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의 교육광풍: 과연 한, 후회, 학습효과의 산물인가?

Koreans' Education Panic: A product of han, regret, or learning effec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8, v.14 no.특집, pp.47-62
허태균 (고려대학교)
張薇 (고려대학교)
남궁 재은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현재 한국의 지나친 교육열을 반영하는 비정상적인 교육현상에 대한 피상적이고 거시적인 설명만이 존재하고, 반면에 자녀교육을 결정하는 학부모 개개인의 심리적 기제에 대한 규명이 미흡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널리 상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실제로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되지 않은 ‘부모 자신의 교육에 대한 한, 후회, 학습효과’와 같은 심리적 기제가 부모의 자녀교육양식과 자녀의 학습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 548명의 학생과 그 부모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학습효과는 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와 합리적인 자녀교육의지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대로 한과 후회는 거부적 /통제적 양육태도와 맹목적인 자녀교육의지와 관련되어 있었고 학업스트레스를 높이고 효능감을 낮추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사회의 비정상적인 교육열이 단순히 교육열이 높고 낮음의 양적인 문제가 아닌, 그 심리적 근원에 따른 질적인 문제라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keywords
교육열, 후회, 학습효과, 한, 양육태도, education panic, learning effect, regret, han, anxiety

Abstract

The ‘education panic’ is one of the most phenomenal social issue in the current Korean society. The explanations of it until now, however, are rather superficial in a way that they only describe apparent facts and its seriousness, rendering further examination of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of parents who are the protagonist of education panic necessary. With 548 elementary,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present study has investigated the impact of parents' past experience of ‘han’, regret, and learning effect regarding education on their parenting style as well as on their children's academic experience. The result revealed that parents' learning effect was related with more affective/autonomous parenting style and reasonable expectation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al career. On the contrary, parents' ‘han’ and regret indicated relationship with hostile and controlling parenting style and also with blind intention toward their children's educational career. The negative emotions also seemed to increase their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lower academic self-efficacy. Such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ordinary education panic in Korea is more than a simple quantitative matter of intensity. The psychological basis and motivation of the people included, a much more quantitative inform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keywords
교육열, 후회, 학습효과, 한, 양육태도, education panic, learning effect, regret, han, anxiety

참고문헌

1.

김대중, (2007) ‘사람 만드는 교육’이 없다.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 2007/04/22/2007042200391.html에서 2007,04, 22 인출,

2.

김아영, (2001)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敎育學硏究

3.

김영화, (1992) 학부모의 교육열, 敎育學硏究

4.

김영화, (1993) 한국인의 교육열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5.

김창동, (1996) 한국 교육열의 사회학 특성에 관한 연구, 敎育問題硏究

6.

김희복, (1990) 한국인의 교육열 탐색: 부산지역 고등학교 학부모를 중심으로, 慶星大學校 論文集

7.

박팔령, (2006) 앞으로 더 공부해 못 배운 恨풀터. 문화일보. http://news.naver. 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1&article_id=0000162310&section_id=102&menu_id=102에서 2006, 08, 28 인출,

8.

부산일보, (2007) [한국에 살며] 기러기 아빠와 강남 엄마. 부산일보. http://www. busanilbo.com/news2000/html/2007/0823/040020070823.1026103025.html에서 2007, 08, 23 10:30 입력,

9.

심영희, (1987) 상대적 박탈감과 비행에 관한 연구:소년원생을 중심으로, 刑事政策

10.

윤미연, (2007) 한국 사교육비 비중, 세계 최고 수준. http://www.datanews.co.kr/news/ news_view.php?mode=con_1&seq_no=25777에서 2007, 04, 03 인출,

11.

이우권, (1993) 연결망 분석의 행정학적 함의, 全北行政學報

12.

이원영, (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과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13.

이장용, (1998) 근대 시민사회의 형성과 교육의 기회균등사상에 관한 고찰, 人文社會科學硏究

14.

이철용, (2005) 사교육비 지출도 기업투자처럼. 동아일보. http://news. 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0&article_id=0000278666&section_id=101&menu_id=101에서 2005, 01, 02 인출,

15.

이혜정, (2002) 한국사회의 교육열과 취학 전 교육, 敎育硏究論叢

16.

정원식, (1984) 韓國社會 한 世代:교육열, 社會科學과政策硏究

17.

최병서, (2007) 외고 존폐 논란과 사교육 양극화. 서울신문. http://www.seoul.co.kr/news/ newsView.php?id=20070929030003에서 2007, 09, 29 인출,

18.

최상근, (2003) 사교육비 실태조사 및 경감 대책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19.

최상진, (1991) ‘한’의 사회심리학적 개념화 시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20.

한만중, (2003) 사교육 문제에 대한 인식과 해결방안 In: 함께하는 시민모임 교육 세미나 발제논문집,

21.

허태균, (2001) 사후가정사고의 심리적 기능과 응용적 가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

현주, (2003) 한국 학부모의 교육열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3.

황상민 ; 김도환, (2004) 한국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세대의 심리적 정체성: ‘세대 차이’ 연구를 위한 심리학적 모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4.

황선영, (1994)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대인문제 해결 사고에 대한 연구,

25.

Bandura, A., (1969) Principles of behavior modification, Holt, Rinehart & Winston

26.

Bartlett, F. C. , (1932) Remembering: A study in experimental and social psych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Gurr, T. R., (1970) Why man rebel, Princeton University Press

28.

Hur, T., (2007) What do Koreans regret most and why?: A cultural integration of opportunity and regret. Paper presented at the 7th Biennial Conference of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Kota Kinabalu, Malaysia,

29.

Merriam, S. B., (1999) Learning in adulthood, Jossey-Bass

30.

Parducci, A., (1995) , pleasure, and judgment: The contextual theory and its applications, Erlbaum

31.

Robinson, M. D., (2002) Belief and feeling: Evidence for an accessibility model of emotional self-report, Psychological Bulletin

32.

Roese, N. J., (1994) The functional basis of counterfactual thin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3.

Roese, N. J., (2005) What we regret most... and wh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34.

Schaeffer, E. S., (1959)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35.

Thorndike, E. L., (1898) Animal intelligence: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associative processes in animals, Psychological Review Monograph Supplemen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