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위험에 관한 형용사 어휘와 위험 대상의 분류과제에서 도출한 위험의 의미 구조

Psychological Dimensions of Perceived Risk Revealed from Classification of Risk Related Adjectives and Risk Object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05, v.17 no.2, pp.202-222
안서원 (성균관대학교)
도경수 (성균관대학교)

초록

일반인들이 지각하는 위험의 의미 차원을 도출하기 위해 위험에 관한 형용사 어휘와 위험대상을 분류한 자료에 대해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위험을 표현할 때 쓰이는 형용사 어휘 50개를 선정하여 이를 네 번 분류하게 하였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다차원척도 분석을 실시하여, ‘활성화 수준’, ‘두려움의 예측정도’, ‘위험 대상(인물 대 상황)’, ‘심리적 반응의 강도’의 네 차원을 도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대표적인 위험대상 40개에 대해 네 번 분류하게 하였다. 그리고 각 위험대상들을 연구 1에서 얻은 형용사 척도에서 평정하게 하였다. 위험 대상의 분류자료를 다차원척도 분석하여 ‘위험발생의 예측가능성’, ‘지각된 심각성’, ‘피해의 범위', '노출의 일상성’의 네 차원을 도출하였다. 이중 ‘예측가능성’은 형용사 척도의 ‘두려움의 예측정도’와, ‘지각된 심각성’은 나머지 세 척도와 잘 대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3에서는 연구 1, 2에서 모두 도출된 ‘예측가능성’과 ‘지각된 심각성’의 차원 독립성을 검증하였는데 ‘지각된 심각성’에 따른 위험대상의 구분이 더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위험지각, 분류과제, 다차원척도 분석, 예측가능성, 지각된 심각성, risk perception, sorting task, multidimensional scaling, predictability, perceived severity, risk perception, sorting task, multidimensional scaling, predictability, perceived severity

Abstract

The present study used sorting task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to obtain psychological dimensions of risk perception from risk related adjectives and risk objects. In study 1, we selected 50 risk related adjectives and had participants sort them four times. We chose a four dimension solution and interpreted them as ‘activation(or arousal) level’, ‘predictability of dread’, ‘severity of risk’, and ‘severity of psychological response.’ In study 2, we selected 40 representative risk objects and had participants sort them four times. In addition, each risk object was rated with the property scales from the four dimensions of adjectives of study 1. We chose a four dimension solution and interpreted them as ‘predictability of occurrence', ‘perceived severity’, ‘public vs. personal’, and ‘common vs. rare.’ The property ‘predictability of dread' fitted well with ‘predictability of occurrence' and the rest three properties fitted well with ‘perceived severity.’ In study 3, we tested the psychological plausibility of ‘predictability of occurrence' and ‘perceived severity’ by using odd one out tasks, a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easier to distinguish risk objects by ‘perceived severity’ than by ‘predictability of occurrence.' Finall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위험지각, 분류과제, 다차원척도 분석, 예측가능성, 지각된 심각성, risk perception, sorting task, multidimensional scaling, predictability, perceived severity, risk perception, sorting task, multidimensional scaling, predictability, perceived severity

참고문헌

1.

(1994) 정서의 공발생 경험 구조,

2.

(1995) 한국인의 위험인지와 정책적 함의,

3.

(1998) 한국인의 위험인식,

4.

(1994) 한국어 정서단어의 분석 정서단어의 유사성구조와 정서체험의 구조,

5.

(1990) 형용사 서술 의미의 구조에 관한 연구-정서관련어휘를 중심으로,

6.

(2005) 위험지각의 심리적 차원,

7.

(2002) 2002년 사망원인 통계연보, 통계청

8.

(1988) Some current models for the perception and judgment of risk,

9.

(2004) Risk perception research:socio-cultural perspectives on the public experience of air pollution,

10.

(1978) How safe is safe enough? A psychometric study of attitudes towards technological risks and benefits,

11.

(1976) Science and the Determination of Safety,

12.

(1987) Perception of risk,

13.

(2000) The perception of risk, Earthscan Publications Ltd

14.

(1969) Social benefit versus technological risk,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