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가강박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eisure Obsession Scal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3, v.19 no.2, pp.235-257
윤지연 (고려대학교)
최승혁 (고려대학교)
허태균 (고려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여가강박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여가강박을 개념화한 김용희의 연구(2008)를 바탕으로 도출한 문항들을 수정 및 통합하여 21개의 여가강박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여가강박 예비문항을 사용하여, 200명의 기혼 직장인(30~50대)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1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2개의 하위요인(여가집착, 여가고정관념)이 여가강박의 요인구조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여가강박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또 다른 기혼 직장인(30~50대) 200명의 응답자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추출한 2개 요인구조의 타당성이 지지되었고, 여가강박 척도의 총점 및 하위 요인들의 내적 합치도가 적절하였다. 전체 참가자(n=400)를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여가강박 척도가 이와 유사한 개념을 측정하는 기존 척도들과 변별되는지 확인한 결과, 여가의 부정적 경험과 관련된 여가제약 및 여가불안 척도들은 물론, 강박증적 성향을 측정하는 강박증 및 일중독 척도들과 구분됨을 확인했다. 또한, 여가강박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여가강박 정도는 여가 정보탐색, 새로운 여가 참여의향 및 여가시간 증가의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여, 여가강박 척도가 준거변인들과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개념상으로만 존재하던 여가강박의 구성요인들을 확인하고 각 하위요인의 특성을 탐색했으며, 여가강박 척도의 요인구조에 대한 안정성 및 변별타당도와 준거타당도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keywords
여가강박. 여가집착, 여가고정관념, 척도 타당화, Leisure Obsession, Leisure Preoccupation, Leisure Stereotype, Scale Valid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Leisure Obsession Scale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e scale. The Leisure Obsession Scale was developed and identified its validity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The Leisure Obsession Scale consists of two factors, which are ‘Leisure Preoccupation’ and ‘Leisure Stereotype’. Those two factors indicated the reasonable fit index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this scale displayed discriminant validity via measurement of obsession, workaholism, leisure anxiety, and leisure constraint. Also, the results of criterion valid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Leisure Obsession Scale and its subscale are correlated with measure of age, leisure information searching, intention of participation to new leisure activities, and intention of increase in leisure time. Conceptualizing leisure obsession and exploring components of leisure obsession would be valuable for understanding the nature of leisure obsession and its effects on leisure satisfaction, and suggesting more effec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in a diverse population.

keywords
여가강박. 여가집착, 여가고정관념, 척도 타당화, Leisure Obsession, Leisure Preoccupation, Leisure Stereotype, Scale Validation

참고문헌

1.

강수돌 (2006). 노동과정과 생산네트워크: 일중독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익명의 일중독자 모임 사례. 산업노동연구, 12(2), 265-289.

2.

고동우 (2007). 여가학의 이해. 서울: 세림출판.

3.

곽태홍 (2002). 주5일 근무제에 따른 여가 활동변화. 배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정훈 (2004). 테마기사: 휴가도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http://blog.naver.com/myhan2004/ 60004434399

5.

김계수 (2007).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

6.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검사 실시요강. 한양대학교 정신문화연구소.

7.

김동찬, 김선영 (1998). 연구논문: 광고에 나타난 여가활동 유형분석-월간잡지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6(1), 159-168.

8.

김용희 (2008). 여가강박의 개념화 및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의철, 박영신 (2006). 특집호: 한국 사회에서 삶의 질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한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5), 1-28.

10.

김정운 (2003). 휴테크 성공학. 서울: 명문출판사.

11.

김정운, 이장주 (2005). 여가와 삶의 질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19(2), 1-15.

12.

김진영, 고영건, 김용희, 허태균 (2009). 여가과몰입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에서의 가족만족도의 중재 효과. 여가학연구, 6(3), 157 -177.

13.

문숙재, 최자경 (2003). 진지한 여가활동 몰입과 가족여가 갈등에 관한 연구. 여가학연구, 1(1), 23-39.

14.

박근수, 유태용 (2007). 한국형 일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및조직 20(2), 81-112.

15.

박세혁 (2009). 여가스포츠 프로그램 자원봉사자들의 관여도, 만족도, 조직충실도간의 인과관계.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3), 207-217.

16.

박정희, 이은희 (2008). 청소년의 자아 정체성, 불안/우울 및 강박증과 진로미결정: 자기 통제력과 사회적 지원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1), 103-123.

17.

설순호, 권석만, 신민섭 (2007). 걱정과 강박사고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통제방략.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1), 125-144.

18.

성영신, 고동우, 정준호 (1996). 여가의 심리적 의미. 한국심리학회지: 산업및조직, 9(2), 17- 40.

19.

성한기 (2001). 한국판 사회정체화 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15(3), 33- 48.

20.

양병화 (1998). 다변량 자료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학지사.

21.

유병열 (2010). 테니스클럽 동호인들의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여가학회지, 11(2), 51-61.

22.

윤소영 (2004). 주5일 근무제와 가족복지문제. 여가학연구, 2(2), 39-51.

23.

윤소영, 유지윤, 이강욱, 김향자, 노용구 (2007). 여가정책의 영역 및 향후과제에 대한 제안 연구. 여가학연구, 5(2), 72-87.

24.

이누미야 요시유키, 김정운 (2003). 여가생활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가? 여가학연구, 1(1), 41-56.

25.

이수림, 조성호 (2012). 한국판 지혜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1), 1-26.

26.

이순묵 (2000). 요인분석의 기초. 서울: 교육과학사.

27.

이종길 (1992). 사회체육활동과 생활만족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이천희, 김민석 (2001). 주5일 근무제에 따른 여가의 전망과 대책.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20, 113-122.

29.

장 훈, 한성열 (2010). 몰입 (flow) 기능의 재구성: 몰입과 행복 관계에 대한 타인맥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24(4), 43.

30.

지현진, 이철원 (2003). 여가, 레크리에이션: 보편적 여가제약 척도의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42(5), 441- 449.

31.

탁진국 (1996). 심리검사. 서울: 학지사

32.

최균호 (2003). 더 적게 일하면 불행해지는가? 한국여가문화학회 연차학술발표논문집, 105-116.

3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06). 2006 여가백서. 문화체육관광부.

34.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2012 국민여가활동조사. 문화체육관광부

35.

한국소비자보호원 소비자교육국 소비문화팀 (2004). 여가의식 및 여가활동 실태조사. 한국소비자보호원.

36.

한국여가문화학회 (2012). 주 40시간 근무제 확대에 따른 가족단위 여가문화활동 및 여가문화자원 나눔의 통합 활성화 방안. 한국여가문화학회.

37.

허태균, 박정열 (2004). 실패한 여가의 심리학적 의미: 무슨 여가를 왜 실패하는가? 여가학연구, 2(1), 69-85.

38.

홍성희 (1996). 주부의 가족여가활동 참여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2), 71-84.

39.

홍세희 (2000). 특별기고: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0.

Ahrens, A. H. & Alloy, L. B. (1997). Social comparison processes in depression, In B. Buunk & F. X. Gibbons (Eds.), Health, coping and well-being: Perspectives from social comparison theory (pp.389-410). Mahwah, NJ: Erlbaum.

41.

Argyle, M. (1987). The psychology of happiness. Methuen London.

42.

Barnett, L. A. (2005). Measuring the ABCs of leisure experience: Awareness, boredom, challenge, distress. Leisure sciences, 27(2), 131- 155.

43.

Buunk, B. & Gibbons, F. X. (1997). Health, coping and well-being: Perspectives from social comparison theory. Mahwah, NJ: Erlbaum.

44.

Caltabiano. M. L. (1994). Measuring the similarity among leisure activities based on a perceived stress-reduction benefit. Leisure Studies, 13, 17-31.

45.

Coleman, D. & Iso-Ahola, S. E. (1993). Leisure and health: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elf-determinat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5, 111-128.

46.

Crawford, D. W., & Godbey, G. (1987). Reconceptualizing barriers to family leisure. Leisure sciences 9(2), 119-127.

47.

Diener, E. (1984). Assession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 103-157.

48.

Driver, B. L., Brown, P. J., & Peterson, G. L. (1991). Benefits of Leisure. State College(Eds.), PA: Venture Publishing, Inc.

49.

Festinger, L. (1954).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Bobbs-Merrill.

50.

Festinger. L. (1957). A Theory of cognitive dissonance. IL: Row. Peterson.

51.

Goff, S. J., Fick, D. S., & Oppliger, R. A. (1997). The moderating effect of spouse support on the relation between serious leisure and spouses' perceived leisure-family conflict.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9, 47-60.

52.

Higgins, E. T. (1998).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0, 1-46.

53.

Iso-Ahola, S. E. (1997). A psychological analysis of leisure and health. pp.131-144 In. J. T. Haworth (ed.), Work, leisure and well-being. London: Routledge.

54.

Iso-Ahola. S. E., & Park, C. J. (1996). Leisure- related social support and self-determination as buffers of stress-illness relationship.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8. 169-187.

55.

Jones, C. D., Hollenhorst, S. J., Perna, F., & Selin, S. (2000). Validation of the flow theory in an on-site whitewater kayaking setting. Journal of Leisure Research, 32(2), 247-261.

56.

Kahneman, D. (1999). Objective happiness. In Kahneman, D., Diener, E., & Schwarz, N. (Eds.), Well-being; The foundations of hedonic psychology (pp.3-25). NY: Russell Sage Foundation.

57.

Kelly, J. R. (1994). Multiple dimensions of meaning in the domains of work, family, and leisur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6, 250-250.

58.

Monat, A., Averill, J. R., & Lazarus, R. S. (1972). Anticipatory stress and coping reactions under various conditions of uncertain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4(2), 237-253.

59.

Myers, D. G.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1), 10.

60.

Ordonez, L. D. & Connolly, T. (2000). Regret and Responsibility: A Reply to Zeelenberg et al. (1998).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81(1), 132-142.

61.

Orthner, D. K. & Mancini, J. A. (1990). Leisure impacts on family interaction and cohesion.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2(2), 125-137.

62.

Pavot, W., & Diener, E. (1993).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5(2), 164.

63.

Stebbins, R. A. (1992). Amateurs, Professionals, and serious leisure. Montreal, PQ: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64.

Thoman, D. B. & Sansone, C. (2007). Talking about interest: Exploring the role of social interaction for regulating motivation and the interest experienc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8(3), 335-370.

65.

Zeelenberg, M. (1999). Anticipated regret, expected feedback and behavioral decision making.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12, 93-106.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