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아직도 가야 할 길: 출소자의 아내가 경험하는 삶의 도정(道程)

The Road Less Traveled: Path of Life that Ex-offenders’ Wives Experiences After Husbands’ Release From Pris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6, v.22 no.2, pp.223-261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전지열 (성균관대학교)
김주연 (성균관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출소자 아내의 경험을 이해하기위해,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으로부터 주거지원을 받는 17명의 출소자 아내들을 대상으로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여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에서는 143개의 개념, 43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인과적 조건은 “남편의 출소를 맞이하는 아내의 양가감정”, “남편의 출소와 재범에 대한 여전한 불안감”, “출소 후에도 이어지는 고난의 일상”으로 나타났으며, 맥락적 조건으로는 “시댁, 처가 가족들 사이에 생긴 가까워질 수 없는 벽”, “자녀에게 죄인이 된 심정”, “출소 후에도 이어지는 가족 해체 위기”로 나타났다. 현상으로는 “수감사실에 대한 은폐로 인한 불안한 생활”로 나타났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삶과 타협하기”, “남편의 사회복귀 조력자 되기”로 나타났다. 중재적 조건으로는 “친정과 시댁의 지원”, “역경 극복의 밑거름”, “여전히 존재하는 남편의 자리”, “남편의 재발견”, “가족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국가의 지원이 지펴준 희망의 불씨”로 나타났으며, 결과는 “역경을 통해 삶을 이해하고 감사하게 됨”과 “아직도 가야 할 길: 여전히 위태로운 나날들”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는 “가족 갈등의 불씨를 안고 낙인감을 넘어 가족 재구성으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상정하였으며, 과정분석 결과 수치감/고립감, 은밀한 타진, 잔존 자원 동원, 도전, 회복/유지의 5단계로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남편의 출소 이후 아내의 심리적 경험 및 가족복원에 필요한 도움들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keywords
출소자, 출소자 아내의 경험, 근거이론접근, Ex-offenders, Experience of Ex-offender’s Wife,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17 ex-offenders’ wives who received housing support by the Korea Rehabilitation Agency using Strauss and Corbin’s grounded theory. In open coding, 143 concepts, 43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emerged from the data. In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 were ‘ambivalence of wives who encounter the husbands’ release from prison’, ‘anxiety about the husbands’ release from prison and recidivism’, and ‘trials and tribulations of everyday life after husbands’ release from prison’. Central phenomenon was ‘precarious livelihood by concealment of imprisonment’. Strategies were ‘compromise with reality’ and ‘support husbands to reentry to the society’. Consequence was ‘thanks to life via adversity’ and ‘the road less traveled.’ In process analysis, main theme was ‘process towards family resiliency after get over the stigma and family conflicts’, and five phas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and in selective coding. Based upon the research outcomes,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ex-offenders’ wives and the needs for ex-offenders’ families resiliency was discussed.

keywords
출소자, 출소자 아내의 경험, 근거이론접근, Ex-offenders, Experience of Ex-offender’s Wife,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참고문헌

1.

구현경, 김종남 (2014). 내현적 자기애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 내면화된 수치심, 부적응적 완벽주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2), 609-636.

2.

김동민, 양대희 (2010). 전문적 도움추구 행동에 미치는 자기은폐성향의 영향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 28(2), 95-108.

3.

김용태 (2010). 사회-심리적 특성으로서 수치심의 이해와 해결. 상담학연구, 11(1), 59-73.

4.

김진숙, 이혁구, 이근무 (2012). 중산층에서 탈락한 개인들의 경험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접근-재진입 시도와 실패를 경험한 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4), 195-230.

5.

남재성 (2008). 출소자들의 경제적 어려움 해소와 자립지원을 위한 Micro-Credit의 활성화 방안. 교정연구, (40), 55-81.

6.

동아일보 (2013, 11, 26). [보이지 않는 형벌, 흉악범의 가족] 사건전후 ‘달라진 생활’ 14명 심층분석. http://news.donga.com/3/all/20131126/59136993/1에서 2016, 01, 04 자료 얻음.

7.

신연희 (2015). 출소준비 수형자의 가정실태와 가족재결합 관련요인. 교정연구, (67), 183- 205.

8.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5). 교정시설 수용현황(1일 평균 수용 인원).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739에서 2016, 01, 25 자료 얻음.

9.

서울신문 (2013, 01, 25). [주말 인사이드] “범죄자 딸이래”…예비 범죄자 낙인에 멍드는 수감자 자녀 7만명.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30126014001에서 2016, 01, 11 자료 얻음.

10.

연성진, 최진규, 유영재, 장홍근 (2012). 재범방지를 위한 교정보호의 선진화 방안 연구(1)-출소자 주거 및 취업지원을 위한 사회적 기업설립, 육성방안. 연구총서, 2012(10), 1-317.

11.

윤아랑 (2004). 편집 및 우울성향이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간이해, 25, 33-46.

12.

윤옥경 (2007). 소년 수용자의 가족 접촉 실태와 가족유대 증진방안 연구. 교정연구, 34, 35-58.

13.

이동임, 천정환 (2015). 교도소 아버지학교 프로그램이 수형자의 가족관계 및 교정ㆍ교화에 미치는 영향. 교정연구, (67), 127-153.

14.

이동훈, 신지영, 방기연 (2015). 절망 속에서 희망 찾기: 주거지원 남성출소자의 교도소 수감 및 출소에 대한 부인의 경험. 상담학연구, 16(4), 595-619.

15.

이신영 (2008). 출소자의 재범방지를 위한 지역사회중심의 갱생보호사업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38), 139-161.

16.

이옥형 (2012).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 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1), 29-57.

17.

이인숙, 이지연 (2009). 상담일반: 여성의 대상관계, 수치심, 자기침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0(4), 1951-1969.

18.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의 타당화 연구 - 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3), 651-670.

19.

이자영, 최웅용 (2012).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하여. 상담학연구, 13(3), 14811499.

20.

이지연 (2008). 내면화된 수치심과 방어유형, 정서 표현의 관계. 상담학연구, 9(2), 353- 373

21.

정선화 (2012). 중년여성의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5). 보호대상자 지원사업 안내. http://koreha.or.kr/support/support-work?item=5에서 2016, 01, 25 자료 얻음.

23.

Bahr, S. J., Armstrong, A. H., Gibbs, B. G., Harris, P. E., & Fisher, J. K. (2005). The reentry process: How parolees adjust to release from prison. Fathering: A Journal of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bout Men as Fathers, 3(3).

24.

Carlson, B. E., & Cervera, N. (1991). Inmates and their families conjugal visits, family contact, and family functioning.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18(3), 318-331.

25.

Guba, E. G.,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6.

Hill, R. (1965). Generic features of families under stress. In H. J. Parad (Ed.). Crisis Intervention: Selected Readings (pp. 32-52). New York: Family Service Association of America.

27.

Homer, E. L. (1979). Inmate-family ties: Desirable but difficult. Federal Probation, 43, 47-52.

28.

Johnson, R. C., Danko, G. P., Huang, Y. H., Park, J. Y., Johnson, S. B., & Nagoshi, C. T. (1987). Guilt, shame, and adjustment in three cultur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8(3), 357-364.

29.

Johnson, R. C., Kim, R. J., & Danko, G. P. (1989). Guilt, shame and adjustment; A family stud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1), 71-74.

30.

Jorgensen, J. D., Hernandez, S. H., & Warren, R. C. (1986). Addressing the social needs of families of prisoners: A tool for inmate rehabilitation. Federal Probation, 50, 47.

31.

Lowenstein, A. (1986). Temporary Single Parenthood-The Case of Prisoners' Families. Family Relations, 35(1), 79-85.

32.

Martin, L. L. (2011). Debt to Society: Asset Poverty and Prisoner Reentry. The Review of Black Political Economy, 38(2), 131-143.

33.

Mulmat, D. H., & Burke, C. (2013). Addressing Offender Reentry: Lessons Learned From Senate Bill 618 San Diego Prisoner Reentry Program. Corrections Today, 75, 24-27.

34.

Nesmith, A., & Ruhland, E. (2008).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Challenges and resiliency, in their own word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0(10), 1119-1130.

35.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36.

Showalter, D., & Jones, C. W. (1980). Marital and family counseling in prisons. Social Work, 25(3), 224-228.

37.

Yocum, A., & Nath, S. (2011). Anticipating father reentry: A qualitative study of children's and mothers' experiences. Journal of Offender Rehabilitation, 50(5), 286-304.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