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재난 뉴스의 점화 효과: 지리적․심리적 거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Priming Effects of Disaster-related TV News: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of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3, v.29 no.1, pp.53-74
https://doi.org/10.20406/kjcs.2023.2.29.1.53
김부종 (계명대학교)
최윤경 (계명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 뉴스의 점화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특히 재난과의 지리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에따라 외상점화 효과 및 중립점화 효과에서 차이가 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참가자는 대구지하철 화재 사건을 직접 경험한 적이 없고, 스크리닝 설문에서 배제 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대학생 75명이었으며, 모든 참가자는 뉴스 동영상을 시청한 후 어휘판단과제를 수행하였다. 설계는 2(지리적 거리) × 2 (심리적 거리) × 2(점화 유형) 혼합 설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난으로부터 지리적으로 가까운 집단이 먼 집단에 비해 점화 효과가 큰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재난으로부터 심리적으로 가까운 경우, 지리적으로도 가까운 집단이 지리적으로 먼 집단에 비해 점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난으로부터 지리적으로 가까운 집단이 먼 집단에 비해 중립점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넷째, 재난으로부터 심리적으로 먼 집단이 가까운 집단에 비해 중립점화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요약하면, 재난 뉴스가 사람들에게 암묵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지리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에 따라 그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재난, 매체 노출, 간접외상,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점화, 지리적 거리, 심리적 거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iming effects of disaster-related news. Specificall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iming effects about trauma words and neutral words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rom the disaster.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5 college students who had not experienced the Daegu subway fire accident, and whom were not ruled out after completing the screening measure completing the screening measure the completion of questionnaires for screening. All participants conducted a lexical decision task after watching a news video about the Daegu subway fire accident. The design was a 2 (Geographical distance: close vs. distant) × 2 (Psychological distance: close vs. distant) × 2 (Priming type: trauma priming vs. neutral priming) mixed-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which was geographically closer to the disaster tended to revealed a largerbigger priming effect than the distant group-a trend toward significance. Second, within the psychologically closer to the disaster, group, for those who were geographically closer too, the priming effect was larger for those who were geographically closer geographically closer than for the geographically distant group. Third, the geographically closer group had a largerbigger neutral priming effect than the distant group. Fourth, the psychologically distant group had a largerbigger neutral priming effect than the close group. To sum up, this study identified that disaster news coverage may have an implicit effect on people, and this influence can change according to the geographical and psychological distanc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keywords
disaster, media exposure, indirect trauma, PTSD, priming, geographical distance, psychological distance
투고일Submission Date
2022-11-07
수정일Revised Date
2022-11-15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2-12-19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