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6-9654
  • E-ISSN2733-466X
  • KCI

한글 인식 초기과정의 글자유형 분류처리

Recognition of Global Character Type in Initial Phase of HANGUL Character Identific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ological Psychology, (P)1226-9654; (E)2733-466X
1992, v.4, pp.16-24
김미현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이만영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한글 글자를 지각하는데 있어서 인식의 초기 단계에 사람들이 글자의 유형을 처리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글자인식의 초기 단계에서 유형 분류를 한다는 것은 이미 인공시각 연구자들에 의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검증된 바 있으나, 그것이 심리학적으로 실재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검토는 없었으므로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된 것이다. 먼저 예비실험을 통해 본 실험에서 쓸 자극제시시간을 구했으며, 실험은 한글 글자 중 낱자 수가 두개인 유형 1,2의 글자를 자극으로 쓰는 경우와, 낱자 수가 세개인 유형 3, 4, 5의 글자를 자극으로 쓰는 경우를 나누어서 실시하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모두 가설을 강력히 지지하는 것으로 나왔다. 즉 자극제시시간을 역치이하로 했을 경우 글자의 정답율과 유형의 정답율을 비교해 보았을 때 유형의 정답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는 아직 글자의 세부속성처리가 일어나기 전인 인식의 초기 단계에서 이미 글자의 유형에 대한 처리가 일어났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keywords

Abstract

Many of the system modeles for pattern identification of hangul character have adopted a separate subsystem of global character type classification as an initial part. The subsystems umanimously classify hangul characters into six types. The present study determined psychological realities of the subsystems. Thirty six subsystems were asked to identify or guess the presented characters individually through T-scop for short duration. The presentation time was varied into three levels, which were determined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 The shortest duration was determined to ensure abiout 10% of correct chracter identification in average rate, while the longest duration to ensure about 85% of correct identification. The results of two Experiments strongly support the hyphothesis of this study. That is, when the stimulations are presented is under threshold, the rate of correct subsystem identification is high but, to the rate of correct chracter identification is low. This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the subsystem be taken before that of the chracter is, at the early stage of the perceptio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