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얼굴표정 정서판단에 미치는 정서단어와 정서적 얼굴의 차별적 맥락조절효과

Differential Context Modulation Effects of Emotion Words and Emotional Faces in Facial Emotion Judgment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2022, v.34 no.2, pp.135-148
https://doi.org/10.22172/cogbio.2022.34.2.008
양현보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이정수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이동훈 (부산대학교)

초록

한 사람의 얼굴표정 이전에 제시되는 정서단어나 다른 사람의 얼굴표정은 그 사람의 정서를 파악하는 맥락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정신물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사전에 제시한 정서단어와 얼굴표정이 표적 얼굴표정의 정서판단에 미치는 맥락조절효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참가자들은 맥락으로 정서단어(“기쁨”, “분노”) 또는 그에 대응하는 얼굴표정(전형적 기쁨 표정, 분노 표정)을 본 후, 뒤따르는 분노-기쁨 6단계 표적 얼굴표정의 정서범주를 판단하는 2안 강제선택과제(2 AFC; two alternative forced choice task)를 수행하였다. 맥락 제시시간을 달리하여 두 번의 실험을 진행한 결과(실험 1: 200ms, 실험 2: 1500ms), 정서단어 맥락은 제시시간과 상관없이 맥락 정서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정서판단 역치를 이동시키는 동화성 맥락조절효과를 유발하였다. 이에 반해 얼굴표정 맥락은 맥락 정서와 반대 방향으로 판단 역치를 이동시키는 대조성 맥락조절효과를 유발하였다. 이때, 기쁨 표정 및 분노 표정의 맥락조절효과는 제시시간의 영향을 받았다. 맥락 제시시간이 짧은 경우에는(실험 1: 200ms) 기쁨 표정의 대조성 맥락조절효과만 관찰된 반면, 맥락 제시시간이 충분히 긴 경우에는(실험 2: 1500ms) 기쁨 표정과 분노 표정의 대조성 맥락조절효과가 모두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정서판단 맥락으로서 정서단어는 정서개념을 활성화하는 반면 얼굴표정은 구조적 정보를 활성화함에 따라 뒤따르는 얼굴표정 정서지각에 상이한 맥락효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Context modulation effect, emotion words, emotional faces, psychophysics, language-as-context hypothesis, 맥락조절효과, 얼굴표정, 정서단어, 정신물리학, 언어맥락가설

Abstract

Emotion words or emotional faces presented before a person's facial expressions can be used as contextual information to identify that person's emotion. Using a psychophysical method, we compared the context modulation effects of emotional words and faces on emotion judgment of the target faces. We presented emotion words (“happiness”, “anger”) or emotional faces (typical happy and angry face) as context, and then participants performed a two alternative forced choice task (2-AFC) to determine the emotion of the target face of which emotion was gradually morphed from happiness to anger. As a result of two experiments with different context presentation times (Experiment 1: 200 ms, Experiment 2: 1500 ms), the emotional word context induced an assimilation context modulation effect that shifts the emotion judgment threshold in a direction consistent with the context emotion regardless of the presentation time. On the other hand, the facial expression context induced a contrasting context-regulating effect that shifted the judgment threshol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contextual emotion. At this time, the context modulation effect of happy expression and anger expression was affected by the presentation time. When the context duration was short (200ms), only contrastive effect of happy face was observed, whereas when the context duration was long enough (1500ms), both contrastive effect of the happy and angry face were obser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emotional words as context activate emotional concepts, whereas facial expressions activate structural information, which can lead to different contextual effects on the emotional perception of subsequent facial expressions.

keywords
Context modulation effect, emotion words, emotional faces, psychophysics, language-as-context hypothesis, 맥락조절효과, 얼굴표정, 정서단어, 정신물리학, 언어맥락가설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