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R&D 연구원의 완벽주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R&D Researchers' Perfectionism on Burnout: Focusing on the Mediated Effect of Self-Efficac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2, v.18 no.2, pp.261-278
서정민 (LG 화학 기술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기업 R&D 연구원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연구원에서 R&D 연구원 29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였다.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자기지향 완벽주의와 자기효능감은 소진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에서 부과된 완벽주의는 소진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사회에서 부과된 완벽주의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고 소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과 자기지향 완벽성이 소진을 감소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완벽성에 대한 기대가 타인에 의해서가 아닌 나를 위한 목표임을 인식시키기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기업 R&D 연구원,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에서 부과된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소진, R&D researc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oriented perfectionism, self-efficacy, burnout

Abstract

This study understood the influence of the company R&D researchers' perfectionism on burnout, and also verified if self-efficacy shows the mediated effect in this relation. In order for this, the data was collected for 293 R&D researchers of a research institute in Daejeon while the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urvey data,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elf- efficacy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burnout while socially-oriented perfectionism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Also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mediated in the influence of self-oriented perfectionism on burnout. In case of socially-oriented perfectionism, however, the mediated effect of self- efficacy was not significant while having direct influence on burnout. Such study results show that self- oriented perfectionism and confidence in self ability that sets up goals and carries out things have positive influence on decreasing burnout. In order to decrease burnout, it would be necessary to cognize that the expectation of perfection is the goal for myself, rather than the one by others.

keywords
기업 R&D 연구원, 자기지향 완벽주의, 사회에서 부과된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소진, R&D researc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socially-oriented perfectionism, self-efficacy, burnout

참고문헌

1.

강소영 (2005). 임상간호사의 자기효능감 및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성현 (2008). 직무특성 요인, 완벽주의, 효능감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국민건강보험공단 사례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권수련 (2002). 항공승무원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권용현 (2008). 개인-조직적합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권이경 (2005). 상담종결경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 감이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놀이치료연구. 8(1), 1-15.

6.

김경민, 박동건 (2011).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조직공정성에 대한 인식이 조직 내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7(4), 395-413.

7.

김근홍 (1998). 완벽주의 성향과 자기효능감이 우울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우진 (1999). 감정적 부조화가 직무만족과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미라, 이지연, 이인숙 (2011). 초등 교사의 기능적 완벽주의 성향과 소진의 관계: 교사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8(1), 1-15.

10.

김위수 (2011). 학업환경과 긍정정서가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부경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김은정 (2009). 직장인의 완벽주의성향과 목표성향이 성취동기와의 관계.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현정, 손정락 (2006).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자아존중감 및 우울,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2), 345-361.

13.

김혜경 (2001). 직무환경,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안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류지연 (2002). 자기효능감 및 완벽주의 성향과 지연행동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

15.

박진아, 오세진 (2011). 직무요구와 비합리적 조직문화가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4), 809-833.

16.

박형인, 남숙경, 양은주 (2011).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메타분석적 문헌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3), 457-491.

17.

손진아, 이선희 (2012). 완벽주의가 직무 탈진 및 직업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5(1), 85-103.

18.

신강현 (2003). 일반직 종사자를 위한 직무 소진 척도(MBI-GS)에 대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6(3), 1-17.

19.

오인수 (2002). 일반적 자기효능감: 개념, 측정관련 이슈와 인적자원관리 측면의 시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4(2), 23-42.

20.

이미화 (2001). 완벽주의 성향의 순기능과 역기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이수민, 양난미 (2011).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17-738.

22.

이종민 (2011). 다차원적 완벽주의와 근로자의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이형주 (2010). 상담자의 공감, 상태-특성불안,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임채은 (2011). 초등교사의 완벽주의 성향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장기보 (2003). 간호장교의 심리적 소진과 사회적지지 지각, 자기효능감의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장은주 (1997). 자기 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생활 만족도와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정승진 (1999).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8.

지은희 (2006).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차정은 (1997).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최문선, 유제민, 현명호 (2005), 평가 염려 및 개인 기준적 완벽주의와 우울간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1), 1-15.

31.

최성희 (2010). 놀이치료자의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치료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논문.

32.

최정임 (1997). 완벽주의성향, 시험불안, 학업 성취도의 관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한광현 (2003). 근로자의 감정성향에 따른 이직의향: 직무만족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41, 2197- 2215.

34.

허현정 (2004). 완벽주의 성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6.

홍지연 (2005). 청소년의 완벽주의 성향 및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홍혜영 (1995).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Appleton, P. R., Hall, H. K., & Hill, A. P. (2009). Relations between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burnout in junior-elite male athlete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0(4), 457-465.

39.

Arricale, Frank (2001). A study of burnout of counselors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Doctoral Dissertation. The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40.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eiew. 84(2), 191-215.

4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2.

Bieling, P. J., Israeli, A., Smith, J., & Antony, M. M. (2003). Making the grade: The behavioural consequences of perfectionism in the classroo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1), 163-178.

43.

Bousman, L. A. (2007). The fine line of perfectionism: Is it a strength or a weakness in the workplace?(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ebraska - Lincoln.

44.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y Today. 11, 34-52.

45.

Cordes, C. L., & Dougherty, T. W. (1993). A Review of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 621-56

46.

Cordes, S. L., Dougherty, T. W., & Blum, M. (1997). Patterns of burnout among managers and professionals: A comparison of model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8, 685-701

47.

Demerouti, E., Bakker, A. B., Nachreiner, F., & Schaufeli, W. B. (2001). The job demands- 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499-512.

48.

Hewitt, P. L., & Flett, G. L. (1989).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Canadian Psychology. 30, 339.

49.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456-470.

50.

Hurrell, J., Nelson, D. L., & Simmons, B. L. (1998). Measuring job stressors and strains: where we have been, where we are, and where we need to go.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3(4), 368-389.

51.

Jackson, S. E., Schwab, R. L., & Schuler, R. S. (1986). Toward an understanding of the burnout phenomen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4), 630-640.

52.

Jex, S. M., & Bliese, P. D. (1999). Efficacy beliefs as a moderator of impact of work-related stressor: A multilevel study. J Appl Psychol, 83(3), 349-361.

53.

Lee, C. & Bobko, P. (1994). Self-Efficacy Beliefs: Comparison of Five Measur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3), 364-369

54.

Lee, R. T., Ashforth, B. E. (1993). A longitudinal study of burnout among supervisors and manager: Comparisons between the Leiter and Maslach(1998) and Golembiewski et al,.(1986) model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4, 369-398.

55.

Lee, R. T., Ashforth, B. E. (1996). A meta- analytic examinati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2), 123-133.

56.

Locicero, K. A., & Ashby, J. S. (2000).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and self- reported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sychotherapy, 15(2), 47-56.

57.

Maslach, C., & Jackson, S. E. (1981). Maslach Burnout Inventory. Palo Al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58.

Maslach, C., Leiter, M. P. (1997). The truth about burnout: How organizations cause personal stress and what to do about it. Jossey-Bass/ pfeiffer San Francisco, CA.

59.

Maslach, C., Schaufeli, W. B., & Leiter, M. P.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60.

Mitchelson, J. K. (2009). Seeking the perfect balance: Perfectionism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2, 349-367.

61.

Mitchelson, J. K., & Burns, L. R. (1998). Career mothers and Perfectionism: Stress at work and at hom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5(3), 477-485.

62.

Pacht, A. R. (1984). Reflections on Perfection. American Psychologist, 39(4), 386-390.

63.

Schaufeli, W. B., & Enzmann (1998). The burnout companion to study and practice: A critical analysis, Taylor & Francis.

64.

Schaufeli, W. B., & Peeters, C. W. (2000). Job stress and burnout among correctional officer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Stress Management, 7(1), 19-48.

65.

Sherer, M., & Adams, N. E. (1983). Constructs Validation of the Self-Efficacy Scale. Psychological Report, 53, 899-902.

66.

Shirom, A. (1989). Burnout in work organiz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ed. Cooper, C. L. and Robertson, I. pp.25-48. New York: Wiley

67.

Slanney, R. B., Ashby, J. S., & Trippi, J. (1995). Perfection; Its measurement and career relevanc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3, 297- 390.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