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들의 행복을 구성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2개의 경험적 연구를 수행했다. 연구 1에서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여 155명의 고등학생에게 자신이 행복하다고 느끼는 상황을 기술하도록 했다. 그 응답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물질적 측면에서는 경제, 건강, 외모, 심리적 측면에서는 자아 관련 내용, 휴식 및 여가 그리고 종교, 사회적 측면에서는 가족, 이성친구, 동성친구 등 다양한 대인관계 및 사회적 성취의 내용이 들어 있었다. 연구 2에서는 이러한 반응에 기초하여 행복을 측정하는 문항을 구성하여 450명의 고등학생들로부터 양적인 자료를 수집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총 10개의 행복구성요인(가족관계, 개성, 성적, 종교, 이성친구, 외모, 자기발견, 경제력, 우정관계, 심리적 여유)이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요인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존의 중년기 및 노년기에 관한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하였다.
Two empirical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what determines the happiness of Korean adolescents. In Study 1, 155 high school students were asked to describe situations where they felt happ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ir responses, which led to three categories, physical (economy, health and appearance), psychological (self-related responses, rest and leasure, and religion), and social one (haman relationship including family, friendship, etc, and social achievement). In Study 2, 450 high school students rated themselves on each of 88 happiness items developed through the responses obtained in Study 1. Factor analysis created 10 happiness factors labeled familial relationship, individuality, academic performance, religion, dating friends, appearance, self-discovery, economy, friendships, and psychological composure. These findings were compared with those findings about the middle-aged and the old-aged, and discussed on the developmental and cultural perspective.
구재선 (2006). 한국인의 행복 경험에 대한 토착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2), 77-100
김명소, 성은현, 김혜원 (1999). 한국 기혼여성(아줌마)들의 성격특성과 주관적 삶의 질: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4(1), 41-55.
김명소, 임지영 (2003). 대학생의 ‘바람직한삶’구성요인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83-97.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임지영, 한영석 (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415-442.
김명소, 한영석 (2006).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개발. 한국조사연구학회 조사연구, 7(2), 1-38.
김애순 (1993). 개방성향과 직업, 결혼, 자녀관계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애순 (2004). 성인발달과 생애설계. 서울: 시그마프레스.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박영신, 김의철 (2006). 한국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탐구: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 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61-195.
백혜정 (2007). 오늘의 청소년 과연 행복한가? 한국청소년 행복지수 개발의 이론적 토대 및 국내외 관련연구 동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춘계 학술대회. 9-25.
서은국, 성민선, 김진주 역 (2007). 긍정심리학입문. William C. Compton 원저. 박학사.
이미리 (2003). 청소년기 행복감 수준의 일상 맥락변화에 따른 다양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193-209.
이민희 (2006). 학습장면에서 자기결정론의 동기화 경로모형 검증.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은경 (2007). 청소년의 행복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정신건강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춘계 학술대회. 71-90.
이주성 (1991). 외향성과 신경증적 경향성의 상호작용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훈구 (1997). 행복심리학: 주관적 안녕. 서울: 광명사.
임은기 (2007). 한국노인의 행복요인 탐색과 척도개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전경숙과 정태연 (준비중). 성인기의 행복결정요인: 20대, 30대 및 중년기 등 세 집단을 중심으로.
전신현 (1996). 청소년의 삶의 질에 관한 경험적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5, 63-82.
조명한, 김정오, 권석만 (1994). 청소년의 삼의 질.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16(2), 61-94.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 48집. 서울: 집문당.
차경호, 김명소 (2002).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과 심리적특성, 2002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황정규 (1997). 한국청소년의 생활만족도, 심리적 건강, 신체 건강: 심리-사회적 형성요인. 한국정신문화연구원편, 한국청소년문화(경기도 성남: 한국정신문화 연구원), 291-344.
Andrew, F & Withey, S. B. (1976).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NewYork: Plenum.
Argyle, M. (2001). The Psychology of Happiness. New York: Taylor & Francis Inc.
Beck, A. T. & Beamesderfer, A. (1974). Assessment of depression: The depression inventory. In P. Pichot & R. Oliver-Martin (Eds.), Psychological measurements in psychopharmacology. Basel, Switzerland: Karger.
Bradburn, N. M.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go, IL: Aldine.
Campbell, A., Converse, P. E., & Rdgers, W. L. (1976). The quality of lif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Diener, E. & Emmons, R. A.(1984). The independence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7, 1105-1117.
Diener, E., Emmons R. S.,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Diener, E., Sandvik, E., Seidlitz, L., & Diener, M.(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relative or absolut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8, 195-223.
Diener, E., Suh, E. (1998). Age and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national analysis.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17, 304-324.
Diener, E., Suh E, Lucas, R., & Smith, H.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5, 276-302.
Erikson (1963). Childhood and Society NY: Norton and Com. Inc. 윤진, 김인경 공역 (1988). 아동기와 사회.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Helson, R. & Lohnen, E. C. (1998). Affective coloring of personality from young adult to midlif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4, 241-252.
Inglehart, R. (1990). Culture's shift in advanced industrial society.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James, W. (1890). Principles of Psychology. New York: Henry Holt.
Mroczek, D. K., & Kolarz, C. M. (1998). The effect of age on a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 development perspective on happ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1333-1349.
Myers, D,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Ryff, C. D. (1997). Experience and well-being: Explorations on domains of life and how they matter.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0, 193-206.
Veenhoven, R. (1991). Questions on happiness: classical topics, modern answers, blind spots, In F. Strack, M. Argyle, & Schwarz(Ed), Subjective well-being: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pp.7-26). Oxford: Pergamon Press.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 1063-1070.
Wilson, W. (1967). Correlates of avowed happiness. Psychological Bulletin, 67, 294-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