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특권의식이 데이트 관계에서의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지배경향성과 사회비교경향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Controlling behavior in dating relationships: Focusing on the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2, v.28 no.4, pp.555-575
https://doi.org/10.20406/kjcs.2022.11.28.4.555
이한올 (숙명여자대학교)
박지선 (숙명여자대학교)

초록

최근 들어 데이트 폭력의 심각성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으나, 데이트 폭력 유형 가운데 통제행동에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권의식과 통제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특권의식이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지배경향성과 사회비교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성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사회지배경향성의 경우, 특권의식과 통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라매개효과가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특권의식이 높을수록 사회지배경향성 및 사회비교경향성이 강하며,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사회지배경향성 및 사회비교경향성이 강할수록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특권의식이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지배경향성이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또한, 특권의식과 통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회비교경향성의 하위요인 중 하나인 능력비교경향성이 완전매개역할을 하였다. 더불어, 특권의식이 사회지배경향성을 매개로 통제행동에 미치는영향이 성별에 따라 조절되었다. 즉, 특권의식과 통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남성의 경우에는 사회지배경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에 대해 제안하였다.

keywords
특권의식, 통제행동, 사회지배경향성, 사회비교경향성, 능력비교경향성

Abstract

Recently, dating violence has emerged as a serious social problem, but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on controlling behavior among the subtypes of dating violence. Thise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controlling behavior, and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Furthermore, the study examined if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controlling behavior differed by gender. As a result, the higher the level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the stronger the level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the controlling behavior. In addition, the stronger the level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and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the more frequently was the occurance of the controlling behavior committed. The level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controlling behavior. The level of ability comparison orient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controlling behavior.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controlling behavior was moderated by gender. In other words,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controlling behavior was significant for the male, but not for the femal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psychological entitlement, controlling behavior,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bility comparison orientation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07-22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09-22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