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에서는 인터넷 커뮤니티와 게시글 댓글 상에서 여성혐오 단어가 생성되고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혐오 단어에 대한 노출 정도가 개인이 가지는 여성혐오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1에서는 설문을 통해 여성혐오 단어의 노출 정도(알고 있는 여성혐오 단어 수, 인터넷 댓글을 보는 정도)와 명시적 여성혐오 태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혐오단어 노출이 많을수록 명시적 여성혐오 태도는 감소하였는데 이는 남성에게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미디어 자극에 대한 반복적 노출로 인한 자극 둔감화로 설명될 수 있다. 연구 2에서는 실험을 통해 여성혐오 단어의 노출 여부를 조작하고 암묵적 연합검사를 통해 암묵적 여성혐오 태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집단 간 분산 분석 결과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혐오단어에 노출될수록 암묵적 여성혐오 태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혐오 태도에 있어 명시적 태도와 암묵적 태도 간의 차이를 보여주며, 혐오단어에 대한 동일한 수준의 노출 정도가 남성과 여성의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Korean society, words related to misogyny are being created and spread out in the Internet communities and the Internet news posts com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f exposure to misogynistic words affects misogynistic attitudes toward women. Study 1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of misogynistic words (the number of misogynistic words known and the level of Internet comments viewed) and explicit misogynistic attitudes. As a result, the greater the exposure of misogynistic words, the less explicit misogynistic attitudes were found among men. The result can be explained as a desensitization of stimuli caused by repetitive exposure to media. In Study 2,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manipulate the exposure of misogynistic words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misogynistic attitudes through implicit association tests.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implicit misogyny attitude is stronger as male participants are exposed to misogynistic words. The finding of this study suggests that explicit and implicit attitudes toward misogyny can diverge. It also implies that the exposure to misogynistic words can affect men's and women's attitudes in a different manner.
고문정 (2018). 누가 온라인 뉴스에 댓글을 작성하거나 뉴스를 공유하는가?: 통계 학습 방법의 적용.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5 (1), 5-51.
김민영, 한규은 (2018). 정서조절을 통한 다문화 이주민에 대한 정서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2(3), 83-99.
김수아 (2015). 온라인상의 여성 혐오 표현. 페미니즘 연구, 15(2), 279-317.
김정인, 최상진, 손영미 (2001). 성희롱문제 지각에서 성차 및 성역할태도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3), 1-21.
국립국어원 (2002). 2002년 신어.
국립국어원 (2005). 2005년 신어.
국립국어원 (2014). 2014년 신어.
나은영, 권준모 (2002). 암묵적 연합 검사에 의한 지역 편견의 강도 측정 및 응용: 사투리 음성자극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6(1), 51-74.
박동근 (2012). [X-남], [X-녀]류 통신언어의 어휘 형성과 사회적 가치 해석. 사회언어학, 20(1), 27-56.
박현선 (2019). 신어에 나타나는 여성혐오 표현.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45-251.
방희정, 이현지 (2012). 노인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대학생 및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2), 191-213.
백승대, 안도헌 (2017). 여성의 사회진출에 대한 태도가 여성혐오 의식에 미치는 영향: 남자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56(1), 205-235.
서경현, 안귀여루 (2007). 데이트 폭력의 공격적 피해여성들의 특성과 연인관계에 대한 개입.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3(2), 77-96.
성나경, 성현준, 임광현, 김성현, 김성희, 김사라, 이수정 (2019). 대학생의 젠더혐오표현에 대한 암묵적 태도 측정-암묵적 연합 검사 (IAT) 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4(3), 243-261.
시사저널 (2016). “강남역 살인사건은 왜 여성혐오범죄가 됐나”. 2020년 7월 31일 검색,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152417
안상욱 (2011). 한국사회에서 ‘루저문화’의 등장과 남성성의 재구성.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홍식 (2010). 악성 댓글에 대한 제3자 효과 연구. 한국방송학보, 24(5), 238-278.
윤보라 (2013). 일베와 여성 혐오. 진보평론, 57(1), 33-56.
이수연, 김현정, 정수연 (2016). 텍스트마이닝 기반 토픽 분석을 통한 온라인 성차별성의 이해.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33(3), 159-199.
이은주, 박준모 (2016). 성별과 노출 빈도에 따른 여성 혐오 발언 규제 지지도의 차이. 언론정보연구, 53(2), 265-304.
한국행정연구원 (2017). 2017년 사회통합실태조사, 343-344.
조하나, 정연오, 이재동, 이지형 (2013). 인터넷 뉴스 댓글의 감성 분석을 통한 오피니언 마이닝.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23(1), 149-150.
주은혜, 백영민 (2018). 미투운동은 누구에게 어떤 과정을 통해 지지받는가?: 미디어의 동원효과와 성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2(6), 37-65.
주창윤 (2011). 젠더 호명과 경계 짓기.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299-314.
진경선, 김수연, 정유경, 송현주, 송 민 (2017). 단체카톡방 언어성폭력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2), 289-313.
최광선, 정명선 (1999). 공격특성과 성폭력 영화에의 반복 노출이 시청자의 기분변화, 폭력영화 및 피해자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5(2), 123-139.
페미위키. “여성혐오단어”. 2019년 4월 2일 검색, https://femiwiki.com.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연구센터 (2016). 혐오표현과 여성혐오에 대한 인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Ⅱ): 청년층 남성의 성평등 가치 갈등 요인을 중심으로.
홍영오, 이훈구 (2001). 암묵적 연합검사에 의한 지역 편견의 측정.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1), 185-204.
Altemeyer, R. A., & Altemeyer, B. (1996). The authoritarian specter. Harvard University Press.
Bargh, J. A. (1994). The four horsemen of automaticity: Awareness, intention, efficiency, and control in social cognition. Handbook of social cognition, 1, 1-40.
Brewer, P. R., Graf, J., & Willnat, L. (2003). Priming or framing: Media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foreign countries. Gazette (Leiden, Netherlands), 65(6), 493-508.
Christopher, A. N., & Mull, M. S. (2006). Conservative ideology and ambivalent sexism.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0(2), 223-230.
Christopher, A. N., & Wojda, M. R. (2008).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right-wing authoritarianism, sexism, and prejudice toward women in the workforce.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32(1), 65-73.
Code, L. (Ed.). (2002). Encyclopedia of feminist theories. Routledge.
Fazio, R. H., Jackson, J. R., Dunton, B. C., & Williams, C. J. (1995). Variability in automatic activation as an unobtrusive measure of racial attitudes: A bona fide pipelin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6), 1013-1027.
Feather, N. T., & McKee, I. R. (2012). Values, right‐wing authoritarianism,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ambivalent attitudes toward women.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42(10), 2479-2504.
Greenwald, A. G., & Banaji, M. R. (1995). Implicit social cognition: attitudes, self-esteem, and stereotypes. Psychological Review, 102(1), 4-27.
Greenwald, A. G., McGhee, D. E., & Schwartz, J. L. (1998).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implicit cognition: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6), 1464-1480.
Greenwald, A. G., Poehlman, T. A., Uhlmann, E. L., & Banaji, M. R. (2009). Understanding and using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III. Meta-analysis of predictive valid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7(1), 17-41.
Gunther, A. C. (1995). Overrating the x-rating: The third-person perception and support for censorship of pornography. Journal of Communication, 45(1), 27-38.
Henry, N., & Powell, A. (2015). Embodied harms: Gender, shame, and technology-facilitated sexual violence. Violence Against Women, 21(6), 758-779.
Hoffner, C., Buchanan, M., Anderson, J. D., Hubbs, L. A., Kamigaki, S. K., Kowalczyk, L., Pastorek, A., Plotkin, R. S., & Silberg, K. J. (1999). Support for censorship of television violence: The role of the third-person effect and news exposure. Communication Research, 26(6), 726-742.
Nosek, B. A. (2007). Implicit–explicit relations. Current Directions in Psychological Science, 16(2), 65-69.
Piggot, M. (2004). Double jeopardy: Lesbians and the legacy of multiple stigmatized identities. Unpublished thesis, Psychology Strand at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Australia.
Rattazzi, A. M. M., Bobbio, A., & Canova, L. (2007). A short version of the Right-Wing Authoritarianism (RWA)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5), 1223-1234.
Roskos-Ewoldsen, D. R., Klinger, M. R., & Roskos-Ewoldsen, B. (2007). Media priming: A meta-analysis. Mass media effects research: Advances through meta-analysis, 53-80.
Steele, J. R., & Ambady, N. (2006). “Math is Hard!” The effect of gender priming on women’s attitudes.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2(4), 428-436.
Valentino, N. A. (1999). Crime news and the priming of racial attitudes during evaluations of the president. Public Opinion Quarterly, 63(3), 293-320.
Zajonc, R. B. (1968).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 pt2),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