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6-9654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우위구조 탐색 모형과 2단계 모형들의 상대적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위구조에 대한 탐색은 사전편집, 유망대안 찾기, 우위성 검증, 우위구조화의 4단계를 거쳐 이루어 진다고 본다. 의사결정의 초기 단계에서 탐색되는 속성의 수가 처리용량의 한계에 의해 결정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 1의 결과, 의사결정의 초기 과정에서 탐색되는 속성 정보의 수는 처리 용량 한계내로 제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는 사전편집단계 이후 하나의 유망대안이 잠정 선택되고 이 대안의 최종 선택가능성이 높다는 우위구조 탐색 모형의 가정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우위대안의 수에 관계없이 유망대안의 선택 비율이 75%로 나타났고, 경쟁상황에서 조차 유망대안 중 85%가 최종 선택되었다. 우위성 검증과정과 우위구조화과정에 대한 증거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된 실험 3의 결과, 선택이전에 중요 속성 및 비중요속성 모두가 탐색되었고 속성의 중요도에 관계없이 모든 갈등 속성이 갈등해결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4는 대안간 갈등이 있을 때 깍가내림과 부가 조작에 의해 선택대안이 경쟁대안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는 방향으로 주어진 정보(속성 중요도 및 속성값의 매력)가 재구조화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선택대안 주위속성의 중요도는 의사결정 이전에 비해 이후에 더 높게 평가(부각)된 반면, 경쟁대안 우위속성의 중요도는 더 낮게 평가되었다(깍아내림). 속성값 매력평가 결과에서, 경쟁대안 속성값의 매력평가는 의사결정 과정 중에 변화되지 않았으나 선택대안 속성값의 매력정도는 의사결정 후기 과정에서 더 높게 평가되었다. 요약하면, 의사결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모형들 중 우위구조 탐색 모형이 2단계 모형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은 설명력을 지니고, 의사결정 과정이 대체로 우위구조 탐색 모형에서 가정된 단계를 거쳐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ative validity of the dominance structure search model in comparison with the two-stage models which had been proposed to explain decision process.. The search for a dominance structure is assumed to go through four phases, viz. pre-editing, finding a promising alternative, dominance testing, and dominance structuring. Experiment 1 tested whether or not the number of attributes searched in the initial stage of decision making were determined by the limited capacity of information process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attribute information searched in the initial stage of decision making is determined within the limited capacity.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test the assumption of the dominance search model, that a certain promising alternative is selected tentatively after the pre-editing stage and this alternative has high likelihood to be selected later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regardless of the number of dominant alternatives, the selection rate of the promising alternative was about 75% of all trials and of the alternative was selected finally 85% of the times even in competitive situation. In Experiment 3, the evidences for the dominance testing process and the dominance structuring proces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important and unimportant attributes were searched before the final choice and all conflicting attributes became the objects of conflict-resolution operation, regardless of the attribute importance. Experiment 4 tested whether or not the given information (e.g., attribute importance and attractiveness of attribute values) was restructured in the direction that a selected alternative might be dominant than competitive ones by means of the de-emphasizing and the bolstering operation in the case of interalternatives conflic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dominant attributes in the selected alternative was bolstered more strongly in a post-decision than in a pre-decision, however, the importance of the dominant attributes in the competitive ones was de-emphasized much more low. The result on the attractiveness evaluation of attribute values showed that the evauation of attractiveness of attribute values in the competitive ones was not changed in the decision process, however, the attractiveness evaluation of attribute values in the selected one was bolstered more strongly. In summar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ominance search model can explain the decision process very well in comparison with the two-stages models, a decision is made generally via the stages assumed in the dominance search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