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 대학생의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상호독립적 자기관 결핍에 따른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매개 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ollege students’ Self-Construal and Alexithymia: Mediation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 Suppression according to the Deficiency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9, v.25 no.2, pp.101-118
https://doi.org/10.20406/kjcs.2019.5.25.2.101
권소영 (부산대학교)
곽자랑 (부산대)
김비아 (부산대학교)
이동훈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감정표현불능증은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그것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증상을 의미한다. 동양인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은 서양인들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최근 미국에서 진행된 한 조사연구는 동양인의 높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이 집단주의 문화에서 발달하는 상호협조적 자기관의 영향이라고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대학생들의 상호독립적 및 상호협조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 수준 및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한국 대학생들의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은 상호협조적 자기관과 상관이 없었으며, 오히려 상호독립적 자기관과 뚜렷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게다가 상호독립적 자기관은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와도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상호독립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 수준의 부적 관계에 대한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이중 매개모형을 설정하고, Hayes와 Preacher (2014)의 Process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상호독립적 자기관의 결핍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을 높이는 직접효과도 유의하고,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억제를 매개로 한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추가적으로 간접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정서표현양가성의 단일 매개효과와 정서표현양가성을 경유한 정서억제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하고, 정서억제에 의한 단일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상호독립적 자기관 수준이 낮을수록,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아져서, 혹은 높아진 정서표현양가성이 정서억제 수준을 높여 감정표현불능수준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한국대학생들이 겪는 감정표현의 어려움이 전통적인 집단주의 문화의 상호협조적 자기관에서 기인한다기 보다, 상호독립적 자기관의 결핍에서 유발되며, 높은 정서표현갈등과 과도한 정서억제로 이어져 감정표현불능 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상호독립적 자기관, 상호협조적 자기관. 감정표현불능증, 정서억제, 정서표현양가성,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construal, Alexithymia, Emotion suppress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bstract

Alexithymia refers to a psychological deficit of identifying and describing one’s feelings. It has benn reported that the level of alexithymia of East-Asians i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Western Europeans. Recently one research conducted in U.S. suggested that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from East-Asians’ collectivism culture might be a cause of this cross-cultural difference. In the current study,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heir level of alexithymia, as well as thei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 suppression.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the Korean students’ alexithymia level does not correlate with their level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but negatively correlates with their level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Moreover, it is also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AEE) and emotion suppression(ES). Thus, we setup a double-mediation model between the deficiency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alexithymia via AEE and ES, and estimate mediation effects using Hayes and Preacher(2014)s’ Process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deficiency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has a direct effect as well as indirect effects of AEE and ES on the alexithymia level. Further analysis on the indirect effects reveals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AEE and the double mediation effect of ES via AEE are significant, but the mediation effect of ES is not significant. Current results imply that the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from the traditional collectivistic culture may not cause Korean college students’ problems on the emotional expression, but the relatively lower independent self-construal may cause them. The deficiency of independent self-constural may raise up the level of self-defensiv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ppress emotional expression by themselves, which can result in alexithymia.

keywords
상호독립적 자기관, 상호협조적 자기관. 감정표현불능증, 정서억제, 정서표현양가성,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dependent Self-construal, Alexithymia, Emotion suppress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참고문헌

1.

구자순 (1995). 신세대와 문화갈등. 한국사회이론학회(사회이론), 14, 211-237.

2.

김영식, 서용원 (2015). 조직구성원의 개인주의-집합주의 가치지향성이 정서표현 및 호감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8(4), 689-722.

3.

김현미, 방희정, 소유경, 옥 정, 김은경 (2006). 한국 남녀 대학생 집단에서 자아해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1(4), 437-458.

4.

김효선 (2013). 긍정정서 억제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해석 양식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나은영, 차유리 (2010).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추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4), 63-92.

6.

류승아, 김경미, 한 민 (2014). 문화적 자기관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행복 및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3), 177-203.

7.

박하얀, 정윤경, 최해연 (2015). 정서표현양가성의 발달과 이에 따른 정서표현성, 문제행동 및 심리적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8(3), 189-207.

8.

박한나, 허재홍, 오충광 (2017). 정서종류에 따른 정서억제와 안녕감 그리고 대인관계의 관계: 대학생 집단에서 개인 문화성향의 조절효과. 인간이해, 38(2), 115-130.

9.

손재민 (2005). 정서조절 방략 사용에서의 개인차: 인지적 재해석인과 정서표현 억제인의 비교.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0.

신현균, 원호택 (1997). 한국판 감정표현 불능증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219-231.

11.

안신능 (2006). 자기 개념에 따른 자기 불일치와 삶의 만족도의 인과적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양명순, 하정희 (2006). 자아해석 방식이 우울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17(2), 85-105.

13.

임소은, 박혜경 (2015). 문화성향에 따른 거절 반응과 예측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2), 279-297.

14.

이양현, 임효덕, 이종영 (1996). 한국판 20항목 Toronto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의 개발과 타당도. 신경정신의학, 35(4), 888- 899.

15.

이은경, 서은국, Chu, T., Kim, H., Sherman, D. K. (2009). 정서억제와 주관적 안녕감: 문화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31-146.

16.

이한우, 염동문 (2015). 대학생의 정서인식과 대인관계 간의 관련성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표현의 이중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1(2), 85-106.

17.

정선호, 서동기 (2016).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257- 282.

18.

정운선, 임효덕, 이양현, 김상헌 (2003). TAS-20의 한국판 3종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비교. 정신신체의학, 11(1), 77-88.

19.

진효정, 김정규 (2016).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자아존중감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9), 83-106.

20.

전혜빈, 박혜경 (2018). 사회 계층에 따른 가치 차이: 자기 참조 가치 대 문화 참조 가치.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4(4), 563-592.

21.

차혜경 (2018). 대학생의 가치지향성에 대한 주관성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3(1), 165-177.

22.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71-89.

23.

최해연, 이동귀, 민경환 (2008).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료성, 및 정서표현양가성의 군집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4), 59-73.

24.

한규석, 신수진 (1999).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293-310.

25.

한성열, 한 민, 이누미야 요시유키, 심경섭 (2015). 문화심리학: 동양인, 서양인, 한국인의 마음. 서울: 학지사.

26.

한아름 (2010). 정서억제와 심리적 안녕감 및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해석 양식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7.

홍주현, 심은정 (2013).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청소녀의 정신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1), 195-212.

28.

Bagby, R. M., Parker, J. D., & Taylor, G. J. (1994). The twenty-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I. Item selection and cross-validation of the factor structur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8(1), 23-32.

29.

Bagby, R. M., Taylor, G. J., & Parker, J. D. (1994). The twenty-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II. Convergent, discriminant,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38(1), 33-40.

3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

31.

Dere, J., Falk, C. F., & Ryder, A. G. (2012). Unpacking cultural differences in alexithymia: The role of cultural values among Euro- Canadian and Chinese-Canadian student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3(8), 1297- 1312.

32.

Dion, K. L. (1996). Ethnolinguistic correlates of alexithymia: Toward a cultural perspectiv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41(6), 531- 539.

33.

Gross, J. J. (1998). Antecedent- and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 Divergent Consequences for Experience, Expression, and Physi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1), 224- 237.

34.

Gross, J. J., &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348-362.

35.

Gross, J. J., & Levenson, R. W. (1993). Emotional suppression: physiology, self-report, and expressive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6), 970-986.

36.

Hayes, A. F., & Preacher, K. J. (2014). Statistical mediation analysis with a multicategorical independent variable. British Journal of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Psychology, 67(3), 451-470.

37.

King, L. A., & Emmons, R. A. (1990).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5), 864-877.

38.

Kirmayer, L. J. (1987). Languages of suffering healing: Alexithymia as a social and cultural process. Transcultural Psychiatric Research Review, 24(2), 119-136.

39.

Kirmayer, L. J., & Robbins, J. M. (1993). Cognitive and social correlates of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 Psychosomatics, 34(1), 41-52.

40.

Konrath, S., Grynberg, D., Corneille, O., Hammig, S., & Luminet, O. (2011). On the social cost of interdependence: Alexithymia is enhanced among socially interdependent peop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0(2), 135-141.

41.

Kooiman, C. G., Spinhoven, P., & Trijsburg. R. W. (2002). The assessment of alexithymia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 psychometric study of the Toronto Alexithymia Scale-20.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3(6), 1083-1090.

42.

Le, H. N., Berenbaum, H., & Raghavan, C. (2002). Culture and alexithymia: Mean levels, correlates and the role of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s. Emotion, 2(4), 341-360.

43.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s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2), 224-253.

44.

Norasakkunkit, V., & Kalick, S. M. (2002). Culture, ethnicity, and emotional distress measures: The role of self-construal and self-enhancement. Journal of Cross- Cultural Psychology, 33(1), 56-70.

45.

Sifneos, P. E. (1973). The prevalence of ‘alexithymic’ characteristics in psychosomatic patients.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22(2-6), 255-262.

46.

Singelis, T. M. (1994).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 Constru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5), 580-591.

47.

Swart, M., Kortekaas, R., & Aleman, A. (2009). Dealing with feelings: characterization of trait alexithymia o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cognitive-emotional processing. PLoS One, 4(6), e5751.

48.

Taylor, G. J., & Bagby, R. M. (2000). An overview of the alexithymia construct. In R. Bar-On & J. D. A. Parker (Eds.), The handbook of emotional intelligence (pp. 40-67). San Francisco: Jossey-Bass.

49.

Taylor, G. J., Bagby, R. M., & Parker, J. D. (1991). The alexithymia construct: a potential paradigm for psychosomatic medicine. Psychosomatics, 32(2), 153-164.

50.

Taylor, G. J., Bagby, R. M., & Parker, J. D. (2003).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Ⅳ. Reliability and factorial validity in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55(3), 277-283.

51.

Vaillant, G. E. (2000). Adaptive mental mechanisms: Their role in a positive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55(1), 89-9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