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위험과 안전에 대한 실존심리학적 고찰

Existential Psychological approaches about risk and safet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6, v.22 no.3, pp.387-410
이순열 (도로교통 안전관리공단)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위험과 안전에 대해 실존심리학적 관점의 고찰을 실시하였다. 실존주의 철학과 실존주의 심리학적 논의들을 통해서 실존적 과제로서 ‘위험’을 파악하였으며, 실존적 욕구로서 ‘안전’을 규정하였다. 나아가 실존적 과제의 미해결성과 실존적 욕구의 비충족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실존적 불안으로서 ‘주관적 위험’을 파악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존적 불안으로서 ‘주관적 위험’은 ‘위험’과 ‘안전’에 대한 실존적 직면과 완성으로 나아가게 하는 나침판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과 발현된 현상적 상태를 통해 문제적 고착 상태에 놓여 있음을 파악할 수 있는 신호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실존적 불안으로서 ‘주관적 위험’의 문제적 고착 양상은 발현된 현상에 대칭적인 특성과 상태로 인식될 수 있는 경험과 정보를 공급하는 방법을 통해서 조절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실존심리학적 관점으로 ‘위험’과 ‘안전’을 파악하려는 시도는 세월호 참사를 비롯한 한국 사회의 인재형 사고에 대해 보다 근원적인 원인 분석과 대책을 마련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통해 향후 위험 감소와 안전 향상을 위한 심리학적인 접근을 보다 다양한 방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여러 견해들을 종합해서 다양한 실존적 주제들의 상태를 조절하는 방법[주제상태조절이론(Theme Condition Adjustment Theory: TCAT)]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keywords
위험, 안전, 실존, 주제, 세월호, Safety, Risk, Existential, Theme, The Sewol ferry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review of the existenti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 about the risks and safe. The risk was identified as existential task through the existential philosophy and psychology discussed were the safety regulations as existential need. As existential anxiety that is caused by unmet and insufficiency of the existential needs and the existential task that was presented to identify the subjective risk. Subjective risk as existential anxiety, and suggested that serves as a compass to advance to the completion and the facing the existential. In addition, existential anxiety as a subjective function as a signal that can identify the problem conditions that expressed phenomena. Problematic aspect of a subjective risk was suggested that it can be adjusted through a method for supplying information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experienced and symmetrical state with the direction of the expressed symptoms. The attempt to determine the existence of and psychological point of view, it gave provided the underlying psychological spokesman for the analysis of human society, including the Sewol ferry of Korea-type disaster. There are also presented some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give more psychological approach to future risk reduction and safety enhancement. In addition, this study through the various views presented by a comprehensive existential subject of several ways to adjust the status Theme conditioning method (Theme Condition Adjustment Theory: TCAT)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expecting it to be that.

keywords
위험, 안전, 실존, 주제, 세월호, Safety, Risk, Existential, Theme, The Sewol ferry

참고문헌

1.

김재철, 조현정 (2014). 키에르케고어의 불안 개념에 대한 임상적 해석, 철학논집, 37, 117-148.

2.

노진철 (2005). 현대 위험사회에서의 위험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1, 1, 33-48.

3.

박인철 (2013). 에드문트 후설, 경기도: 살림.

4.

박찬국 (2010). 인간과 행복에 대한 철학적 성찰: 실존철학의 재조명을 통하여, 경기도: 집문당.

5.

박찬국 (2014). 초인수업, 경기도: 21세기북스.

6.

안상혁 (2015). 불안, 키에르케고어의 실험적 심리학, 서울: 성균관대학교출판부.

7.

오세진 (1997). 효율적 산업안전관리를 위한 행동주의적 연구에 대한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0(1), 1-20.

8.

이강준, 권오영 (2005). 안전시스템 구축과 심리학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7(3), 299-310.

9.

이관춘 (2015). 니체 사상에 비춰본 세월호 참사와 성인교육의 과제, 한국성인교육학회지, 18(3), 1-21.

10.

이서규 (2002). 삶과 실존철학, 서울: 서광사.

11.

이순열 (2015a). 위험감수성 향상을 위한 운전자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1), 61-74.

12.

이순열 (2015b). 위험감수성(Risk Sensitivity) 측정문항 개발과 그 적용의 타당성: 불안정서와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교통연구, 22, 1, 61-74.

13.

이순열 (2015c). 한국 사회의 위험에 대한 심리학적 접근과 제언: 세월호 참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4(3), 709-739.

14.

이순열, 이순철 (2007a). 음주 운전자들의 운전확신수준 특성이 교통사고 위험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이용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1), 43-55.

15.

이순열, 이순철 (2007b). 초보운전자의 운전확신수준이 위험운전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을 이용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3), 111-125.

16.

이순철 (2004). 교통행동 연구의 경향성 분석을 위한 문헌고찰: 1990년 이후 한국 교통심리학의 연구경향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3), 1-18.

17.

이영애 (2005). 위험지각 연구의 최신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17(3), 1-18.

18.

이영희 (1994).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철학적 함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6(1), 1-20.

19.

이종한 (2003). 사고공화국에 대한 심리학적 제의: 안전사고의 심리적 기제와 대안 모색에 관한 여덟 편의 논문을 안내하면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특집호), 1-14.

20.

이창우 (1983). 니체, 사르트르, 프로이트, 키르케고르. 서울: 종로서적.

21.

장석용, 정헌영, 백상금, 이순열, 류준범 (2013). 음주운전 전력에 따른 행동특성별 대책 연구: 계획된 행동이론(TPB) 모형을 중심으로, 교통연구, 20(2), 45-58.

22.

주은선, 김혜원 (2013). 인간 중심 접근(Person-centered Approach) 관련 국내연구의 내용분석(1977년 - 2012년까지의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351-369.

23.

한덕웅 (2003). 한국 사회에서 안전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특집호), 35-55.

24.

Boss, M. (1988). Recent Considerations in Daseinsanalysis, The Humanistic Psychologist, 16(1), 58-73.

25.

Bugental, J. F. T. (1981). The Search for Authenticity: An Existential-Analytic Approach to Psychotherapy. (Exp. edn) New York: Irvington.

26.

Cooper, M. (2014). 실존치료[Existential Therapies]. (신성만, 가요한, 김은미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3년 출판).

27.

Dreyfus, H. L. (1997). Being-in-the-World: A Commentary on Heidegger’s Being and Time, Division 1. Cambridge, MA: MIT.

28.

Duane, S. (2007). 성장심리학: 건강한 성격의 모형[Growth Psychology: Models of the Healthy Personality]. (이혜성 역).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원전은 1977년 출판).

29.

Frankl, V. E. (1995). 죽음의 수용소에서[Man’s Search for Meaning]. (김충선 역). 서울: 청아출판사, (원전은 1984년 출판).

30.

Fromm, E. (1963). The Art of Loving. New York: Bantam.

31.

Heidegger, M. (2001). Zollikon Seminars: Protocols -Conversations-Letters. (Trans. F. Mayr and R. Askay.) Evanston, IL: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32.

Jeremy, R. (2015). 엔트로피[Entorpy]. (이창희 역). 서울: 세종연구원, (원전은 1980년 출판).

33.

Kierkegaard, S. (1992). Concluding Unscientific Postscript to Philosophical Fragments. Vol. 12:1. (Trans, H. V. Hong and E. H. Hong.)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Original work published 1846).

34.

Maslow, A. H. (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50, 370-396.

35.

Maslow, A. H. (2012). 존재의 심리학[Toward a psychology of being]. (정태연, 노현정 역). 서울: 문예출판사, (원전은 1999년 출판).

36.

May, R. (1999). Creativity and the unconscious’ Review of Existential Psychology and Psychiatry, 24: 33-9.

37.

Nietzsche, F. (1967). Thus Spake Zarathustra. (Trans. T. Common.) London: Allen and Unwin. (Original work published 1883).

38.

Rio, L., Aberg, J., Renner, R., Dahlsten, O., & Vedral, V. (2011). The thermodynamic meaning of negative entropy. Nature, 474, 61-74.

39.

Rogers, C. R. (1961). On Becoming a Person: A Therapist’s View of Therapy. London: Constable.

40.

Sartre, J. P. (1996). 존재와 무[Being and Nothingness: An Essay on Phenomenological Ontology]. (정소성 역). 서울: 동서문화사, (원전은 1960년 출판).

41.

Schrödinger, E. (2007). 생명이란 무엇인가, 정신과 물질[What is life? and Mind and Matter]. (전대호 역). 서울: 궁리출판, (원전은 1967년 출판).

42.

Ulrich, B. (2014). 위험사회-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Risikogesellschaft]. (홍성태 역). 서울: 새물결(원전은 1986년 출판).

43.

Yalom, I. D. (2007). 실존주의 심리치료[Existential Psychotherapy]. (임경수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80년 출판).

44.

Zimmermann, F. (1987). 실존철학[Einfuhrung in Existenzphilosophie]. (이기상 역). 경기도: 서광사, (원전은 1977년 출판).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