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된 행동 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Ajzen, 1991)에 입각하여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을 고찰하는 것으로, 노년기 행동에 대한 참여 과정에 대한 동기화 과정을 비교하였다. 이러한 동기화 요소로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 각각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행동 통제감을 연구하였으며, 이 세 요소가 노후준비라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노후준비의 세부요소가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 각각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를 함께 검증하였다. 50∼69세의 중고령 근로자 192명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 활동적 노년에 대해서는 주로 태도와 행동 통제감이 노후준비를 통해서 활동적 노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생산적 노년에 대해서는 규범과 행동 통제감이 노후준비를 매개로 생산적 노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 활동적 노년에 대해서는 사회적 노후준비를 매개변인으로 했을 때 간접효과가 유의미했으며, 생산적 노년에 대해서는 정서적 및 사회적 노후준비를 매개변인으로 했을 때 간접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근로자의 활동적 노년과 생산적 노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rational process of active ageing and productive aging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effect of post-retirement may be influenced by attitude, subjective norm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or old aged workers, then we tested the effect of mediating role of post-retirement preparation on active ageing and productive aging. And we conducted additional analyses of mediating role of post-retirement preparation respectively. Conducting a survey research to 192 employed old aged workers, the data was analyz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e positive effects of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active ageing through post-retirement preparation. There were negative effect of subjective norms and positive effect of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n productive aging through post-retirement preparation. According to additional analyses,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ost-retirement preparation was significant on active age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and social post-retirement preparation was significant on productive aging.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findings.
강신기, 조성숙 (2013). 중년층의 재무교육 및 퇴직태도가 노후준비인식에 미치는 영향 요인. 디지털정책연구, 11(11), 117-132.
강현욱, 김지태 (2009). 노인의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효능감이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3(3), 57-68.
김가옥 (2009). 성인기의 노화사실 인지정도, 노인에 대한 태도에 따른 노후생활 준비의식과 행동.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광석 (2014). 고령화에 따른 노년부양부담과 시사점. 현안과 과제, 14-41호. 현대경제연구원.
김기태 (2004). 장년층 노후준비 태도에 대한 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남진 (1999). 규칙적인 운동 참여 여부와 그 정도가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19(3), 51-64.
김동열 (2016). 경제적 행복의 장애물 ‘노후준비 부족’, 경제주평 16-2호, 현대경제연구원.
김미령 (2013).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62, 257-287.
김재희, 김 욱 (2013). 노인의 노후준비가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62, 231-256.
김주성, 최수일 (2010).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3), 97-119.
김지영 (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태유 (2013). 은퇴가 없는 나라: 국가 경제를 이모작 하라. 삼성경제연구소..
나항진 (2004).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1), 53-70.
박창제 (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 297.
박현식 (2012). 베이비부머의 노후준비와 성공적 노후 관계 연구. 노인복지연구, 58, 281-302..
방하남, 신인철 (2011). 강요된 선택: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재취업의 동학분석. 한국사회학, 45(1), 73-108.
배계희 (1988). 중년기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배문조 (2009). 중년기 성인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3), 1107-1122.
보건복지부 (2011). 2011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성혜영, 조희선 (2006). Rowe 와 Kahn 의 구성요소를 활용한 성공적 노화 모델. 한국노년학, 26(1), 105-123.
신수민 (2013). 과거 노후준비가 노년기의 활동성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적 자원의 매개효과. 사회복지연구, 44(3), 57-83.
유 경, 장재윤, 한태영, 이주일 (2014). 활동적 노년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노년학, 34(3), 613-630.
유 진, 이선애 (2008). 고령자 운동지속 행동의 사회심리적 결정요인 분석. 한국노년학, 28(4), 1213-1225.
이미선 (2012). 베이비붐세대의 노부모 부양과 노후준비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주일, 강연욱, 김지현, 유경 (2011). 생산적 노화에 대한 세대간 인식차 및 생산적 노화 척도의 타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1), 1-27.
이현주, 한태영 (2014). 중장년 근로자의 퇴직 후 경력을 위한 주도적 경력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7(1), 221-248.
장휘숙 (2012). 성인발달 및 노화심리학 제2판. 서울: 박영사.
전미영 (2003). 통합적 건강관리 프로그램이 노인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노년학, 23(3), 1-13.
정경희, 이윤경, 윤지은 (2009). 노인의 생산활동 실태 및 경제적 가치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옥분 (2009). 발달심리학: 전생애 인간발달. 학지사.
조성남 (2004). 에이지붐 시대: 고령화 사회의 미래와 도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최희경 (2010). “신노년” 정책 담론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활동적 노화, 성공적 노화, 생산적 노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17(3), 41-65.
통계청 (2014). 2014 고령자 통계. 통계청.
한경혜, 손정연 (2012).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과정, 경제적, 관계적 자원과 심리적 복지감: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8, 291-330.
한덕웅 (2012). 인간의 동기심리. 박영사.
황기돈 (2013). 연령관리(Age Management) - 기업의 장년고용 촉진전략. 고용이슈 제6권, 6-28.
황승일 (2000). 초기노인의 노후관련 태도와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dams, G. A., & Rau, B. L. (2011). Putting off tomorrow to do what you want today: planning for retirement. American Psychologist, 66(3), 180-192.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2), 179-211.
Ajzen, I. (2002). Constructing a TPB questionnaire: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Armitage, C. J., & Conner, M. (2001). Efficacy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eta-analytic review.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0, 471-499.
Bowling, A. (2008). Enhancing later life: How older people perceive active ageing? Aging & Mental Health, 12(3), 293-301.
Brenes, G. A., Strube, M. J., & Storandt, M. (1998). A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o exercise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8(24), 2274-2290.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Bollen & J.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Publications.
Carstensen, L. L. (1992). Social and emotional patterns in adulthood: Support for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Psychology and Aging, 7, 331-338.
Cernin, P. A., Lysack, C., & Lichtenberg, P. A. (2011). A Comparison of self-rated and objectively measured successful aging constructs in an urban sample of African American older adults, Clinical Gerontologist, 34(2), 89-102.
Conner, M., & Armitage, C. J. (1998). Extend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review and avenues for further research.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8, 1429-1464.
Depp, C. A., & Jeste, D. V. (2006). Definitions and predictors of successful aging: A comprehensive review of larger quantitative studie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4(1), 6-20.
Donaldson, T., Earl, J. K., & Muratore, A. M. (2010). Extending the integrated model of retirement adjustment: Incorporating mastery and retirement planning.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7(2), 279-289.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Francis, J., Eccles, M. P., Johnston, M., Walker, A. E., Grimshaw, J. M., Foy, R., Kaner, E. F. S., Smith, L., & Bonetti, D. (2004). Constructing questionnaire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 manual for health services researchers. Newcastle upon Tyne, UK: Centre for Health Services Research, University of Newcastle upon Tyne.
Glass, T. A., de Leon, C. M., Marottoli, R. A., & Berkman, L. F. (1999). Population based study of social and productive activities as predictors of survival among elderly Americans. British Medical Journal, 319(7208), 478-483.
Gollwitzer, P. M. (1999). Implementation intentions: Strong effects of simple plans. American Psychologist, 54, 493-503.
Granovetter, M. (1995). Getting a job: A study of contracts and careers(2nd ed.).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Hagger, M. S., Chatzisarantis, N. L. D., & Biddle, S. J. H. (2002).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Theories of Reasoned Action and Planned Behavior in physical activity: Predictive validity and the contribution of additional variables.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24, 3-32.
Hanka, K., & Stucka, S. (2008). Volunteer work, informal help, and care among the 50+ in Europe: Further evidence for ‘linked’ productive activities at older ages. Social Science Research, 37(4), 1280-1291.
Havighurst, R. J. (1968). A social-psychological perspective on aging. The Gerontologist, 8(2), 67-71.
Hobfoll, S. E. (2002). Social and psychological resources and adaptation.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6(4), 307-324.
Jex, S. M., Wang, M., & Zarubin, A. (2007). Aging and occupational health. Aging and Work in the 21st Century, 199-223.
Jones, F., Abraham, C., Harris, P., Schulz, J., & Crispin, C. (2001). From knowledge to action regulation: Modeling the cognitive prerequisites of sun screen use in Australian and UK samples. Psychology and Health, 16, 191-206.
Moen, P. (1996). A life course perspective on retirement, gender, and well-being.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1(2), 131.
OECD (1998). Maintaining Prosperity in an Ageing Society. OECD.
Petkoska, J., & Earl, J. K. (2009).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variables on retirement planning. Psychology and Aging, 24(1), 245-251.
Ranzijn, R. (2002). The potential of older adults to enhance community quality of life: Links between positive psychology and productive aging. Ageing International, 27(2), 30-55.
Rowe, J. W., & Kahn, R. 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 433-440.
Seitsamo, J., & Ilmarinen, J. (1997). Life-style, aging and work ability among active Finnish workers in 1981-1992.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20-26.
Sheeran, P. (2002). Intention-behavior relations: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12, 1-36.
Spector, P. E. (1982). Behavior in organizations as a function of employee's locus of control. Psychological Bulletin, 91(3), 482.
Toni, I., Thoenissen, D., & Zilles, K. (2001). Movement preparation and motor intention. Neuroimage, 14(1), S110-S117.
Wang, M. (2007). Profiling retirees in the retirement transition and adjustment process: examining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retirees'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2(2), 455-474.
Wang, M., & Shultz, K. S. (2010). Employee retirement: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 Journal of Management, 36(1), 172-206.
WHO (2002). Active Ageing: A Policy Framework. Geneva: W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