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명칭성 실어증(Anomia) 환자에서 보이는 단어 산출 과정의 단원적 구조

Modular structure of word production process in anomi aphasia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0, v.12 no.1, pp.89-106
편성범 (한국보훈병원 재활의학과)
문영선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정재범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이홍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남기춘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명칭 실어증 환자의 단어 산출 과정을 통해 단어 산출과 관련된 다음과 같은 문제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 개념 정보 처리 구조와 어휘 정보 처리 구조가 분리되어 있는가? (2) 개념 구조는 단원적인가? (3) 외국어인 영어 어휘 구조는 한글의 어휘 구조와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가? 본 실험은 좌측 뇌경색으로 명칭 실어증이 발생한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실험은 그림 명명 과제(picture naming task), 단어 명명 과제(word naming task), 의미범주 판단과제(semantic categorization task), 어휘 판단 과제(lexical decision task) 등의 방법으로 진행하였고 한글로 검사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뒤 영어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림 명명 과제에 사용된 그림은 모두 98개였는데, 환자는 이 중 30개(30.6%)를 명명할 수 있었다. 명명에 실패한 68개의 그림 중에서 그림과 관련된 단어의 정의, 유의어 및 반의어, 단어의 첫 음절을 단서로 제공한 후 검사하였는데 다른 단서를 제공한 경우에는 그림 명명에 도움이 되지 않았고 첫 음절을 단서로 제공했을 경우에 실수를 보여 의미 정보처리에는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어 명명 과제에서도 모두 정확한 반응을 보여 소리내어 읽기에도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휘 판단 과제에서도 11개 단어에서만 실수를 보여 어휘 시스템에도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명칭 실어증 환자 SDK에서 나타나는 그림 명명의 어려움이 의미 시스템, 어휘 시스템, 단어 음운 부호 생성 및 발성 등의 문제보다는 의미 시스템과 어휘 시스템간의 연결과정의 손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의미 범주에 따라 개념구조가 단원적(modular structure)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조사한 실험에서는 실수 비율 분석과 의미 범주화 판단 시간에서 인공물과 자연물이 단원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국어인 한국어의 어휘 시스템과 외국어인 영어 어휘 시스템간의 분리 가능성에 대한 조사에서는 실수의 형태로 보아서 두 언어 시스템이 일부는 중첩되고 나머지는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한다는 가설이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word production in an anomic aphasic. The questions were as follows: 1) Are the structure of the semantic information system separated from the lexical system? 2) Does the semantic system have a modular structure? 3) What`s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English in word production process? We examined a right-handed male patient who had been diagnosed as an anomic aphasia by Western Aphasia Battery (WAB) after cerebral infarction on the left hemisphere. Four tasks, such as picture naming, word naming, semantic categorization, and lexical decision task were performed. We used ninety eight pictures which were consisted of forty eight natural things and fifty artificials. After completion of four tasks with Korean, same tasks excluding the semantic categorization were performed through English.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between two languages. In picture naming task, the patient named correctly in thirty (30.6%) out of the ninety eight pictures. After given verbal cues, the patient answered correctly in forty five more pictures (45.9%). Most effective cue was initial phonemes or syllables of the target name. In word naming task, the patient read all the names correctly. In case of semantic categorization and lexical decision task, the error rate was only 5.1% and 11.2%, respectively. And picture naming performance differed in the natural and artificial category members. Furthermore, some naming errors in English were overlapped with the naming errors in Korean, but the other naming errors in English occurred only in English naming. In conclusion, these results were suggestive of the possibility of disruption at the connection between lexical and semantic systems in anomic aphasia. And the semantic system may have modular structure, such as artificial versus natural things as shown in this study. The test results performed by English revealed that the word production system of the two languages had both the common and independent area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