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성인 남녀의 병리적 자기애가 데이트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 성차를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the Effects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Dating Violence: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23, v.29 no.4, pp.569-593
https://doi.org/10.20406/kjcs.2023.11.29.4.569
최단비 (전주대학교)
최단비 (전주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남녀의 병리적 자기애와 데이트폭력 가해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 각 변인에 있어서 성차가 있는지, 매개 경로를 성별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20대 성인남녀 381명을 모집하여 병리적 자기애, 거부민감성, 네 가지 유형의 데이트폭력 가해 경험에 대한 온라인 자기보고 설문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여성은 남성에 비해 자기애적 취약성과 거부민감성 수준이 높고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 통제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분석 결과 병리적 자기애가 심리적 폭력,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부민감성이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으나, 성적 폭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완전매개 효과를 보였다. 반면 병리적 자기애와 신체적 폭력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이 매개 경로에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측정한 결과 자기애적 웅대성과 자기애적 취약성이 거부민감성을 매개로 통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 같은 결과는 남녀 모두 병리적 자기애가 심리적 폭력, 성적 폭력을 촉진하며 이 과정에서 거부민감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병리적 자기애가 거부민감성을 통해 통제행동 가해에 미치는 영향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아 매개 경로에 성차가 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자기애적 취약성, 자기애적 웅대성, 데이트폭력 가해, 거부민감성, 성차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i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dating violence, and to verify whether there is a gender difference in each variable, further examining the gender difference in the mediating pathway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81 men and women in 20s living across the country, and online self-report surveys was conducted regarding their experiences of pathological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and four types of dating violence. As a result of verifying gender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women had a higher vulnerability to narcissism, rejection sensitivity and committed more psychological violence, sexual violence, and controlling behavior than men. As a result of the mediat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rejection sensitivity partial mediated the effect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psychological violence and control behavior, but it showe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n sexual violence. And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rejection sensitivity between pathological narcissism and physical violence.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is mediating pathway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ender was verified in the effect of naricissistic grandiosity and narcissistic vulnerability on control behavior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These results show that pathological narcissism promotes psychological and sexual violence in both men and women, and rejection sensitivity acts as a mediator in this process. In addition, the effect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the control behaviors through rejection sensi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men than in men, indicating that there are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ed pathway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naricissistic grandiosity, narcissistic vulnerability, dating violence, rejection sensitivity, gender difference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09-08
수정일Revised Date
2023-09-22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11-06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