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한국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및 제언

Tasks and Suggestions for Psychological Researchers on the Trust and Mistrust of Korean Society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5, v.11 no.특집, pp.163-174
한성열 (고려대학교)

초록

이 글은 본 특집호에 게재된 여덟 편의 논문을 소개하면서 현재 한국 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대한 연구의 과제를 문화심리학적 입장에서 제안한 것이다. 한국의 전통적 문화에서 신뢰는 혈연을 기초로 맺어진 부자 관계를 중심으로 한 가족적 관계에서 배태된 것이라는 점을 밝히고 계약에 의해 맺어진 부부 관계를 기반으로 한 시장적 관계에서 배태된 서양의 신뢰와는 서로 다른 의미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이런 의미에서 전통적 가족 관계가 급하게 해체되어 가는 현재 한국 사회는 불신의 사회가 아니라 신뢰부재의 사회라고 명명하였다. 그리고 앞으로의 심리학적 연구는 이런 한국적 문화의 특성을 충분히 배려한 토착심리학적 고려를 바탕으로 수행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keywords
Trust, Mistrust, Korean culture, Indigenous psychology, 신뢰, 불신, 한국 문화, 토착심리, Trust, Mistrust, Korean culture, Indigenous psycholog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eight researchers on the trust and mistrust of Korean society, and to suggest the tasks of psychological researches in terms of cultu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In traditional Korean culture, feeling of trust is emerged from the family relationship formed by the blood ties based on father-son relation. In this respect, the meaning of trust might be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culture, which is emerged from the market relationship formed by the contract based on husband-wife relation. Now, the Korean family seems to be disorganized rapidly, so in this sense, it is suggested that recent Korean society might be the trust-absent society rather than the mistrust society. Also,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psychological researches must be performed in the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indigeneous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keywords
Trust, Mistrust, Korean culture, Indigenous psychology, 신뢰, 불신, 한국 문화, 토착심리, Trust, Mistrust, Korean culture, Indigenous psychology

참고문헌

1.

구자숙, (2005) 개념화와 연구동향,

2.

김미희 ; 최상진 ; 김기범, (2002) 한국인의 대인관계에서의 기본도덕으로서의 의리분석:한국인에게 진정한 친구는 의리있는 친구인가,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3.

김명언, (2005) 조직신뢰의 유용성에 대한 불신,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4.

김우택, (2002) 신뢰의 개념과 신뢰 연구의 맥락 한국 사회 신뢰와 불신의 구조-미시적 접근, 도서출판 소화

5.

김정운, (1998) 문화심리학 어떻게 할 것인가,

6.

(2001) 후쿠야마 교수 대담-대기업 ‘가족경영’ 버려야 생존,

7.

박광배, (1996) 범법의 원인과 준법의 이유,

8.

박영신 ; 김의철, (2005)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9.

박원우, (1999) 가상조직의 특성과 성공적 운영방안, 서울대학교

10.

손정락, (2005) 신뢰와 건강,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1.

양계민 ; 정진경, (2005) 북한이탈주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2.

임성만, (2000) 조직에서의 신뢰 산업 및 조직,

13.

정진경, (2001) 북한에서 온 내 친구 아이들과 함께 하는 남북한 문화이해지,

14.

최대정, (2002) 가상화된 조직의 환경특성 신뢰 및 협력행동간의 관계 산업 및 조직,

15.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16.

최상진, (2005) 한국문화에서 대인관계 신뢰와 불신의 기반과 심리적 기능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분석,

17.

최상진 ; 김의철 ; 김기범, (2003) 한국사회에서의 대인관계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으로서의 마음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

한규석, (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19.

한금선, (2003) 만성질환자의 스트레스 지각 스트레스 증상에 관한 연구,

20.

허태균, (2005) 무법으로 태어나 준법을 거쳐 위법으로 성장하는 이유?,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1.

Benight, (1997) Coping self-efficacy buffer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disturbances in HIV-infected men following a natural disaster,

22.

Carlson, (1995) Foundation of Physiological Psychology,

23.

Findley, (1998) Self-efficacy as a psychological moderator of chronic fatigue syndrome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4.

Francis, (19961996) 사회도덕과 번영의 창조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perty] 원전은 1995에 출판, 매일경제신문사

25.

차재호, (1995) 세계의 문화와 조직 Software of the mind] 원전은 1991에 출판,

26.

Glaser, (1987) Chronic stress and immunity in family caregivers of Alzheimer's disease victims,

27.

Kim, (2005) and civil society in Scandinavia and East Asia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28.

Kramer, (2004) Trust and Distrust in Organizations,

29.

Weick, (1996) Trust in organization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30.

Schleifer, (1983) Suppression of lymphocyte stimulation following bereavement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1.

& Hinds, (2004) Trust in Context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Trust in Geographically Distributed Work Trust and Distrust in Organization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