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한국문화에서의 부부상담: 현실역동 상담접근

Marriage Counseling in Korean Culture: Reality Dynamic Counseling Approach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6, v.12 no.특집, pp.117-131
장성숙 (가톨릭대학교)

초록

가족을 중시하던 우리나라에서도 요즈음 이혼율이 급증하고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상담자들이 부부를 상담할 때 서구에서 발전된 가족 및 부부 상담이론들을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문화는 무교, 불교, 유교와 같은 종교의 영향아래 독특한 가족주의적 특성을 보이고 있어 서양문화의 가치를 반영하는 기존의 주요 상담접근으로는 충분한 상담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한국사회에는 서양의 핵가족 형태인 부부중심 가족관계와는 달리 전통적으로 가계를 잇기 위한 혈통을 중시하고, 자녀교육에 우선적인 가치를 두며, 장유유서와 같은 서열을 강조하는 부자(父子)중심의 가족관계가 팽배해 있다. 이러한 문화권에서는 상담자가 개인 자체에 역점을 두며 부부간의 친밀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부자중심의 가족관계 관점에서 자신의 위치에 따른 역할을 살펴보도록 초점 맞출 필요가 있다.

keywords
가족주의, 부부중심, 부자중심, 개인, 역할, familism, husbund-wife centered, father-son centered, individual, role

Abstract

he percentage of divorce has increased rapidly even in Korea where traditionally attaches great importance to a family. However most counselors apply counseling theories and approaches developed in the West when they do counseling for Korean couple. In fact, the culture of Korea carries characteristics of relationism under the Oriental religion like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Therefore it is not easy to gain sufficient counseling effect in Korea with such major counseling approaches. The Korean takes a serious view of family relations between father and son, Therefore the Koran society carries on a family line, devotes their lives to the cause of education, gies precedence to the elder. In such a cultural area, it would be quite helpful for counselors to focus their attention on various roles of each rather than focus on their conflict of intimacy itself.

keywords
가족주의, 부부중심, 부자중심, 개인, 역할, familism, husbund-wife centered, father-son centered, individual, role

참고문헌

1.

고병익, (1996) 동아시아의 전통과 변용, 문학과 지성사

2.

박영신, (2004)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교육과학사

3.

박일영, (1999) 한국 무교의 이해, 분도출판사

4.

송성자, (2005) 한국가족문화와 가족치료접근,

5.

신월균, (1996) 한국의 민속사상, 집문당

6.

옥선화, (1998) 가족/친족 구조의 해체와 재구성Ⅰ 서울시 실태조사를 중심으로,

7.

윤호균, (2001) 집착 그리고 상담 상담접근의 한 모형 상담 및 심리치료,

8.

이광세, (1998a) 유교를 다시 생각한다 동양과 서양 두 지평선의 연합,

9.

장성숙, (2000) 한국인의 특성에 적합한 상담접근 상담 및 심리치료,

10.

장성숙, (2004) 한국문화에서 상담자의 초점 ‘개인중심’ 또는 ‘역할중심’ 사회 및 성격 18,

11.

조긍호, (2003)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나남출판

12.

조긍호, (2001) 문화성향과 동조행동 사회 및 성격,

13.

조용헌, (2002) 사주 명리학 이야기,

14.

최상진, (1997a) 당사자 심리학과 제3자 심리학 인간관계 조망의 두 가지 틀,

15.

최상진, (2002)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

16.

최준식, (1998) 한국의 종교,

17.

(2004) 인구동태통계연보, 통계청

18.

한규석, (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19.

홍일식, (1996) 한국인에게 무엇이 있는가, 정신세계사

20.

한성열, (2005) 한국인의 문화특수성 가족관계로 본 한국 문화의 특성 한국 문화의 특성과 상담,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제5회 학술심포지엄

21.

함인희, (2001) 한국 가족사의 변화, 서울대학교출판부

22.

황금중, (2002) 한국 교육사상 전통의 이중구조 한국사상과 문화,

23.

Choi,S.C, (1998) The third-person psychology and the first-person psychology:Two perspectives on human relations,

24.

Corey, (1999)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rooks Cole

25.

Fiske, (1998) the cultural matrix of social psychology The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26.

Beverly Hills, (1980)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27.

London, (1991) Software of the mind 세계의 문화와 조직,

28.

Kim, (2001) Current knowledg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29.

Kim, (1991) from brokenness to wholeness A Dissertation Presented to the Faculty of the School of Theology at Claremont,

30.

Matsumoto, (2000) People around the world,

31.

Miller, (20022002) Bringing culture to basic psychological theory-Beyond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Comment to Oyserman et al,

32.

Coon, (2002) Evaluation of theoretical assumptions and meta-analys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