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자기존중감 및 통제소재가 병사의 군 적응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매개 효과

Effects of Self-esteem, Locus of Control to Military Life on Soldiers Adjusting: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5, v.21 no.3, pp.299-315
이주희 (성신여자대학교)
김정규 (성신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된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요인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구조 모형을 검증함으로써 군 적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소재 육군 소속 이병에서 병장까지의 현역 병사 44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자기 보고식 질문지를 통해서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 군 적응이 측정되었다. 신뢰도 검사를 통해 각 척도의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연구모형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자기존중감, 내적 통제와 같은 내적 특성이 각각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적극적 대처, 사회적 지지가 군 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적 통제, 자기존중감이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를 통해 군 적응에 영향을 미친다. 이는 사회적 지지와 적극적 대처 방식이 내적 특성과 군 적응 사이의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함을 밝힌 것이다. 본 연구는 개인의 내적 특성과 적응 간의 연구들에 제한점을 주는 것으로 사회적 지지 체계의 확립이나 대처 행동 훈련과 같은 개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keywords
Soldiers Adjusting to Military Life, self esteem,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Stress Coping Strategies, 군 적응,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correlations among factors that reportedly affect adjustment to military life: self esteem,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study also attempts to validate the structural model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adjusting to the military lif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47 listed soldiers from private to sergeant currently stationed and serving in an army post in Gangwon-Do, Korea. The following tools were used for this study. Based on self-inventory questionnaires, evaluations were made regarding self esteem,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stress management, adaptation to military life. Reliability of each criterion was evaluated based on reliability examination, correlations among parameters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alidat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ternal control and self esteem have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Second, internal control and self esteem affect adjusting to military life through social support and active coping, two factors mediated in this study to act as parameters between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and military adaption. This study emphasizes intervention such as establishment of a social support system and training for taking necessary actions as limitations of studies dealing with internal traits and military adaptation. Si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osen from an army based in a single location for convenience' sake, it may be difficult to generalize the results to analyze the entire military.

keywords
Soldiers Adjusting to Military Life, self esteem, Locus of control, Social Support, Stress Coping Strategies, 군 적응, 자기존중감, 통제소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대처 방식

참고문헌

1.

구승신 (2004).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권승미 (2003). 병사들의 스트레스와 사회 적 지지가 정서적 상태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계수 (2006).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4.

김상훈 (1987). 병사들의 스트레스 해소방 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선옥 (1991). 일부 청년기 대상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윤근 (2007). 병사들의 군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주는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윤회 (1991). 병사들의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정희 (1995). 스트레스 평가와 대처의 정서적 경험에 대한 관계. 한국심리 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7(1), 44-69.

9.

김정희, 이장호 (1985). 스트레스 대처방식 의 구성요인 및 우울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행동과학연구소: 행동과학 연구 7.

10.

김정희 (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방식의 영향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논문쓰기. 커뮤니케이션북스. 150-152.

12.

김은정, 이정윤, 오경자 (1992).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및 대처 행동이 대학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6개월간의 추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92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525-534.

13.

김혜정 (2006). 병사들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임파워먼트 및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효영 (1999). 군인의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김흥수 (1990). 군 조직에서의 병사들의 스트레스 관리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나원대 (2006). 부적응 병사 조기 적응을 위한 사회 복지사 활용 방안.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광배 (2000). 다변량 분석. 학지사.

18.

박선하 (1997). 병사들의 적응과 관련된 변인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9.

배병렬 (2005). 구조방정식모델 이해와 활용. 도서출판 청람.

20.

손희락 (2001). 신세대 장병의 스트레스가 부대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송경재, 한 민, 배준성, 한성열 (2010). 입대 동기가 육군 병사와 해병대원의 군 생활과 미래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4), 468-485

22.

신응섭 (1998). 군복무 부적응자의 심리적 특성 분석. 육군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

23.

신태수 (1981). 군대조직 구성원의 자아정 체감과 군대 생활에의 적응과의 연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양현정 (2003).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안정성 및 수준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여영진 (2003). 아동의 성격특성 및 사회적 지지 지각과 스트레스 대처행동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유병국 (2006). 적응장애로 입원한 병사와 일반병사의 정신병리 비교분석. 아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 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교육심리학회지, 18(1), 398-408.

28.

윤기현 (2004). 군 병사의 자살사고 원인분석과 예방대책: 육군 현역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이경아, 정현희 (1998). 스트레스, 자아존중 감 및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693-704.

30.

이수림 (2013). 외상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319-341.

31.

이옥주 (2003). 성격특성과 스트레스 대처 양식이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성격, 17(3), 77-85.

32.

이전아, 김영환 (2002). 스트레스 적응에서 성격특성, 사회적 지지, 대처 방략의 구조모형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집, 2002(0), 549-561.

33.

장인협, 오세란 (1996). 사회적 지지체계론: 기초이론과 실천사례. 사회복지 연구소. 123- 125.

34.

장정기, 고재량, 김경순 (2014). 해병대 병사가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와 군생활 적응간의 구조관계적 분석. 한국군사회복지학회, 7(1), 97-125.

35.

정희정 (2007). 군 장병의 스트레스 대처유형과 군 생활 적응. 경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조순영 (2003). 병사들의 건강증진 행위, 정신건강, 군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현혜순 (2007). 병사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39.

Folkman, S., & Lazarus, R. S. (1980). A 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 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46, 839-852.

40.

Folkman, S. (1984). Personality character istics and coping pattern.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5, 229-244.

41.

Holahan, C. J., & Moos, R. H. (1987). In teraction of cognitive appraisals of s tressful events and coping: Testing t he goodness of fit hypothesi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1, 473-485.

42.

Holahan, C. J., & Moos, R. H. (1990). Life stressor, resistance factor, and psychological health: An extension of t he stress-resisstance paradig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909-917.

43.

Holahan, C. J., Moos, R. H. (1991). Life stressors, personal and social resources, and depression: A 4-year structural model.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 31-38.

44.

Leary, M. R., & Baumeister, R. F. (2000). The nurture and function of self-esteem: Sociometer theory.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32, 1-62.

45.

Thoist, P. A. (1995).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process: Where are we? What next?. Jounal of Health and Society Behavior, 35, 53-79.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