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한국형 마음 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만성통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Kore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Chronic Pain of Worker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9, v.15 no.3, pp.359-375
김수지 (대구사이버대학교)
안상섭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마음 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근로자의 만성통증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만성통증을 가진 근로자 20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검사, 사후 검사, 추수 검사에서 측정한 평균점수로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자료는 심리적, 신체적, 신경 생리적 반응이었다. 아울러 프로그램 후 각 효과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것인가를 추가 검증하고자 3개월 후에 사후검증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프로그램 참여집단의 신체적 증상과 신체화, 강박증, 대인예민성,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정신증 등의 반응이 프로그램 참여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또한 생리 및 신경생리지표 또한 프로그램 전에 비해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3개월 후까지 이러한 변화의 효과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마음 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은 통증환자의 심리적, 신체적, 신경생리적 통증완화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통증환자의 임상적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keywords
kore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chronic pain, 한국형 마음 챙김 명상,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만성통증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program that integrated MBSR-K and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for the health and well-being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and proved its effectiveness by studying 40 chronic pain patients. This program used nature of mind, body scanning meditation, breath meditation, mindfulness meditation, Hatha yoga and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to ease chronic pain. Whenever negative feelings and emotions such as fear, anxiety, and pain occurred, the program focused on those emotions and observed the outcome. This program, which w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studies, was composed of eight course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tation group that was composed of patients with chronic pain had significant decrease of physical symptom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o confirm the outstanding features of the participating patients with chronic pain that brought change in the effect of the program, characteristics of clients were analysed. Third, the program factor that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the treatment process was evident when the training was performed twice a week rather than having once a week of training and second week for homework.

keywords
korean version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chronic pain, 한국형 마음 챙김 명상,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만성통증

참고문헌

1.

김수진 (2003). 마음챙김명상이 하악측두장애 환자들의 통증과 기능장애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청송 (2000). 통증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3.

김종성, 안상섭, 한성열 (2009). 영성의 긍정적 기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207- 226

4.

장현갑, 변광호, 허동규, 김종성, 안상섭, 추선희 (2005). 삶의 질을 높이는 이완․명상법. 서울: 학지사.

5.

장현갑, 배재홍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을 둔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6.

장현갑, 김정모, 배재홍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K-MBSR)이 대학생과 외래환자의 삶의 질과 심리적, 신체적 증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건강심리학회.

7.

조옥경 (2009). 요가심리학과 긍정적 정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227-239

8.

홍성영 (2006). 마음챙김명상이 비만 여대생의 스트레스, 섭식조절 및 비만도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Fordyce, W. E. (1976). Behavioral Metheds for Chronic Pain and Illness. St. Louis, Mont.: Mosby.ald.

10.

Hanson & Geber (1987). Coping with pain. pp. 3-4.

11.

Holden, C. (1978). Pain, dying and the heath care system. Science, 203, 984~985.

12.

Kabat-Zinn, J. (1982). An outpatient program in behavioral medicine for chronicpainpatients based o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meditati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liminary resul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4(1), 33-47.

13.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Delta.

14.

Kabat-Zinn, J. (1993). Mindfulness meditation: Health benefits of an ancient Buddhist practice. In Goleman and Gurin (Eds.). Mind/Body Medicine, 259-275. New York: Consumer Reports Books.

15.

Kabat-Zinn, J. (1996). Mindfulness meditation: What it is, what it isn't, and its role in health care and medicine. In Haruki, Ishii, Y., and Suzuki, M. (Eds.), Comparative and Psychological Study on Meditation, 161-170. Netherlands; Eburon.

16.

Keefe, F. J. (1982). Behavioral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ronic pai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0, 896~911.

17.

Nagi, S. Z., Riley, L. E., & Newby, L. G. (1973). A social epidemiology of back pain a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Chronic Disease, 26, 769~779.

18.

Ornish, D. (1990). Dean Ornish's Program for Reversing Heart Disease. New York: Random House(장현갑, 장주영 (2004). 요가와 명상 건강법. 서울: 석필).

19.

Sternbach, R. A. (1986b). Pain and hassles in the United States: Findings of the Nuprin Pain Report. Pain, 27, 69~80.

20.

Taylor. H. & Curran. N. (1985). The Nuprin Pain Report, New York: Louis Harris.

21.

Turk, D. C., Meichenbaum, D., & Genest, M. (1983). Pain and behavioral medicine: A cognitive-behavioral perspective. New York: Guilford.

22.

Turk, D. C. & Meichenbaum, D., (1994). A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to pain management. In P. D. Wall & R. Melzack (Eds.), Textbook of Pain (3rd ed.) (pp.1337~1348). Edinburgh: Churchill Livingston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