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입대 동기가 육군 병사와 해병대원의 군 생활과 미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nlistment-Motivation on the South Korean Military Life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0, v.16 no.4, pp.469-485
송경재 (고려대학교)
한민 (Clark University)
배준성 (고려대학교)
한성열 (고려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현역 병사들의 입대 동기가 군 생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육군 병사와 해병대원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입대 동기란 군 복무를 하고자 하는 동기를 말하며, 본 연구에서는 외재적 입대 동기와 내재적 입대 동기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입대 동기에 따라 군 생활 만족도와 군 조직 이미지에 대한 평가, 그리고 군 복무 경험이 앞으로의 삶에 미칠 영향에 대한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육군 병사들의 입대 동기는 외재적 동기가 더 높았으며, 해병대원들의 입대 동기는 내재적 동기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재적 입대 동기수준이 높을수록 군 생활 만족도가 높고, 군 조직에 대한 이미지도 긍정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래의 삶에 군 생활 경험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외재적 입대 동기수준이 높을수록 군 조직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병영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앞으로의 삶에 군 생활 경험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평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징병제 여부에 관계없이 입대를 결정한 집단과 징병제가 아니면 군대를 오지 않을 집단을 비교한 결과 군 생활 영향 평가, 군 조직 이미지 평가, 병영 스트레스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입대 전 입대 동기 유발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motivation, enlist-motivation, military life satisfaction, confidence of social life, image of military organization, 동기, 입대 동기, 군 생활 만족, 군 이미지, 병영 스트레스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enlistment motivation on an image of military organization, soldier’s stress, a confidence of social life after discharge from military service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in Korean military servic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257 soldiers (121 conscript Army soldiers and 136 voluntary Marines) from 2 companies in the army and 2 companies in the Marine Corps located in South Korea.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conscript Army group(M=2.39, SD=.71)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voluntary Marines group(M=1.95, SD=.63)in extrinsic enlistment motivation. On the contrary, Marines group(M=4.16, SD=.76) ha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Army group(M=3.62, SD=.87) in intrinsic enlistment motivation. 2) Enlistment by intrinsic motivation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military lif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nlistment by in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a military life satisfaction(β=.402, t=6.424, p<.001), a confidence of social life(β=.528, t=9.836, p<.001), and an image of military organization(β=.494, t=8.486, p<.001). On the other hand, enlistment by extrinsic motivation has negative influence on the military lif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nlistment by extrinsic motiv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oldier’s stress in military life(β=.415, t=6.642, p<.001), and no confidence of social life(β=-.177, t=-3.306, p<.001).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military needs to focus on enhancing intrinsic enlistment motivation of young men of conscription age before conscription by educating, and advertising etc. And also, we discuss that Korean military needs to consider how to boost intrinsic motivation of military life.

keywords
motivation, enlist-motivation, military life satisfaction, confidence of social life, image of military organization, 동기, 입대 동기, 군 생활 만족, 군 이미지, 병영 스트레스

참고문헌

1.

고야마 이쿠미 (1995). 군복무경험이 한국남성의 의식에 미친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구승신 (2004).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 권 (1999). 군 생활 만족도와 태도차원의 복종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상균, 송경재 (2002). 병영스트레스와 범죄행동의 실증적 연구. 법학연구, 9, 427-456.

5.

김시업, 전우병, 전충현 (2006). 군 수사현장에서 용의자의 비언어적 행동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 (2), 101-114.

6.

손지원 (2006). 군 입대 후 환경과 군 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손희락 (2001). 신세대 장병의 스트레스가 부대 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송경재, 최무덕 (2007). 군 집단 내 선호병사와 배척병사의 행동특성, 3사논문집, 64(1), 1- 20.

9.

송경재 (2007). 개별성-관계성과 군 생활 적응의 관계, 상담학연구, 8(1), 1-12.

10.

육군본부 (1999). 야교 100-1 지상작전, 8-28.

11.

임영봉 (2007). 육군 신세대 병사 동기부여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장경숙 (2008). 신세대병사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가 군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남국, 이재윤 (1990). 한국군 병사들의 군 생활 만족요인에 관한 연구. 육사논문집, 38, 291-309.

14.

한규석 (2002). 사회심리학. 서울: 학지사.

15.

한덕웅 (2004). 인간의 동기심리. 서울: 박영사.

16.

한민, 한성열 (2005). 군생활의 동기적 측면: 입대 동기가 군 생활 만족과 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7.

한성열 (1995). 삶의 질과 내재적 동기의 실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1), 95-111.

18.

Amabile, T. M., Hill, K. G., Hennessey, B. A., and Tighe, E. M. (1994).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Assessing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950-967.

19.

Carver, C. S., & Gaines, J. G. (1987). Optimism, pessimism, and postpartum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1, 449-462.

20.

Carver, C. S., & Gaines, J. G. (1998). On the self-regulation of behavior.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

Covington, M. (2000). Intrinsic versus extrinsic motivation in school: A reconciliation. Current direction in Psychological Science, 9(1), 22-25.

22.

deCharms, R. (1968). Personal causation: The internal affective determinants of behavior. New York: Irvington.

23.

Deci, E. L., & Ryan, R. M. (1992). The initiation and regulation of intrinsically motivated learning and achievement. In A. K. Boggiano & T. S. Pittman (Eds.). Achievement and motivation: a social-developmental Perspectiv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9-36.

24.

Deci, E. L., & Ryan, R. M. (2000). Self- 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55, 68- 78.

25.

Dutton, G. E. & Dukerich, J. M. (1991). Keeping an eye on the mirror: Image and identity in organizational adapt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4, 517-554.

26.

Dutton, J. E., Dukerich, J. M. & Harquail, C. V. (1994). Organizational Images and Member Identific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9: 239-263.

27.

Judge, T. A., & Watanabe, S. (1993). Another look at the job satisfaction-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8(6), 939-948.

28.

Keon, T. L., & McDonald, B. (1982).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 Empirical Evaluation of Their Interrelationship. Human Relations, 35(3), 167-180.

29.

Scheier, M. F., & Carver, C. S. (1992). Effects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well-being: Theoretical overview and empirical updat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6, 201-228.

30.

Schmitt, N., & Bedeian, A. G. (1982). A Comparison of LISREL and two-stage least squares analysis of hypothesized Life-Job satisfaction reciprocal relation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7(6), 806-817.

31.

Snyder, C. R., Sympson, S. C., Ybasco, F. C., Borders, T. F., Babyak, M. A., & Higgins, R. L.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tate hop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21-335.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