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Key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 of the Psychological Researches for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6, v.22 no.4, pp.675-693
https://doi.org/10.20406/kjcs.2016.11.22.4.675
Jung-Min Chae (Seoul Cyber University)

Abstract

As North Korean Youths are getting bigger, many psychologists have focused on them academically. But earlier studies showed many mistakes which have to be solved quickly. So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are to set as the main problems as follows: Key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 for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s research participants,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 for the objectivity of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psychological states, issues and research direction for the Young North Korea defectors' life in South Korea. Results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enough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no consistency among the research results, and second, most of the researchers have no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subjects' psychological states, and finally, most of the researchers have a 'adaptation model' strongly. So we have to have a more proper and objective stance for the Young North Korea defectors' life in South Korea.

keywords
North Korean Youth, Culture, Psychology, Adaptation, Reunification
Submission Date
2016-07-20
Revised Date
Accepted Date
2016-11-01

Reference

1.

강기정, 정은미 (2003). 그룹홈 아동의 사회적응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5(2), 119-132.

2.

권이종 (2009). 학교 중도 탈락 학생의 진로 지도 방향. 21 세기 청소년포럼, 49, 9-34.

3.

권이종, 이상오, 김용구 (2008). 새터민 청소년 교육지원을 위한 법․제도보완 방안. 통일부․(사)한국청소년연합 연구보고서.

4.

곽수란 (2006). 청소년의 학교적응도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 1-26.

5.

금명자, 김동민, 권해수, 이소영, 이희우 (2003). 통일대비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개발 연구Ⅰ.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6.

길은배 (2004). 북한 이탈청소년들의 한국사회적응을 위한 복지정책: 토론문.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19-22.

7.

길은배, 문성호 (2003).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03-R 11, 1-262.

8.

김경화 (2012). 중학생의 새터민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9(12), 89-111.

9.

김연희 (2009). 북한이탈청소년의 학교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1(4), 191-215.

10.

김은정 (2009). 초등학생 학습양식 및 성별에 따라 교사가 지각한 학교 적응력 분석. 공주교대논집, 46(1), 37-52.

11.

김이섭 (2004). 통일독일의 현주소: 교육과 청소년, 언론과 시민운동을 중심으로. 독일어문학, 27, 379-398.

12.

김지현 (2004). 탈북아동청소년을 위한 집단심리치료 Program 사례연구: 놀이와 미술매체의 통합적 접근. 아동가족치료연구, 3, 163-178.

13.

김현아, 조영아, 김연희 (2012).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유연성 척도 개발을 위한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9(1), 25-46.

14.

김형태 (2004). 북한이탈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유형에 관한 통합적 비교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5.

김형태 (2008). 새터민 청소년의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관련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49-73.

16.

김형태 (2010).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유형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 비교 및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17(9), 27-59.

17.

김형태 (2011). 그룹홈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탄력성, 그리고 심리, 사회적응의 종단효과. 청소년학연구, 18(11), 137-164.

18.

김혜온, 서봉연, 이순형 (1999). 통일 이후 구 동독지역 청소년들의 심리적 적응. 아동학회지, 20(2), 279-297.

19.

김희경, 신현균 (2013). 탈북 청소년용 심리상태검사 개발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3), 521-541.

20.

노용구 (2012). 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8(1), 603-611.

21.

라이 콜로르겐 (2013). 독일 통일 및 동독연구의 담론들: 20년 후의 비판적 회고. 통일과 평화, 5(1), 193-219.

22.

문희정 (2012). 다문화관점에서의 탈북청소년에 대한 국가 교육정책 분석: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논총, 33(2), 145-166.

23.

박성희 (1991). 북한 청소년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14-138.

24.

박윤숙 (2006).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박윤숙, 윤인진 (2007). 탈북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특성과 남한사회 적응과의 관계. 한국사회학, 41(1), 124-155.

26.

배임호, 양영은 (2010). 학업중단 북한이탈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사회복지연구, 41(4), 189-224.

27.

백혜정, 길은배, 윤인진, 이영란 (2007). 남한 내 북한이탈 청소년들의 심리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준비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8(2), 183-211.

28.

손기웅 (2010). 독일통일 20 년의 평가와 시사점. 통일경제, 17, 1-16.

29.

송광성 (1994). 독일 통일과정에서 나타난 청소년 문제. 청소년학연구, 2(1), 173-189.

30.

윤인진 (2000). 탈북과 사회 적응의 통합적 이해: 국내 탈북자를 중심으로. 현대북한 연구, 3(2), 123-184.

31.

윤지혜, 오영림 (2010). 탈북청소년의 외상 이후 성장(PTG) 체험연구-탈북대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7(12), 49-82.

32.

이소래 (1997). 남한이주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3.

이순형 (2011). 사회경제발전에 따른 한민족 아동 놀이와 놀이 노래의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문화및사회문제, 17(1), 155-172.

34.

이영란 (2007). 통일 이후 독일청소년 일탈문화에 대한 연구: 스킨헤드의 극우적 폭력실태를 중심으로. 한국과국제정치, 23(2), 123-159.

35.

이영선, 이동훈 (2009). 귀국 청소년의 국내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0(4), 1783-1804.

36.

이원봉 (1996). 북한 청소년생활의 심층연구. 한국청소년연구, 105-116.

37.

이춘재, 오가실, 정옥분 (1991). 사춘기 신체성숙시기와 심리사회적 발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4(1), 89-102.

38.

이향규 (2014). 탈북청소년의 물리적 경계경험과 공간에 대한 기억. 북한연구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1-232.

39.

이혜경 (2003). 북한이탈주민 대학생의 학교생활에 관한 체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이희정, 조윤주 (2010). 학교적응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 변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17(2), 253-278.

41.

장문강 (2008).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다문화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19, 195-234.

42.

장창호 (2000). 탈북청소년의 적응에 관한 사회사업적 고찰. 강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전우택, 유시은, 조영아, 엄진섭, 서승원, 홍창형 (2005). 의식과 생활만족도. 정병호, 전우택, 정진경(편). 웰컴투코리아: 북조선사람들의 남한살이(pp.440-466). 서울: 한양대학교출판부.

44.

정순미 (2010).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남한 청소년의 역할. 윤리교육연구, 22, 301-319.

45.

정재옥, 주은선 (2003). 해외 귀국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 특성에 관한 연구: 질적 분석을 통한 귀국 중학생들의 경험 파악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329-351.

46.

조영아, 전우택 (2004). 북한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1), 167- 186.

47.

진미정, 이순형 (2007). 가족특성에 따른 새터민의 사회문화적 적응.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5), 63-74.

48.

진은영, 강명진, 엄태완 (2013).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과정 연구: 무기력에서 희망으로의 거듭남. 청소년문화포럼, 34, 121-152.

49.

최명선, 최태산, 강지희 (2006). 탈북 아동, 청소년의 심리적 특성과 상담전략 모색.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9(3), 23-34.

50.

채정민 (20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1.

채정민, 김현아 (2011). 탈북대학생의 대학생활과 진로의식 연구: 성적우수자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학회 학술대회 발표.

52.

최대헌, 이인수, 김현아 (2007). 새터민 아동, 청소년의 적응력향상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아동교육, 16(2), 277-291.

53.

최보영, 김현아, 최연우 (2013). 탈북청소년 현장전문가가 인식하는 탈북청소년 상담 개입 방안. 청소년상담연구, 21(2), 497-525.

54.

통일부 (2016). 북한이탈주민 입국 현황.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3099(2016년 7월 1일 방문).

55.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content.do?cmsid = 3099(검색일: 2015.9.01).

56.

한국교육개발원 (2016). 2015년 탈북학생 주요통계 자료. http://www.hub4u.or.kr/hub/data/selectDataForm.do(2016년 7월 1일 방문).

57.

한만길 (2012). 탈북청소년의 교육 실태와 과제. 기독교와 통일, 6, 67-77.

58.

한만길 (2013). 탈북청소년 교육 종단연구(Ⅳ)(RR2013-07).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59.

허은영, 강혜영 (2007). 탈북청소년과 남한청소년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비교. 상담학연구, 8(4), 1485-1500.

60.

허은영, 강혜영 (2010). 새터민 청소년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 개발. 진로교육연구, 23(4), 39-55.

61.

Atkinson, D. R., Morton, G., & Sue, D. W. (1998). Counseling American minorities(5th ed.). Boston: McGraw-Hill.

62.

Bhawuk, D. P., & Brislin, R. (1992). The measuremen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using the concept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16(4), 413-436.

63.

Förster, P. (2003). Junge Ostdeutsche heute: doppelt enttäuscht. Aus Politik und Zeitgeschichte. Beilage zur Wochenzeitung. Das Parlament B, 15, 6-17.

64.

Garmezy, N. (1994). Reflections and commentary on risk, resilience, and development. In R. J. Haggerty, L. R. Sherrod, N. Garmezy, & M. Rutter (Eds.), Stress, risk,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1-18).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5.

Germain, C. B., & Gitterman, A. (1996). The life model of social work practice: Advances in theory & practice (2nd ed.).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66.

Goldberg, E. R. (1980). Relocation and the family: A crisis in adolescent development. In Uprooting and development (pp. 211-231). Springer US.

67.

Hirsch, B. J., & Rapkin, B. D. (1987). The transition to junior high school: A longitudinal study of self-esteem, psychological symptomatology, school life, and social support. Child development, 58(5), 1235-1243.

68.

Lamnek, S. (1995). Jugend und Gewalt—A Never Ending Story. In Jugend und Gewalt (pp. 11-24). VS Verlag für Sozialwissenschaften.

69.

Lampert, T. (2010). 20 Years of German Unity: Are there still differences between east and west as regards the health of children and adolescents?

70.

Meredith, L. S., Wenger, N., Liu, H., & Harada, N. (2000). Development of a brief scale to measure acculturation among Japanese American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8(1), 103-113.

71.

Schwartz, M. B., & Brownell, K. D. (2004). Obesity and body image. Body image, 1(1), 43-56.

72.

Spencer, M. B. (1999).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s on school adjustment: The application of an identity-focused. Educational Psychologist, 34(1), 43-57.

73.

Wang, C., & Burris, M. A. (1994). Empowerment through photo novella: Portraits of participation. Health Education & Behavior, 21(2), 171-186.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