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에 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간의 관계: 사회적 거리두기에 관한 주관적 규범의 매개효과

Collectivism and Social Distancing during the Covid19 Crisis in Korea: The Mediating Role of Subjective Norm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1, v.27 no.3, pp.217-236
https://doi.org/10.20406/kjcs.2021.8.27.3.217
한지민 (성균관대학교)
최훈석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2020년 9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수도권 2.5단계와 전국 2단계 시기에 국내 거주 성인(N = 445)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개인의 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거리두기 행동 간의 관계를 사회적 거리두기에 관한 주관적 규범이 매개한다는 가설을 검증했다. 연구 결과,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사회적 거리두기에 관한 규범을 강하게 지각했고, 그에 따라 사회적 거리두기에 참여하는 매개경로가 유의했다. 그리고 이 결과는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지각하는 개인적 취약성에 관계없이 관찰되었다. 개인주의-집단주의와 행동면역, 그리고 코로나19 확산을 차단하는 효과적인 조치로서 사회적 거리두기와 관련하여 본 연구 결과가 지니는 시사점 및 장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keywords
COVID-19, collectivistic orientation, social distancing, subjective norm, 코로나19, 집단주의 성향, 사회적 거리두기, 주관적 규범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ubjective norm about social distanc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cultural orientation and their social distancing behavior during the early COVID-19 crisis in Korea. A total of 445 Korean adults participated in a survey during which level 2 to 2.5 prevention policies were being enforced. Results indicated, as expected, that collectivism positively predicted subjective norm that supports social distancing, which in turn predicted positively individuals’ participation in social distancing as prescribed by the central government. This result emerged regardless of individuals’ perception of personal vulnerability to COVID-19. We discus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erms of the link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 and behavioral immune system, along with the role of social distancing in curbing the spread of corona virus during the pandemic.

keywords
COVID-19, collectivistic orientation, social distancing, subjective norm, 코로나19, 집단주의 성향, 사회적 거리두기, 주관적 규범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