004).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pathology. In P. Philippot, & R. S. Feldman(Ed.). The regulaion of emotion (pp.359-385).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9.

Marra, T. (2005). Dialectical Behavior Therapy in Private Practice. New Harbinger Publications.

40.

Nemati, M. C., (1996). A structural model of marital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41.

Omaha, J. (2004).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emotion regulation: EMDR and bilateral stimulation for affect management.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42.

Ruscher, S. M., & Gotlib, I. H. (1988). Marital interaction patterns of couples with and Without a depressed partner. Behavior therapy, 19, 455-470.

43.

Schmidt, N. B., Jiner, T. E., Jr., Young, J., & Telch, M, J. (1995). The Schema Questionnaire: Investigati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and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 measur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9, 295-321.

44.

Southam-Gerow & Kendall (2002). Emotion regulation and understanding: implications for child psychopathology and therapy Original Research Articl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2, 189-222

45.

Stiles, T. C., & Goresta, K. G. (1989). The role of automatic negative thoughts in the development of dysphoric mood: An analogue experiment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3, 161-170.

46.

Stiles, O. E. (2004).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intimacy in young adults' romaric relationship.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Alliant International University.

47.

Weissman, M. M., & Paykel, E. S. (1974). The depressed woman: A study of social relationship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8.

Westen, D. (1994). Toward an integrative model of affect regulation: Applications to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62, 641-667.

49.

Young, J. E. (1990).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