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은퇴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은퇴전 직종에 따른 종단 연구

Psycho-Social Determinant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hysical Health of a Retired Elders in Korea: A Longitudinal Study on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9, v.15 no.2, pp.291-318
박군석 (성균관대학교)

초록

은퇴한 한국 노인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과거 경험한 질병 수, 경제상태 수준, 사회관계 요인들로는 배우자에 대한 만족, 자녀에 대한 만족, 자녀에 대한 기대, 사회적 지원 그리고 개인경험 요인으로는 자존심 욕구의 충족, 종교신앙, 정적정서, 부적정서, 건강행동으로는 음주행동 요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은퇴 전에 종사하였던 직종의 유형에 따라 현재(T1)의 주관안녕 및 신체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해보고 이러한 요인들이 2년 후(T2)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도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단적인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3년(T1)과 2005년(T2)의 조사에 모두 참여한 서울과 춘천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1,31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은퇴노인들(n=735)이 현재 재직 중인 노인들(n=374)에 비하여 2003년과 2005년 모두에서 과거질병 및 종교신앙 수준이 높았으며, 경제상태, 사회지원, 자존욕구충족, 음주행동, 정적정서, 주관안녕 및 신체건강 지각 수준이 낮았다. 한편 재직 중인 노인 집단과 은퇴한 노인 집단의 2003년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을 각각 설명해 보고자 12개 요인들을 단계별로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은퇴노인들의 주관안녕은 재직노인들(63.0%)과 달리 결혼만족과 음주행동 요인이 추가되어 8개 요인이 유의하게 설명하였다(70.5%). 은퇴노인들의 신체건강은 재직노인들(33.7%)과 달리 자녀기대와 음주행동 요인이 추가되어 5개 요인이 유의하게 설명하였다(36.4%). 은퇴노인들의 2년 후 주관안녕은 재직노인들(44.7%)과 달리 결혼만족과 신체건강 요인이 추가되어 5개 요인이 유의하게 설명하였으며(41.8%), 신체건강은 결혼만족,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요인이 추가되어 5개 요인이 26.5%를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은퇴노인 집단들의 경우, 직종별로 세분한 중다회귀 분석 결과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고 장래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keywords
한국 노인, 은퇴, 직종, 주관안녕, 신체건강, 종단연구, Korean elderly, retirement,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ubjective well-being, physical health, longitudinal stud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social relationship and personal) as well as illness history and economic status on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retired Koreans elderly. Data were collected from 1,315 elders (mean age = 72.70yrs) residing in Seoul and Chuncheon regional area via interviews(Time 1), and them were re-interviewed two year later(Time 2).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retired elders’ illness history,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fulfillment of self-esteem need, drinking behavior,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and physical health to predict their subjective well-being at Time 1(R2=.705). The retired elders’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and physical health to predict their subjective well-being at Time 2(R2=.418). The retired elders’ illness history, economic status, expectations for one’s offspring, drinking behavior and subjective well-being to predict their physical health at Time 1(R2=.364). And the retired elders’ illness history,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 affectivity and negative affectivity to predict their physical health at Time 2(R2=.265). In case of retired elderly, suggested for the psycho-social determenant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physical health by occupational classific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r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 노인, 은퇴, 직종, 주관안녕, 신체건강, 종단연구, Korean elderly, retirement,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ubjective well-being, physical health, longitudinal study

참고문헌

1.

권치영, 김선웅, 임중철, 이홍직 (2007).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7(2), 427-443.

2.

박경숙 (2000). 한국 노인의 사회적 관계: 가족과 지역 사회의 연계 정도. 한국사회학, 34(3), 621-647.

3.

박군석, 이주일 (2005). 노인심리연구 실습. 한림대학교 Nuri 사업단.

4.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4). 한국 노인의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41-470.

5.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5). 건강하고 행복한 노인들의 사회심리적 특징들. 한국건강심리학회 제 1차 학술대회 및 워크샵, 156-173.

6.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6). 한국 사회에서 건강하고 행복한 성공노화 노인들의 사회심리적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3), 457-475.

7.

박군석, 한덕웅, 최훈석 (2005). A longitudinal study on the determenants of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elders in Korea. The 2nd Asian Congress of Health Psychology.

8.

윤현숙, 이미진 (2007). 은퇴가 노인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7(2), 393-408.

9.

이경희 (2004). 노인 학습자들의 교육 참여 실태조사 분석. 노년교육학연구, 10(2), 49-77.

10.

이소정, 정경희, 이윤경, 유삼현 (2007). 우리나라 노인의 사회참여 유형 분석 및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 19-8.

11.

이주일, 박군석, 유경, 김영범, 장숙랑, 윤현숙, 유희정, 김동현 (2008). 성공적인 한국 노인의 삶: 다학제간 심층 인터뷰 사례. 서울: 박학사.

12.

통계청 (2000). 한국표준직업분류(5차). http:// www.nso.go.kr/std2006/k07b__0000/k07ba_0000/k07ba_0000.html

13.

통계청 (2008). 2008 고령자 통계. http://ups. kosis.kr/upload/magazine/new/ko/ko-1.xls

14.

통계청 (2009). 직종별 월급여 수준. http://ups. kosis.kr/upload/magazine/new/ko/4-8-1.xls

15.

한덕웅 (1994). 한국 사회문제 지각에 대한 국민의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20-53.

16.

한덕웅, 강혜자 (2000). 한국사회에서 사회문제의 지속과 변화: 1994년과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3), 15-37.

17.

한덕웅, 최훈석 (2006). 한국 사회문제의 변화: 지난 10년간 세 시점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03-128.

18.

한덕웅, 최훈석, 강혜자, 이경성, 박군석 (1995). 한국 사회문제의 지각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9(1). 99-111.

19.

Diener, E., Larsen, R. J., Levine, S., & Emmons, R. (1985). Intensity and frequency: Dimensions underlying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48(5), 1253-1265.

20.

Drentea, P. (2002). Retirement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4(2), 167-194.

21.

Eric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2nd ed.). N.Y.: Norton.

22.

Friedrich, D. D. (2001). Successful aging: Integrating comtemporary ideas, research find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Illinois: Charles C Thomas Pub.

23.

Hinterlong, J., Morrow-Howell, N., & Sherraden, M. (2001). Productive aging: Principles and perspectives. In N. Morrow-Howell, J. Hinterlong, & M. Sherraden(Eds.), Prodeutive aging: Concepts and challenges.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4.

Hooyman, N. R., & Kiyak, H. A. (2005).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N.Y.: Pearson Education Inc.

25.

Lawton, M. (1987). Lawton's PGC morale scale. Polisher Research Institut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26.

Marshall, V. W., Clarke, P. J., & Ballantyne, P. J. (2001). Instability in retirement trasition. Research on Aging, 23(4), 379-409.

27.

Merluzzi & Martinez Sanchez, M. A. (1997). Assessment of self-efficacy and coping with cancer: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ncer Behavior inventory. Health Psychology, 16, 163-170.

28.

OECD (2004). OECD Health Data.

29.

Ross, C. E., & Mirowsky, J. (1995). Does employment affect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6, 230-243.

30.

Row, J. W., & Kahn, R. L. (1998). Successful aging. N.Y.:Random House Inc.

31.

Vaillant G. E., & Mukamal K. (2001). Successful ag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6), 839-847.

32.

Warr, P. B., & Payne, R. (1982). Experience of strain and pleasure among British adults. Social Science and Medicine, 16, 1691-1697.

33.

Watson, D., Clark, L. A., & Tellegen, A.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The PANAS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4(6), 1063-1070.

34.

Williamson, G. M. (1998). The central role of restricted normal activities in adjustment to illness and disability: A model depressed affect. Rehabilitation Psychology, 43, 327-347.

35.

Williamson, G. M.(2002). Aging well. In C. R. Snyder, &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676-686). N.Y.: Oxford Univ. Pres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