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원자력 발전소 안전체감에 관한 연구: 안전체감지수 개발과 안전체감 수준

Developing the Nuclear Effective Safety Index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7, v.13 no.3, pp.1-21
최인철 (서울대학교)
김범준 (경기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1) 원자력 발전소 지역 주민들의 안전체감을 구성하고 있는 하위요인들을 규명하고, 2) 그 구성요소들의 측정을 통해 주민들의 안전체감지수를 산출하며, 3) 주민들이 체감하는 안전의 정도와 발전소 직원들이 추측하는 주민들의 안전 체감 정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원자력 발전소 지역주민 800명을 대상으로 연구 1과 발전소 직원 187명을 대상으로 연구 2가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안전체감은 커뮤니케이션, 신뢰, 발전소 위험대응역량, 그리고 응급대응역량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개발된 안전체감 지수에 따르면 발전소 지역 주민들의 안전체감 수준은 매우 낮았으며(100점 만점에 38.22점), 이 점수는 발전소 지역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의 직원들은 주민들이 실제로 체감하고 있는 것보다 주민들이 발전소를 훨씬 더 안전하게 지각하고 있을 것이라고 착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안전체감, 안전체감 지수, 상대적 안전체감 지수, Nuclear Effective Safety, Index of effective safety, relative index of effective safety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1) to explore the factor structure of 'effective safety' and 2) to develop an index of effective safety. We recuited a total of 800 residents of the nuclear plant sites and 187 nuclear plant employers. Study 1 developed a scale of nuclear effective safety which consisted of four factors: Communication, Trust, Coping Ability of nuclear power plants, Emergency Coping Skills. We created the index of effective safety by converting the scale scores into a number 0 to 100. Overall, the index was very low 38..22, indicating that the residents of nuclear power plants sites were feeling very insecure about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Moreover we found a consistent pattern of regional and sex difference. In Study 2, we asked the employees of nuclear power plants to answer the scale as if they were the residents, and we compared these numbers with the numbers the actual residents provided. We found that the level of safety that the employees expected the residents to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evel of safety the residents were actually experiencing. We discussed the pra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keywords
안전체감, 안전체감 지수, 상대적 안전체감 지수, Nuclear Effective Safety, Index of effective safety, relative index of effective safety

참고문헌

1.

김의철, (2003) 인간, 과학기술과 환경에 대한 이해: 사고와 안전에 대한 확률론적 시각과 결정론적 시각의 토착 문화적 분석,

2.

(2003) 한국 청소년의 안전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안전사고에 대한 표상과 안전효능감 및 부모의 영향을 중심으로,

3.

소영진, (2001) 한국의 원자력 기술의 안전체감성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원자력 안전기술원

4.

(2005) 방페장 입지에 관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5.

(2003) 사고공화국에 대한 심리학적 제의: 안전사고의 심리적 기제와 대안 모색에 관한 여덟 편의 논문을 안내하면서,

6.

최인철, (2002) 원자력에 대한 사회적 표상: 진단 및 대책, 한국원자력문화재단

7.

(2004a) 원전 안전성능 지표분석(2004년도), 한국원자력 안전기술원

8.

(2004b) 원자력 안전과 규제에 대한 국민 인식도 조사,

9.

(2003) 한국 사회에서 안전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10.

(1988) Predicting attitudes to oil and nuclear energ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

Showers, D, (1995) Effects of knowledge and persuasion on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nuclear power plants,

12.

(1987) Perception of risk,

13.

Lichtenstein, (1979) Images of disast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risks from nuclear power,

14.

(1984) Modeling the societal impact of fatal accidents,

15.

(1928)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6.

Van der Pligt, (1985) Public Attitudes To Nuclear Energ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7.

(1986) Construction of a Nuclear Power Station in One's Locality,

18.

Wicker, (1969) The relationship of verbal and overt behavioral reponses to attitude objects Journal of Social Issu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