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5․18민주화운동 관련자의 트라우마를 치유하기 위해 실시한 증언치료를 통해 국가폭력의 후유증 실태와 치유의 의미를 탐색한 연구이다. 5․18을 개인에게 파국적인 영향을 미친 ‘트라우마’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그 후유증이 당시 참여자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80년 5월에 시민군으로 참여하고 이후 고문과 구속․수감 등을 경험한 당사자 4명이 광주트라우마센터의 증언치료에서 진술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의 증언치료 경험 및 그 과정에서 보여준 청중들과의 상호 작용을 통해 국가폭력으로 인한 트라우마를 치유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무엇인지 확인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치유과정에서의 진술을 분석한 결과 19개의 주제에서 7개의 중심의미가 도출되었다. 트라우마의 후유증과 관련한 중심의미는 ‘반복되는 고통’, ‘사회․경제적 피해’, ‘고립 및 단절’, ‘고통의 세대 전이’ 등 4개로 나타났고, 치유의 경험은 ‘안전’, ‘연결을 통한 치유’, ‘산 자로서 의무’ 등 3개의 중심의미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국가폭력으로 인한 트라우마의 특징을 살펴보고, 치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aftermath of state violence and the meaning of its healing by analyzing testimony therapy designed to deal with trauma of the victims of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May 18”). In order to have a point of view that May 18 had catastrophic impacts on many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nd to observe the after-effects of such event to individuals’ lives,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of testimony therapy sessions of four people who were tortured, arrested and detained after their participating in May 18 in 1980. The experiences of those participants with their testimony therapy and the interactions they had with the audience during the sessions made sure what are the key factors to healing the trauma from state violence. Nineteen topics were drawn from analyzing the statements made in the therapy process, and out of them, seven subjects below were chosen as the most significant; ‘repetitive pain’, ‘social and economic damage’, ‘isolation and disconnection’, ‘transition of suffering to other generations’, and ‘Safety’, ‘healing through connections’, ‘obligation as a survivor’. Based on its finding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rauma caused by state violence and made suggestions for healing such trauma.
5‧18기념재단 (2006). 5․18민주유공자 생활실태 및 후유증실태 조사연구 보고서. 5․18기념재단.
5‧18기념재단 (2007). 5․18민주화유공자 생활실태 후유증 실태조사 및 치료프로그램 개발 연구. 5․18기념재단.
5‧18기념재단 (2008). 5․18민주화운동 피해자에 대한 심리학적 부검 및 자살피해 예방대책과 사회적 지원방안에 대한 연구. 5․18기념재단.
강은숙 (2011). 저항집단의 생애사를 통해 본 사회적 트라우마티즘 형성과정-5․18시민군기동타격대의 ‘상처받은 5월 정신’. 성공회대학교 사회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국가인권위원회 (2011). 고문피해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문요한 (2016). 광주아시아포럼. 5․18기념재단.
오수성, 신현균 (2008). 5․18피해자들의 생활스트레스, 대처방식,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후 스트레스, 심리건강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595-611.
오수성, 신현균, 조용범 (2006). 5․18피해자들의 만성 외상후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5(2), 59-75.
한홍구, 강은숙, 최현정, 오하린 (2012). 광주 트라우마센터 설립을 위한 기초 연구. 평화박물관.
Agger, I., & Fernando, B. (2013). On testimonial therapy and the life project: What testmonial therapy does is try to bring private suffering into public and political spheres-an interview. Torture: Asian and Global Perspectives, 2(1): 5-13.
Agger, I., & Jensen, S. B. (1990). Testimony as ritual and evidence in psychotherapy for political refugee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3(1), 115-130.
Allan, S., & Mia, S. (2011). 고문생존자 상담지침 [Counseling for torture survivors]. (변주나 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2003년에 출판).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psychiatric disorders (5th ed. text revision). Washington DC: APA.
Chhim, S. (2013). A trauma-based cultural syndrome in Cambodia. Medical Anthropology, 32(2), 160-173.
Danieli, Y. (1988). Treating survivors and children of survivors of the Nazi holocaust. In F. Ochberg, (ed), Psot-traumatic therapy and victims of violence. New York: Brunner/Mazel.
Fairbank, J. A., Schlenger, W. E., Caddell, J. M., & Woods, M. G. (1993).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P. B. Sutker & H. E. Adams (Eds.), Comprehensive Handbook of Psychopathology. New York: Plenum Press.
Giorgi, A. (1985).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Duquensne university press.
Haden, S. C., Scarpa, A., Jones, R. T., & Ollendick, T. H. (2007).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and injury: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oping for young adul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7), 1187-1198.
Herman, J. L. (2012). 트라우마 [Trauma and Recovery: The aftermath of violence]. (최현정 역). 파주: 열린책들. (원전은 1997년에 출판).
Hurberman, M., & Miles,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california: Sage.
Kolk, B. A. (2016). 몸은 기억한다 [Body keeps the score]. (제효영 역), 서울: 을유문화사. (원전은 2015년에 출판).
Levi, P. (2014). 가라앉은 자와 구조된 자 (이소영 역), 파주: 돌베게. (원작은 1986년에 출판).
Lincoln, Y. L., & Guba, E. G.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Lone, J. (2003). 고문생존자: 외상과 재활 [torture survivor: trauma and rehabilitation]. (변주나 역). 서울: 현문사. (원전은 1997년에 출판).
Puvimanasinghe, S., & Price, I. (2010). Healing through giving testimony: An empirical study with Sri Lankan torture survivors(Unpublished BA honours thesis). University of New England, Armidale, New South Wales, Australia.
Stevan, M. W., Alma, D. K., Ivan, P., & Robert, G. (1998). Testimony psychotherapy in Bosnia refugees: A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5(12), 1720-1726.
Stretch, R. H. (1985).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U.S. army reserve Vietnam and Vietnam-era vetera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3(6), 935-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