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아동과 어른 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표상: 성격적, 관계적 및 과업적 특성을 중심으로

Social Representations on Children, Adults and Adolescents: With Focus on Personality, Relationships and Task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2, v.8 no.2, pp.4-76
정태연 (연세대학교)
최상진 (중앙대학교)
김효창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개방형 질문을 이용한 두 개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서 아동(혹은 아이), 어른(혹은 성인) 그리고 청소년에 대한 한국대학생의 사회적 표상을 살펴보았다. 연구 1은 한국대학생 97명(남: 28명, 여: 69명)을 대상으로 아동과 어른에 대한 사회적 표상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어른다운) 어른과 대비되는 아이의 특성은 대부분 성격적인 측면과 관련되었으며, 특히 아이는 어른에 비해 외향성이 높은 반면, 호감성, 성실성 및 교양에서의 수준은 낮았다. 또한, 아이와 어른 모두 그들의 행복과 불행은 거의 대부분 대인관계적 특성과 건강, 가정의 경제적 환경이나 사회적 성취수준에 의해 결정되었다. 반면, 좋은 아이는 성격적으로 타인에 대한 배려나 독립성 등 높은 호감성과 성실성에 의해 거의 전적으로 규정되었는데, 이러한 특성은 아이다운 아이의 특성보다는 어른다운 어른의 특성과 매우 유사했다. 연구 2에서는 한국대학생 57명(남: 16명, 여: 41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표상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청소년은 성격이나 자아개념, 신체적 및 과업적 특성에서 아이와 어른의 중간 단계에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행복하거나 불행한 청소년은 아이 및 어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관계적 특성과 과업적 특성 혹은 환경적 특성에 의해 크게 결정되었다. 그러나, 좋은 혹은 나쁜 청소년은 아이의 경우와는 달리 성격에서의 호감성과 성실성 이외에도 자아 관련 특성, 관계적 특성 및 과업적 특성에 의해서도 규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한국사회의 문화적 특성 및 인간발달의 입장에서 논의하였다.

keywords
사회적 표상, 아동, 어른, 청소년, 성격특성, 관계적 특성, 과업적 특성, Social Representation, Children, Adolescents, Adults, Personality, Relationships and Tasks., Social Representation, Children, Adolescents, Adults, Personality, Relationships and Tasks.

Abstract

Using open-ended questionnaires,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explore social representations held by Korean undergraduates on children, adults and adolescents. Study 1 compared between children and adults with responses reported by 97 undergraduates(men: 28, women: 69). According to the results, characteristics of children distinctive from adults were basically personality-related and in particular, typical children were marked by high extroversion, low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and culture. Further, happiness for both children and adults was determined mainly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hysical health and socio-economical status. However, good(or desirable) children characteristic of high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were more similar to adults worthy of the name than to children worthy of the name. Using 57 undergraduates(men: 16, women: 41), Study 2 explored social representations of adolescen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verall adolescence were on the bridging state between childhood and adulthood. Happiness for adolescents, like both children and adults, was determined mainly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o-economical status. Finally,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self-, task- and relationship-related characteristics were involved in judging good(or desirable) adolescents.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features of Korean culture and human development.

keywords
사회적 표상, 아동, 어른, 청소년, 성격특성, 관계적 특성, 과업적 특성, Social Representation, Children, Adolescents, Adults, Personality, Relationships and Tasks., Social Representation, Children, Adolescents, Adults, Personality, Relationships and Task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