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elf-concept in the cyberspace, self-efficacy, relationship with friends,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grade among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and those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A total of 1,057 adolescents (male=545, female=512), 326 from middle school, 361 from high school, and 370 from special education schoo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qualitative analysis of the conception of self in the cyberspace indicates that those adolescents addicted to Internet reported that in the cyberspace they have fun, followed by they are the same as in real life, they spend time in cyberspace and they can become an imaginary person. Those adolescents not addicted to Internet reported that in the cyberspace they are the same as in real life, followed by they spend time in cyberspace and they can become an imaginary person. When they play Internet games, majority of adolescents in both groups reported that it is fun, followed by they become engrossed and they become aggressive. Second, those adolescents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had higher scores on self-efficacy than those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including self-regulatory efficacy for learning, relational efficacy, and resiliency of efficacy. Third, the number of friends and close friends that adolescents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However, those adolescents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were more likely receive social support from friends and were less likely to be social excluded than those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Fourth, those adolescents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subjective well-being than those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Fifth, those adolescents who are not addicted to Internet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academic grade than those adolescents who are addicted to Internet.
권석만 (1996). 자기개념의 인지적 구조와 측정도구의 개발: 서울대학생 표집의 자기개념 특성. 서울대학교 학생연구, 31(1), 11- 38.
권재환, 이은희 (2005). 판별분석을 이용한 게임중독 청소년들의 심리적 사회환경적 특성 예측.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1), 95- 112.
권정혜 (2005).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 중독: 시간에 따른 변화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67-280.
권희경, 권정혜 (2002). 인터넷 사용조절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3), 503-514.
김광수 (2002). 인터넷 중독과 청소년 소외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1), 5-21.
김교헌, 최훈석 (2008). 인터넷 게임중독: 자기조절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51-569.
김보연, 서경현 (2012). 고등학생의 폰 중독 및 인터넷 게임중독과 스트레스 반응: 수면 부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2), 385-398.
김수정, 박원모, 박상복 (2007). 초등학교 고학년의 인터넷 중독 관련변인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4(2), 193-211.
김신희, 안창일 (2005). 인터넷 게임중독자의 성격 및 의사결정 방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4), 415-430.
김영경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현재 도박행동과 미래 도박행동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중독과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1), 175-195.
김은정 (2005). 폭력적 컴퓨터 게임과 공격적 비행, 인터넷 비행 및 인터넷 게임중독과의 관계: 청소년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359-377.
김종범, 한종철 (2001). 인터넷 중독 하위 집단의 특성 연구: 자존감, 공격성, 외로움,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207-219.
김지경, 곽호완, 장문선, 구본훈 (2012). 인터넷 중독 성향과 사용유형에 따른 충동성과 플로우 경험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4), 1041-1057.
김청택, 김동일, 박중규, 이수진 (2002). 한국형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정보통신연구진흥원.
만프레드 슈피처 (2013). 디지털치매: 머리를 쓰지 않는 똑똑한 바보들. 서울: 북로드.
박경애, 김희수, 이화자, 김옥희 (2009). 가족과 개인변인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41- 51.
박영신, 김의철 (2009a).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 한국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특집호, 95-132.
박영신, 김의철 (2009b). 한국 청소년의 행복: 심리적, 관계적, 경제적 자원과 학업성취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3), 399-429.
박영신, 김의철 (2009c). 한국 성인 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3), 467-495.
박영신, 김의철 (2010). 친구가 청소년의 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부모자녀 갈등 및 부모의 통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3), 385-422.
박영신, 김의철, 박영균 (2010). 세대 차이와 갈등은 삶의 질을 낮추는가?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3), 533- 559.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2011a). 청소년 놀이공간으로서 사이버 세계에서의 자기개념: 초, 중, 고,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7(1), 특집호, 81-113.
박영신, 김의철, 탁수연 (2011b). 청소년 사이버 일탈행동에 대한 부모, 친구, 도덕적이탈 및 관계효능감의 영향. 교육심리연구, 25(3), 617-645.
박영신, 박영균, 김의철, 한기혜 (2011).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학업성취와 삶의 질: 지역, 부모의 기대, 부모자녀갈등,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2(3), 5-41.
서승연, 이영호 (2007).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몰두 성향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391-405.
성한기, 안경옥 (2005). 인터넷 사용유형과 중독수준에 따른 친구관계 및 가상공간의 현실지각.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4), 475-488.
소선숙, 명재신, 김청송 (201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의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3), 521-535.
위지희, 채규만 (2004).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성향과 심리사회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397-416.
이경민, 장성숙 (2004). 인터넷 중독자의 자기개념과 자기도피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743-756.
이경선, 이지연, 장진이 (2013). 부모와의 애착과 중독적인 인터넷 사용의 관계: 친밀한 관계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91-106.
이계원 (2001). 청소년이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만제 (2009). 대인 커뮤니케이션 특성 및 자아성향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 호피성향, 가족커뮤니케이션 유형,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1(3), 99-127.
이소영, 권정혜 (2001). 인터넷 게임의 중독적 사용이 청소년의 문제해결 능력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1), 67-80.
이수진 (2008).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변인이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2), 175-192.
이수진, 홍세희, 박중규 (2005).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개인적, 가족적 변인간의 연구: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연관성. 교육심리연구, 19(4), 1179-1197.
이정윤 (2005). 인터넷중독 하위유형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12(1), 43-61.
이해경 (2002). 인터넷 상에서 청소년들의 폭력게임 중독을 예측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4), 55-79.
이형하 (2003). 인터넷 중독정도가 도서지역 청소년의 심리정서, 행동, 학업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4), 263-288.
이희경 (2003). 청소년의 게임 이용요인과 개인사회적 요인이 게임 몰입과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0(4), 355- 380.
임은미 (2003). 중고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업동기 및 인터넷 중독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2), 355-370.
임지영 (2009). 인터넷 중독과 알코올 남용 위험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 MMPI-A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2), 629-638.
장미경, 이은경, 장재홍, 이자영, 김은영, 이문희 (2004). 게임장르에 따른 게임중독, 인터넷 사용욕구 및 심리사회 변인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705-722.
장재홍 (2004).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 사용욕구를 매개로. 상담학연구, 5(1), 113- 128.
주세진 (2008). 초등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과 심리적 영향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7(1), 46-54.
Bandura, A. (1995). Manual for the construction of self-efficacy scales. Unpublished manuscript, Dept. of Psychology, Stanford University, USA.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and Company.
Cohen, S., & Hoberman, H.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 99-125.
Diener, E., Emmons, R. S.,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 75.
Kraut, R., & Patterson, M. (1998). Internet paradox: The generality and dynamics of conceptual tempo.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71, 17-24.
Shapira, N. A., Goldsmith, T. D., Keck, P. E. Jr., Khosla, U. M., & McElroy, S. L. (1999). Psychiatric features of individuals with problematic internet us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57, 267-272.
Young, K. S., Rogers, R.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1), 2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