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수감자의 출소 후 가족복귀 경험에 관한 교정기관 상담자의 인식

An Qualitative Study on Correctional institution Counselors’ Perception of Ex-Offender’s Experience regarding Reintegration into Famil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6, v.22 no.4, pp.595-622
https://doi.org/10.20406/kjcs.2016.11.22.4.595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강수운 (성균관대학교)
지승희 (고려사이버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상담자의 눈을 통해 성인출소자의 출소 후 가족 관계 회복 과정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법무부 산하의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서울, 인천, 부산, 대구, 경남 지부 및 법무보호복지공단과 가족상담 연계 서비스를 진행하는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출소자와 그 가정을 대상으로 숙식 및 주거 지원, 심리 지원, 자녀 학업 지원을 담당하고 있는 상담 전문가 8명에게 심층 면접을 실시하고, 면접 자료를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담자들은 대부분의 출소자들이 가족이 부재한 어린 시절을 보내며 부모와의 유대나 신뢰관계가 형성되지 못한 구조적․기능적 결손을 경험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상담자가 인식한 출소자의 가족, 즉 배우자와 자녀의 전형적인 특징은 자녀에게 부모의 수감사실을 숨기는 가족의 비밀이 있다는 것이다. 셋째, 상담자들은 가족에 대하여 출소자가 갖는 책임감, 가족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을 가족 복귀의 성공요인으로 인식하는 반면 가족에 대한 의존심, 출소자에 대한 가족의 거부와 회피, 가족구성원으로서의 존재감 상실을 가족 복귀의 실패요인으로 보고 있었다. 또한 강간이나 알코올 중독, 폭력, 살인 등에 비해 횡령, 사기 등과 같은 경제사범들의 가족복귀가 비교적 원활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출소자의 가족 관계 회복을 위한 상담 및 심리지원에 있어 상담자들은 휴식의 개념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고, 출소자 및 그 가족에 대한 개입을 실시하기 전에 철저한 스크리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출소자 및 그 가정에 대한 심리적․상담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 출소자의 가정 복귀 및 가족 관계 회복을 돕는 프로그램 개발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keywords
출소자, 가족복귀경험, 교정상담자, 합의적 질적 연구(CQR), ex-offender, Experience regarding Reintegration into Family, Correctional institution Counselor, CQ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family reunion of the ex-offenders. To this end, Korea Rehabilitation Agency under Ministry of Justice and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conducted intensive interviews with ex-offenders, their families and with 8 counselors who are in charge of ex-offenders and their families’ residential,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support.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by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COR).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the counselors found out that most of ex-offenders had experienced unhappy childhood which was lack of healthy relationship with their parents. Secondly, counselors noticed a common feature among the families of ex-offenders. The common feature was that they keep the fact that one of their parents was imprisoned to their children as a secret. Thirdly, through the data analysis, counselors could understan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reunion of ex-offenders’ families: the factors that helped successful reunion were ex-offenders’ sense of responsibility, open and healthy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and mutual understanding of being a good family member, whereas, irresponsible dependance to other family members, denier and avoidance from the family members against ex-offenders, and lost sense of being a family member were the factors that discouraged the reunion. It turned out that the kinds of crime that ex-offenders committed also affected family reunion. The processes of reunion were easier for those who served their time with fraud, embezzlement, whereas, it was much more challenging for those who served their time with rape, violence, or murder. Fourthly, counselors learned that “relaxation” is the key factor in the process of reunion of ex-offenders’ families. They also emphasized that there should be thorough monitoring process before the intervention in the reunion process. This study contributes in terms of finding healthy ways of intervention with ex-offenders’ families and developing programs that help ex-offenders to recover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keywords
출소자, 가족복귀경험, 교정상담자, 합의적 질적 연구(CQR), ex-offender, Experience regarding Reintegration into Family, Correctional institution Counselor, CQR

참고문헌

1.

강은영 (2005). 경력범죄자의 성인초기 범죄지속과 중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고성혜 (2005). 청소년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차별연구. 서울: 국가인권위원회.

3.

김동언 (2007). 출소자의 출소 후 사회복귀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보호감호 경험자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두섭, 전영실 (1996). 여성 수형자의 수형 생활 실태.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5.

김승만, 신연희 (2005). 장기수형자 처우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6.

김영식 (2011). 수형자 사회복귀 전환관리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51), 7-41.

7.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Ⅰ. 서울: 문음사.

8.

김용수, 박현주 (2010). 장기수용자가 지각하는 가족관계 스트레스의 분석. 예술심리치료연구, 6(1), 123-143.

9.

김인숙 (1992). 여성출소자들의 재사회화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 (6), 9-31.

10.

남재성 (2007). 출소자들의 경험을 통해서 본 수형자 처우의 현실. 사회과학연구, 13(2), 61-88.

11.

류석진, 노지애, 이동훈, 박성현, 오세준, 조현주 (2016). 출소자 가정복귀의 위험 및 보호요인에 관한 질적연구-주거지원 가정을 중심으로. 재활심리연구, 23(2), 469-490.

12.

박선영 (2012). 수형자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공생의 사회구현 실행방안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공생발전 협동연구총서, 12- 01-36.

13.

박선영, 신연희 (2012). 수용자 자녀문제에 관한 미국과 영국의 사례분석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2(3), 1-270.

14.

박수정 (2013). 성폭력 수용자의 치료프로그램 참여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평택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박철현 (2000). 교도소 재입소자의 재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0(1), 11-203.

16.

송미애 (2007). 수용자가 지각하는 가족응집력과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기대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신연희 (2002). 기혼 여자재소자에 관한 연구: 자녀관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신연희, 전영실, 김영식 (2008). 수용자 가족건강성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교정연구, 40, 203-225.

19.

양돈규, 임영식 (1998).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4(1), 55-74.

20.

이동훈, 신지영, 오혜영, 박성현 (2015). 출소자의 가정복원 과정에 관한 교정전문가의 인식. 한국가족복지학, 20(3), 499-530.

21.

이동훈, 신지영, 조은정, 김진주 (2016). 수감생활 및 출소 후 과정에서 여성출소자의 삶과 가족관계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1), 81-108.

22.

이동훈 외 (2014).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모델 정립과 모델 유형에 따른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연구용역과제.

23.

이동훈, 전지열, 김주연 (2016). 아직도 가야 할 길: 출소자의 아내가 경험하는 삶의 도정(道程).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2(2), 223-261.

24.

이민식, 김혜선 (2009). LSI-R을 이용한 성별․범죄유형별 재범유발요인. 형사정책연구, 157-187.

25.

이상현 (2004). 범죄심리학. 서울: 박영사.

26.

이승은, 정남운 (2003). 초심상담자의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5(3), 441-460.

27.

이운안 (2010). 출소전후 취업 및 창업지원 연계필요성. 아시아교정포럼 학술대회, 59-62.

28.

이윤호, 김대권 (2007). 전과자들의 사회적 차별에 관한 경험연구. 사회과학연구, 13(2), 27-60.

29.

이인곤 (2015). 출소자의 사회복귀를 위한 가족지원(복지)사업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4(3), 153-180.

30.

이철호, 이민규 (2006). 교도소 수형자의 성격특성과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1), 77-90.

31.

이현희 (2004). 재범요인에 관한 인과적 분석: 형벌과 사회적 결속. 교정연구, (24), 97- 121.

32.

장희숙 (2008). 재범요인과 범죄유형별 특성: 직업훈련프로그램에 참여한 남성 교도소 수형자 대상. 교정연구, (39), 163-190.

33.

전영실, 신연희, 김영식 (2007). 수형자 가족관계 건강성 실태조사 및 향상방안 연구: 2007년 법무부 연구용역 보고서. 서울: 법무부 여성정책과.

34.

전영실, 신연희 (2009). 수용자 가족방문 실태 및 그 효과: 성별비교를 중심으로. 교정연구, (45), 279-303.

35.

정유희, 안창일 (2004). 성별, 재범여부, 범죄유형에 따른 수형자의 NEO-PI-R반응.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725-740.

36.

정진연 (2004). 효율적인 갱생보호사업의 방향. 교정연구, (23), 185-219.

37.

조윤오 (2012). 범죄자 교정프로그램의 효과성 분석-재복역률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 (35), 187-216.

38.

주성진 (2010). 부모의 범죄성향이 자녀의 비행성향에 미치는 영향: 부모의 자녀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최영신, 황정임 (2006). 여성 출소자의 사회적응지원 방안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6(24), 15-214.

40.

최인섭, 김지선 (1994). 전과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1-185.

41.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15). 보호대상자 지원사업 안내. http://koreha.or.kr/support/support-work?item=5에서 2016. 01. 25. 자료 얻음.

42.

홍봉선 (2002). 출소자 복지증진과 갱생보호 사업의 활성화 방안. 교정연구, 14, 143-175.

43.

Adams, D., & Fischer, J. (1976). The effects of prison residents’ community contacts on recidivism rates. Corrective & Social Psychiatry & Journal of Behavior Technology, Methods & Therapy.

44.

Anderson, E. (1999). Code of the Street(pp. 107-141). New York: Norton.

45.

Bahr, S. J., Armstrong, A. H., Gibbs, B. G., Harris, P. E., & Fisher, J. K. (2005). The reentry process: How parolees adjust to release from prison. Fathering: A Journal of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bout Men as Fathers, 3(3), 243-265.

46.

Baldry, E., McDonnell, D., Maplestone, P., & Peeters, M. (2003). Ex-prisoners, housing and social integration. Parity, 16(5), 13.

47.

Bales, W. D., & Mears, D. P. (2008). Inmate social ties and the transition to society: Does visitation reduce recidivism?.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48.

Bloom, B., & Steinhart, D. (1993). Why Punish the Children?: A Reapraisal of the Children of Incarcerated Mothers in America. National Council on Crime and Delinquincy.

49.

Eisner, E. (1991).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New York: Macmillan.

50.

Farrell, D. (2004). Correctional facilities: Prisoners’ visitation rights, the effect of Overton v. Bazetta and Lawrence v. Texas. The Georgetown Journal of Gender and the Law 5, 167-174.

51.

Farrington, D. P., & Welsh, B. C. (2006). Saving children from a life of crime: Early risk factors and effective interven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52.

Glaser, P. E. (1964). Pressure effects on postulated lunar materials. Icarus, 4(4), 335-352.

53.

Harm, N. J. (1999). Families and Re-Entry Process. Family & Corrections Network Report, (21).

54.

Hill, C. E., Knox, S., Thompson, B. J., Williams, E. N., Hess, S. A., & Ladany, N. (2005).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An Up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2, 196-205.

55.

Hill, C. E., Thomson, B. J., & Nutt-Williams, E. (1997). A guide to conducting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5(4), 517-572.

56.

Holt, N., & Miller, D. (1972). Explorations in inmate-family relationships. Sacramento, CA: Research Division, California Department of Corrections.

57.

Horney, J. D., Osgood, W., & Marshall, I. H. (1995). Criminal careers in the short term: Intra-individual variability in crime and its relation to local life circumstanc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5), 655-673.

58.

Howser, J. F., & MacDonald, D. (1982). Maintaining family ties. Corrections Today, 44(4), 96-98.

59.

Huebner, B. M., & Gustafson, R. (2007). The effect of maternal incarceration on adult offspring involvemen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5(3), 283-296.

60.

Johnston, J. R. (1995). Research Update. Family Court Review, 33(4), 415-425.

61.

Kampfner, C. J. (1995). Post-traumatic stress reactions in children of imprisoned mothers. Children of incarcerated parents, 89-100.

62.

Labouvie, E. (1996). Maturing out of substance use: Selection and self-correction. Journal of Drug Issues, 26: 457-477.

63.

Loeber, R., Farrington, D. P., Stouthamer-Loeber, M., & White, H. R. (Eds.). (2008). Violence and serious theft: Development and prediction from childhood to adulthood. Taylor & Francis.

64.

Loper, A. B., & Tuerk, E. H. (2006). Parenting Programs for Incarcerated Parents: Current Research and Future Directions. Crimical Justice Policy Review, 17(4), 407-427.

65.

MacKenzie, D. L., & De Li, S. (2002). The impact of formal and informal social controls on the criminal activities of probationers.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39(3), 243-276.

66.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Sage.

67.

Mills, A., & Codd, H. (2008). Prisoners’ families and offender management: Mobilizing social capital. Probation Journal, 55(1), 9-24.

68.

Murray, J., & Farrington, D. P. (2005). Parental imprisonment: Effects on boys’ antisocial behaviour and delinquency through the life-cours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6, 1269-1278.

69.

Murray, J., & Farrington, D. P. (2006). Evidence Based Programs for Children of Prisoners. Criminology & Public Policy, 5(4), 721-735.

70.

Murray, J., Janson, C. G., & Farrington, D. P. (2007). Crime in adult offspring of prisoners a cross-national comparison of two longitudinal sample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34(1), 133-149.

71.

Mustin, J. W. (1989). The family: A critical factor for corrections. Family Research Council of America.

72.

Naser, R. L., & La Vigne, N. G. (2006). Family support in the prisoner reentry process: Expectations and realities. Journal of Offender Rehabilitation, 43(1), 93-106.

73.

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 (2004). People of Faith Mentoring Children of Promise: A Model Partnership Based on Service and Community. National Crime Prevention Council.

74.

Polkinghorne, D. E. (1994). Reaction to special section on qualitative research in counseling process and outcom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 510-512.

75.

Roettger, M. E., & Swisher, R. R. (2009). Examining racial variations in the associations of father’s history of incarceration with son’s delinquency and arrest in contemporary US society. National Center for Marriage Research Working Paper, 09-01.

76.

Sampson, R. J., & Laub, J. (1993). Crime in the Making: Pathways and Turning Points Through Lif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77.

Simmons, T., & O’Neill, G. (2001). Households and Families, 2000 (Vol. 3). US Department of Commerce, Economics and Statistics Administration, US Census Bureau.

78.

Travis, J., & Waul, M. (2003). Prisoners once removed: The impact of incarceration and reentry on children, families, and communities. The Urban Institute.

79.

Visher, E. B., & Visher, J. S. (2013). Therapy with stepfamilies. Routledge.

80.

Wilson, H. (1987). Parental supervision re-examined.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27(3), 275-301.

81.

Wolff, N., & Draine, J. (2004). Dynamics of social capital of prisoners and community reentry: Ties that bind?. Journal of Correctional Health Care, 10(3), 457-490.

82.

Wright, J. P., Dietrich, K. N., Ris, M. D., Hornung, R. W., Wessel, S. D., Lanphear, B. P., ..., & Rae, M. N. (2008). Association of prenatal and childhood blood lead concentrations with criminal arrests in early adulthood. PLoS Medicine, 5(5), e101.

83.

Zamble, E., & Quinsey, V. L. (1997). The process of recidivism.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