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 study of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elementary students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5, v.21 no.4, pp.719-738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distress an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elementary students in our society and to identify replaceable resources related to their school adjustment. For this, semi-structured interview consisting of questions related to these issues was conducted to 14 multi-cultural elementary students of 3rd to 6th grade who were living in a metropolitan area.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ased on Giorgi’s(1985) method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which led to three dimensions in relation to elementary school adjustment: individual, relationship, and societal dimensions. Also, for school adjustment, education was found to be needed at the level of individuals, family, and multi-cultural cognition. Lastly, as for multi-cultural elementary students to adjust well not only at the school but also in Korean society overall, they must have positive national identity and multi-cultural recognition. Finally, their school adjustment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se findings.

keywords
다문화, 초등학생, 학교생활적응, 현상학적 연구, Multi-culture, Elementary school children, School adjustment, and Method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Reference

1.

고성희, 임성택 (2010). 한국형 부모-자녀관계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41(1), 45-64.

2.

고유미 (2009). 다문화 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곽한영 (2010). 다문화 교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헌법상의 교육권 개념을 중심으로. 법교육연구, 5(1), 01-26.

4.

국제신문, 2015. 3. 17. 기사

5.

김근영, 곽금주, 배소영 (2009). 다문화가정 연구개관과 향후 방향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3), 571-597.

6.

김동현, 이규미 (2012). 초등학생의 사회적 행동특성과 또래지위 관계에서 교사 선호도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1), 1-24.

7.

김성희, 정옥분 (2011).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및 또래관계. 인간발달연구, 18(3), 69-92.

8.

김아영, 김수인 (2011). 여성국제결혼가정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관련 심리적 특성 비교. 교육심리연구, 25(4), 853-873.

9.

김은미, 양옥경, 이해영 (2009). 다문화사회, 한국. 서울: 나남출판사.

10.

김혜온 (2012). 다문화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서울: 학지사.

11.

김태준 (2004). 우리사회 시민의식 실태와 교육 함의: 비판의식 및 다양성 존중의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31(3), 333-354.

12.

문은식 (2002).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행동에 관련된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민하영, 권기남 (2004).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정체감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5(2), 81-92.

14.

박우람, 홍상황 (2014).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내현적 자기애와의 종단적 인과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1(3), 455-477.

15.

박은미, 박준성, 정태연 (2009). 새터민 대학생의 적응에 스트레스 및 중재변인이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연구, 17(3), 285-293.

16.

박준성, 안혜정, 정태연 (2013).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의 조절효과. 스트레스연구, 21(1), 51- 60.

17.

박준성, 허성호, 전미연, 정태연 (2015). 남한에서 조선족 직장여성의 문화적응.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1), 21-43.

18.

박현선 (2003). 청소년의 학업중퇴 적응과정에 대한 현실기반이론적 접근. 우리사회복지학, 53, 75-104.

19.

설경옥, 정승원 (2013). 초등학생의 개인 및 부모환경요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학교소속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1), 41-58.

20.

설동훈 외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보건복지부.

21.

심상민 (2011). 다문화 가정 자녀 대상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및 내용, 교수-학습 모형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48, 115-140.

22.

양계민 (2015). 북한이탈주민이 국내 다문화집단에 대하여 지니는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3), 165-193.

23.

오세진 외 (2010). 인간행동과 심리학 제3판. 서울: 학지사.

24.

오옥선 (2014).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정정서, 심리적 안녕감 및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1), 45-65.

25.

오옥선, 김성봉 (2012). 근거이론 패러다임 모형으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경험 들여다보기.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2), 235-260.

26.

유민봉, 심형인 (2012).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457-485.

27.

은선경 (2010).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33, 37-74.

28.

이경님 (2008). 남녀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6(2), 1-12.

29.

이석형 (2008). 다문화가정 실태와 문제점에 관한 연구. 신학과 목회, 30, 1-25.

30.

이지연, 김문희, 한수진, 장진이 (2013). 성공적인 다문화 가정 학부모 상담을 위한 필요 요인에 대한 개념도.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1), 1-18.

31.

이진숙 (2004). 취학전 시기의 모-자녀관계, 교사 및 또래관계가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단기종단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4), 333-357.

32.

이태희 (2006). 집단따돌림과 학교생활적응에 따른 학교사회복지서비스 접근방안.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임수진, 안진홍 (2012). 아동의 어머니 애착과 학교적응에서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2), 331-345.

34.

임지현 (2009). 아동의 또래관계와 사회적 기술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전성희 (2010). 다문화가정 자녀의 모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정옥분 (2013). 발달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37.

정천석, 강기정 (2008).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생활적응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3(1), 5-23.

38.

제갈종기 (2007). 다문화가정 아동들의 학교적응.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9.

최성보 (2011).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4(2), 105- 130.

40.

행정안전부. 2008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실태조사.

41.

홍성훈, 김희수 (2005).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사의 행동과 학생의 애착안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6(1), 33-53.

42.

Alloy, L. B., & Abramson, L. T. (1988) Depressive realism: Four theoretical approaches. In L. B. Alloy (ed.), Cognitive processes in depression. New York: Guilford Press.

43.

Berk, L. E. (2010). Development through the lifespan, 5th. Boston: Pearson.

44.

Brown, J. D., & Mankowski T. A. (1993). Self-esteem, mood, and self-evaluation: changes in mood and the way you see you.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3), 421-430.

45.

Bukowski, W. M., & Hoza, B. (1989). Popularity and friendship: Issue in theory, measurement, and outcome. In T. J. Berndt, & G. W. Ladd (eds.), Peer relations in child development(pp. 15-45). Wiley, New York.

46.

Giorgi, A. (1985). (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47.

Hall, G. (2010). Multicultural psychology, 2nd. New York: Pearson Education Inc.

48.

Hofstede, G., & Hofstede, G. J. (2005).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2nd. New York: McGraw-Hill.

49.

Hurtado, S. (2005). The next generation of diversity and intergroup relations research. Journal of Social Issue, 62, 595-610.

50.

Jussim, L., Ashmore, R. D., & Wilder, D. (2001).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conflict. In L. Jussim, Ashmore, R. D., & Wilder, D. (Eds), Social Identity, Intergroup Conflict, and Conflict Reduc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1.

Lafreniere, P. J., & Sroufe, L. A. (1985). Profiles of peer competence in the preschool: Interrelations between measures, influence of social ecology, and relation to attachment history. Development Psychology. 21: 56-69.

5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3.

Santrock, J. (2011). Life-span development, 3rd. New York: McGraw-Hill.

54.

Sommers, S. (2006). On racial diversity and group decision making: Identifying multiple effects of racial composition on jury delib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0, 597-612.

55.

Tropp, L., & Pettigrew, T. (2005). Relationships between intergroup contact and prejudice among minority and majority status groups. Psychological Science, 16, 951-957.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