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로샤 검사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의 대처와 방어

The coping and defense feature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Rorschach tes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09, v.15 no.4, pp.507-528
최윤경 (계명대학교)
김종남 (서울여자대학교)
채정민 (서울사이버대학교)

초록

대처와 방어 전략은 스트레스 반응을 약화시키도록 작용하는 심리적 기제라는 측면에서 유사하지만, 방어는 현실의 어떤 측면을 왜곡해서 지각하는 반면, 대처는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과 관계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로샤 검사에 나타난 북한이탈주민들의 대처와 방어의 특징을 밝히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44명의 북한이탈주민과 42명의 남한주민으로, 이들은 출신지역과 성별에 따라 네 집단, 즉 남자 북한이탈주민(N=16), 여자 북한이탈주민(N=28), 남자 남한주민(N=17) 및 여자 남한주민(N=25)으로 분류되었다. 모든 대상자에게 개별적으로 로샤 검사를 실시하였고, 로샤 원자료는 Exner(2003)의 종합체계에 따라 채점되었다. 분석을 위해 대처 혹은 방어와 관련된 로샤 변인들이 선택되었다: EA, CDI, Adj D, EB style, Lambda, Zd, X-%, Xu%, W:D:Dd, P, 반응시간 및 검사를 수행하는 동안의 행동특징. 다른 집단에 비해 여자 북한이탈주민은 빈약한 대처자원(낮은 EA), 적응의 어려움(Adj D<0), 및 현실 왜곡(높은 X-%)을 나타낼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들은 또한 더 많은 ‘모르겠다’ 반응과 반응시간이 더 지연된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빈약한 대처자원으로 인해 여자 북한이탈주민이 스트레스에 더 취약할 수 있으며 사회기술훈련과 같은 심리적 개입이 남한 사회에서 이들의 성공적인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keywords
North Korean defectors, Rorschach test, Coping, Defense, 북한이탈주민, 로샤 검사, 대처, 방어, 심리적 적응

Abstract

Coping and defense are similar psychological mechanisms to reduce stress response, but they are regarded as distinct from each other. Defense involved distortions of reality, but coping was used for strategies associated with accepting the true nature of the situa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ping and defense feature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Rorschach test. The subjects were then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ir birth place and gender: Male North Korean defectors(N=16),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N=28), male South Koreans(N=17), and female South Koreans(N=25). All subjects were individually administered the Rorschach test, and protocols were scored according to the Exner(2003)'s Rorschach Comprehensive systems. Coping or defense-related Rorschach variab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EA, CDI, Adj D, EB style, Lamda, Zd, X-%, Xu%, W:Dd:D, P, reaction time, and other behavior characteristics during the testing. Compared with other groups,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were more likely to show poor coping resources(low EA), adjustment difficulties(Adj D), and distortions of reality(high X-%). They also demonstrated more 'don't know' responses and more delayed responses than other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oor coping resources make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more vulnerable to stress, and psychological intervention such as social skills training may help them settle successfully in south Korea.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North Korean defectors, Rorschach test, Coping, Defense, 북한이탈주민, 로샤 검사, 대처, 방어, 심리적 적응

참고문헌

1.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2004). 북한연구 방법론. 한울아카데미, 329-330.

2.

김광억 (1999). 문화소통과 문화 통합: 통일에 대한 인류학적 접근. 이정복 외. 21세기 민족통일에 대한 사회과학적 접근, 145-174.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3.

김미령 (2005). 북한이탈 주민들이 인지한 적응의 어려움과 극복자원이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 남성과 여성의 비교.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0, 95-124.

4.

김연희 (2006). 북한이탈주민의 정신보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종남, 최윤경, 채정민 (2008). CES-D와 로샤 검사를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2), 41-61.

6.

신행우, 이종한, 한성열, 허태균, 채정민 (2004). 이문화권내 적응과 스트레스 대처양식: 북한이탈주민 남한문화 적응의 관점에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1), 147-163.

7.

아시아 투데이 (2009.6.29). 탈북자 1만5631명 시대. 5면.

8.

엄태완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과 사회적 문제 해결 능력 및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8, 5-32.

9.

유정자 (2006). 재중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연구: 보호기관 대상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이재민, 황선영 (2008).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정책, 33, 61-84.

11.

장재윤 (1993). 환경변화지각에 있어서의 개인차 및 친숙도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6(1), 108-128.

12.

조영아 (2003). 남한 내 북한 이탈 주민의 자아방어기제 연구: 남한 주민 및 재한 조선족과의 비교.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 329-348.

14.

조영아, 전우택, 유정자, 엄진섭 (200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 예측요인: 3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467-484.

15.

채정민 (20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채정민, 이종한 (2004).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남북한 문화 이질성: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적응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2), 79-101.

17.

채정민, 한성열 (2003). 북한이탈주민의 자기고양 편파가 남한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2), 101- 126.

18.

최창동 (2000). 탈북자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두리미디어.

19.

Ataca, B., & Berry, J. W. (2002).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marital adaptation of Turkish immigrant couples in Canada.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7(1), 13-26.

20.

Biondi, M., & Picardi, A. (1999). Psychological stress and neuroendocrine function in humans: The last two decades of research.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8, 114-150.

21.

Budner, S. (1962). Intolerance of ambiguity as a personality variable. Journal of Personality, 30, 29-50.

22.

Eriksen, H. R., Nordby, H., Olff, M., & Ursin, H. (2000). Effects of psychological defense on processing of neutral stimuli indicated by event-related potentials(ERPs).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1, 263-267.

23.

Eriksen, H. R., Olff, M., & Ursin, H. (1997). The CODE: A revised battery for coping and defense and its relations to subjective health.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38, 175-182.

24.

Exner, J. E. (1993). The Rorschach: A Comprehensive System, Vol. 1. Basic foundations (3r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5.

Exner, J. E. (2003). The Rorschach: A Comprehensive System, Vol. 1. Basic foundations and principles of interpretation (4th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6.

Gravdal, L., & Sandal, G. M. (2006). The two-factor model of social desirability: Relation to coping and defense, and implications for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0, 1051-1061.

27.

Haan, N. (1997). Coping and defending. New York: Academic Press.

28.

Holt, R. (1977). A method for assessing primary process manifestations and their controls in Rorschach response. In M. Rickers- Ovsiankina, (Eds.), Rorschach Psychology (2nd ed.), NY: Krieger, pp.375-420.

29.

Lazarus, R. S. (1996). Psychological stress and the coping process. McGraw-Hill, New York.

30.

Leichsenring, F. (2004). The role of structure in the assessment of psychopathology.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20(4), 275-282.

31.

Lerner, P. M. (2003). 로샤검사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 (이우경, 이원혜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8에 출판)

32.

Lerner, P. M., & Lerner, H. D. (1980). Rorschach assessment of primitive defenses in borderline personality structure. In J. S. Kwawer, H. D. Lerner, P. M. Lerner, & A. Sugarman (Eds.), Borderline phenomena and the Rorschach test.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pp. 257-274.

33.

Levine, S., & Ursin, H. (1991). What is stress? In M. R. Brown, G. F. Koob, & C. River (Eds.), Stress-neurobiology and neuroendocrinology. New York: Marcel Dekker, pp.3-21.

34.

Meer, B. (1955). The relative difficulty of the Rorschach cards. Journal of Projective Techniques, 19, 43-53.

35.

Murstein, B. I., & Mathes, S. (1996). Projection on projective techniques = pathology: The problem that is not being addressed.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66, 337-349.

36.

Norton, R. W. (1975). Measurement of ambiguity toleranc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39, 607-619.

37.

Olff, M., Brosschot, J. F., & Godaert, G. (1993). Coping styles and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5, 81-90.

38.

Rorschach, H. (1942). Psychodiagnostics. New York: Grune & Stratton. (Original work published 1921)

39.

Schafer, R. (1954). Psychoanalytic interpretation in Rorschach testing. New York; Grune & Stratton.

40.

Schnurr, P. P., & Green, B. L. (2004). Trauma and health: Physical health consequences of exposure to extreme stres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

41.

Ursin, H., & Eriksen, H. R. (2004). The cognitive activation theory of stress. Psychoneuroendocrinology, 29, 567-592.

42.

Valliant, G. E. (1994). Ego mechanisms of defense and personality psycholog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3(1), 44-50.

43.

Weiner, I. B. (2005). 로르샤하 해석의 원리. (김영환, 김지혜, 홍상황 공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3에 출판)

44.

Zubin, J. (1950). Tests, construction and methodology. In R. E. Harris, J. G. Miller, G. A. Muench, L. J. Stone, H. L. Teuber, & J. Zubin (Eds.), Recent advances in diagnostic psychological testing. Springfield, IL; Charles C. Thoma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