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자기-대화의 유형이 과제수행 및 수행 후 정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Types of Self-talk on Task Performance and Post-task Emo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2, v.28 no.2, pp.83-106
https://doi.org/10.20406/kjcs.2022.5.28.2.83
조민주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정영숙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자기-대화의 인칭과 내용이 과제수행과 정서 및 지각된 스트레스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부산 소재 대학교 학부생 100명을 대상으로 자기-대화의 인칭(일인칭 대 비 일인칭)과 내용(자기-격려 대 자기-비판)이 조합된 네 가지 조건에 25명씩 무선 할당하여 처치 전과 처치 후의 참가자들의 반응을 측정하였다. 처치 전후 차이 값을 사용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제수행, 과제 관련 자신감, 그리고 정서 반응, 지각된 스트레스에서 자기-대화 내용의 주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격려 자기-대화를 사용한 집단은 자기-비판 자기-대화를 사용한 집단보다 처치 후 과제수행이 더 증가하였고, 과제수행에 대한 자신감도 더 높았으며, 긍정 정서는 더 높고 부정정서와 지각된 스트레스는 더 낮게 나타났다. 지각된 스트레스 평정에서는 자기-대화의 인칭과 내용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일인칭 자기-대화의 경우 자기-격려 조건과 자기-비판 조건 간에 차이가 없었지만, 비 일인칭의 경우에는 자기-격려 조건이 자기-비판 조건에 비해 지각된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자기-대화, 자기-격려, 자기-비판, 인칭, 과제수행, 정서, 지각된 스트레스

Abstract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type and context of self-talk on task performance, task-post emotion, and perceived stress. Participants were 100 undergraduates in Busa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he experimental groups that were set by combining the narrative condition (the first-person versus non-first-person) to the content condition (self-reinforcing versus self-critic) to measure their pre and post intervention responses . For the analysis, we performed two-ways analysis of variance using the difference value of dependent variables comparing the pre and post-interven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that content condition of self-talk significantly influenced task performance, task-related confidence, emotion response, and perceived stress. That is, the self-reinforcement self-talk group showed better performance, higher task-related confidence, more positive emotion, lower negative emotion and less perceived stress than the self-critic self-talk group. The contents conditions of self-talk interacted with the narrative condition of self-talk to predict perceived stress, indicating that only non-first person/self-reinforceing self-talk group showed reduced levels of perceived stress.

keywords
self-talk, self-reinforcement, self-criticism, task-performance, -post-task emotion, perceived stres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2-06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3-20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