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안쪽 분절과 바깥 분절의 변형 및 추가가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ddition and modification of inner segments and outer segments on neon color spreading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10, v.22 no.1, pp.21-39
https://doi.org/10.22172/cogbio.2010.22.1.003
정우현 (충북대학교)
이일우 (충북대학교)

초록

변형된 Redies-Spillmann 도형을 자극으로 사용하여 색 분절의 바깥쪽에 있는 분절과 안쪽에 있는 분절이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 1에서는 안쪽 분절과 바깥쪽 분절의 공선성이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고 실험 2에서는 연결성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실험 3-1과 3-2에서는 바깥쪽 분절과 색 분절의 간격의 동일성과 길이의 동일성이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실험 4에서는 안쪽 분절과 바깥쪽 분절이 추가되었을 때 네온 색 확산의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안쪽 분절의 공선성과 연결성의 영향보다는 바깥쪽 분절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간격의 동일성과 길이의 동일성은 공선성이나 연결성에 비해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했다. 안쪽 분절이 추가되었을 때는 네온 색 확산이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바깥쪽 분절이 추가될 경우 네온 색 확산이 감소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색 확산이 안쪽 윤곽과 바깥쪽 윤곽의 내부로 일어날 때 그 진행 방향이 동일하지 않으며 주관적 윤곽과 네온 색 확산은 별개의 기제에 의해서 만들어짐을 시사한다.

keywords
neon color spreading, collinearity, continuity, inner segments, outer segments, subjective contour, 네온 색 확산, 공선성, 연결성, 안쪽 분절, 바깥쪽 분절, 주관적 윤곽

Abstract

Fiv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inner and outer segments on the neon color spreading using the modified Redies-Spillmann figure. Experiment 1 examined the effect of collinearity of inner and outer segments on neon color spreading and experiment 2 compared the effect of continuity. Experiment 3-1 and 3-2,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ame space and length of colored segments and outer segments on neon color spreading. Experiment 4 tested how the degree of neon color spreading changed when inner and outer segments were add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impact of outer segments was stronger than inner segments on neon color spreading in collineartity and continuity. However, the effects of identical spaces and lengths were less important than collinearity and continuity on color spreading. In contrast with addition of inner segments, when outer segments were added color spreading were reduced significant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entrifugal color spreading is stronger than centripetal spreading and that the subjective contours and the color spreading are caused by separate mechanisms.

keywords
neon color spreading, collinearity, continuity, inner segments, outer segments, subjective contour, 네온 색 확산, 공선성, 연결성, 안쪽 분절, 바깥쪽 분절, 주관적 윤곽

참고문헌

1.

장준익, 정찬섭. (1999). 유도 선분의 첨가가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157-159.

2.

Bressan, P., Mingolla, E., Spillmann, L. & Watanabe, T. (1997). Neon color spreading: a review. Perception, 26, 1353-1366.

3.

Frisby, J. P. & Clatworthy J. L. (1975). Illusory contours: Curious cases of simultaneous brightness contrast? Perception, 4, 349-357.

4.

Grossberg, S. (1994). 3-D vision and figure-ground separation by visual cortex. Perception & Psychophysics, 55, 48-120.

5.

Grossberg, S. & Mingola, E. (1985). Neural dynamics of form perception: Boundary completion, illusory figures, and neon color spreading. Psychological Review, 92, 173-211.

6.

Jory, M. K. (1987). Increment thresholds in illusory contour line pattern. In S. Petry and G. E. Meyer. (1987), The Perception of Illusory Contours. 183-190.

7.

Jory, M. K. & Day, R. H. (1979). The relationship between brightness contrast and illusory contours. Perception, 8, 3-9.

8.

Kato, H., Bishop, P. O. & Orban, G. A. (1978). Hypercomplex and simple/complex cell classification in cat striate cortex. Journal of Neurophysiology, 41, 1071-1095.

9.

Peterhans, E., von der Heydt, R. & Baumgartner, G. (1986). Neuronal responses to illusory contour stimuli reveal stages of visual cortical processing. In JD. Pettigrew, KJ. Sanderson & WR. Levick (Ed.), Visual Neuroscience (pp.343-351).

10.

Redies, C. & Spillmann, L. (1981). The neon color effect in Ehrenstein illusion. Perception, 10, 667-681.

11.

Redies, C., Spillmann, L. & Kunz, K. (1984). Colored neon flank line gap enhancement. Vision Research, 24, 1301-1309.

12.

Watanabe, T. & Sato, T. (1989). Effects of luminance contrast on color spreading and illusory contour in the neon color spreading effect. Perception & Psychophysics, 45, 427-430.

13.

Watanabe, T. & Takeichi, H. (1991). The relation between color spreading and illusory contours. Perception & Psychophysics, 47, 457-467.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