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61
본 연구에서는 일상생활에서 노인들이 경험하는 연령주의를 측정하는 일상 속 연령주의 척도(Everyday Ageism Scale: EAS)를 한국어로 번안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만 60세 이상 성인 남녀 49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한 후, 무선적으로 두 집단을 추출해 첫 번째 집단(198명)에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두 번째 집단(300명)에서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원척도와 동일한 10개 문항, 3개 하위요인(연령주의적 메시지 노출, 대인관계에서 연령주의, 내면화된 연령주의)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판 일상 속 연령주의 척도(The Korean Version of the Everyday Ageism Scale: K-EAS)의 내적 신뢰도, 수렴타당도, 준거타당도, 증분타당도도 모두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대인관계에서 연령주의와 내면화된 연령주의는 노인차별 피해경험, 노화에 대한 부정적 자기 인식, 우울과 정적 상관이 있는 반면, 노화에 대한 긍정적 자기 인식 및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EAS가 우울에 대한 명시적인 노인 차별 피해 경험 외에 추가적인 설명량이 있음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K-EAS 활용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했다.
This study validated and investigated the psychological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Everyday Ageism Scale to measure subtle ageism in day-to day lives. A total of 498 adults aged 60 and abo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ich involved measuring the everyday ageism scale,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 self-perception of aging scale, depression (SCL-90R),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e sample was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Tthe first group(n=198) used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second group(n=300)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testing. As a result, if was confirmed that K-EAS consist of 10 items and 3 dimensions (i.e., exposure to ageist messages, ageism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ernalized ageism),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scale. K-EAS demonstrated good internal consistency,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incremental validity. In specific, ageism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ernalized ageism were correlated with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 nega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depression. However, ageism in interpersonal interactions and internalized ageism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positive self-perceptions of aging and satisfaction with life. Also, the K-EAS provided additional explanation of depression even when excluding the effect of experiences of elderly discrimination. The result confirme that K-EAS is reliable and vali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the use of K-EAS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