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사회경제발전에 따른 한민족 아동 놀이와 놀이 노래의 특성

A comparative analysis of play songs and lyrics among children of Han heritage in the context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1, v.17 no.1, pp.155-174
이순형 (서울대학교)

초록

한민족 아동의 놀이는 사회의 경제발전 시기에 따라서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아래 한국, 중국과 북한에 거주하는 한민족 아동의 놀이와 놀이가사를 조사한 자료를 분석하여 아동의 놀이가 사회의 경제발전에 따라서 소박한 신체놀이에서 점차 인터넷 게임 등 영상놀이로 이행되는 공통적 변화 양상을 밝혔다.

keywords
play, play song, physical play, internet game, 놀이, 놀이 노래, 신체놀이, 인터넷 게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kinds of plays and the meanings of words in play songs among children of Han heritage. A total of three data sets were used. Data for two of the data sets were obtained from only South Korean children in 1990 and 2005, respectively, while the other data set contained responses from South Korean, Chinese Korean, and North Korean children collected in 1999. The three societies of Han heritage differed in the level of econo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and ideological orientation, and each society tended to socialize and educate their children in different ways. The kind of plays and the lyrics of the play songs were different in each stage by the level of econom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and ideological orientation. In each society, a dominant play changed periodically. For instance, physical play decreased while television, video, and internet game plays increased. The increase in internet game play was related to the level of industrial development. Although three groups shared some common play songs prior to 1945, they have developed their own play songs after 1945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ocial ideological characteristics. Notwithstanding these differences in play songs, common themes, materials, rhythms, and the Korean emotionality exist across all groups.

keywords
play, play song, physical play, internet game, 놀이, 놀이 노래, 신체놀이, 인터넷 게임

참고문헌

1.

김경수, 이소은 (2003). 개방적․폐쇄적 소프트웨어 경험이 유아의 창의성 및 수․공간능력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8(1), 25-49.

2.

김순흥, 김경호, 김광수, 김두식, 김미라, 김시업 (2007). 한국청소년의 삶: 가정생활․학교생활․여가생활. 광주: 한국사회조사연구소.

3.

모리 아키오 (2003). 게임뇌의 공포. 이윤정 역, 서울: 사람과책.

4.

박효정․최상근․연은경 (2004). 한국 초등학생의 생활 및 문화 실태 분석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수희림 (1990). 발전도상의 연변. 연변: 연변인민출판사.

6.

심도현, 이순형 (2005). 좌반구성 인지과제 수행시 컴퓨어게임 중독성향 아동과 비교집단 아동의 뇌지수 차이. 인간발달연구, 12(4), 191-207.

7.

이기춘, 이기영, 이은영, 이순형, 김대년, 박영숙, 최연실 (1997). 남북한 생활문화의 이질화와 통합(Ⅰ). 대한가정학회지, 35(6), 289-315.

8.

이소은 (2000). 유아의 일상활동과 자기주도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1), 35-48.

9.

이소은, 이순형 (2009). 초등학생의 전자매체 놀이문화 실태 분석. 아동권리연구, 28, 305-332.

10.

이순형. (1991). 놀이노래 가사의 실태와 가사의 전통성 조사. 아동학회지, 12(1), 68-77.

11.

이순형. (1999). 북한의 주체사상 사회화의 원리와 한계. 교육학회지, 37(4), 49-68.

12.

이순형 (2009a). 호모루덴스의 전 생애 관점에서 본 놀이의 기능과 의미 변화. 2009 인간발달학회․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 공동학술대회에서 주제 발표. 2009년 10월 31일, 한남대학교.

13.

이순형 (2009b). 한국 아동의 일상생활문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4.

이순형 (2000a). 북한 어린이들의 놀이노래 가사의 의미 분석. 아동학회지, 21(2), 5-16.

15.

이순형 (2000b). 중국 연변 조선족 어린이들의 놀이와 놀이노래 조사 연구. 아동학회지, 21(3), 69-83.

16.

이순형 (2002). 사이버 공간과 실공간에서의 자아정체의 불일치. 대한가정학회지, 40(4), 59-72.

17.

이순형 (2010). 한국인의 자아정체 형성과 변화.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8.

임송미, 이순형 (2004) 컴퓨터 게임이 아동의 공간 인지 기술에 미치는 효과. 대한가정학회지, 42(10), 79-89.

19.

이순형, 이소은 (1997). 전자오락 경험과 아동의 자기통제력 및 시각정보 처리능력. 아동학회지, 18(2), 105-120.

20.

이순형, 서봉연, 이소은, 성미영 (1999) 컴퓨터게임이 아동의 공간기술과 단기기억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20(3), 293-306.

21.

임동권 (1975). 한국 민요 연구. 국어 국문학 총서 12, 서울: 삼우출판사.

22.

정금자 (1998). 일본의 현대아동놀이의 성격에 관한 고찰. 아동교육, 7(2), 163-181.

23.

조금석 (1991). 연변조선족 생활소묘: 풍경 풍속 인물. 서울: 홍익제.

24.

중앙교육연구소 (1962). 한국 아동의 놀이에 관한 실태 조사. 서울: 중앙교육연구소.

25.

Belsky, T., & Most, R. (1981). From exploration to play: A cross-sectional study of infant free-play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17, 630-639.

26.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 Press.

27.

Fein, G. G., & Stork, L. (1981). Socio-dramatic play: Social class effects in an integrated classroom.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 267-279.

28.

Galda, L., & Pellegrini, A. D. (Ed.)(1985). Play, language, and storie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e behavior. Norwood, NJ: Ablex Publishing.

29.

Granlinski, J. H., & C. B. Kopp (1993). Everyday rules for behavior: Mothers' requests to young children. Development Psychology, 29, 573-584.

30.

Graybill, D., Kirsch, J. R., & Esselman, E. D. (1985). Effects of playing violent versus nonviolent video gameson the aggressive ideation of aggressive and nonaggressive children. Child Study Journal, 15(3), 199-205.

31.

Harkness, S., & Super, C. M. (1983). The cultural structuring of children's play in rural African communit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the Anthropological Study of Play, Baton Rouge, LA.

32.

Irwin, A. R., & Gross, A. M. (1995). Cognitive tempo, violent video games, and aggressive behavior in young boys. Journal of Family Violence, 10(3), 337-350.

33.

Lee, S. (1994). Culture and Preschooler's activities: The United States and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t Greensboro.

34.

Lee, S., & Tudge, J. (1995). Young children's play in S.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ross-Cultural and Sub-cultural comparisons.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Cross-Cultural Research, Savannah, GA.

35.

McGhee, P. E. (1984). Play, incongruity and humor. In T. D. Yawkey & A. D. Pellegrini (Eds.), Child's play: Development and applied. Hillsdale, NJ: Lawrence Erbaum.

36.

Slade, P. (1995). Child play: Its importance for human development. London: J. Kingsley Publishers.

37.

Okagaki, L., & Frensch, P. A. (1994). Effects of video game playing on measures of spatial performance: Gender effects in late adolescence.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5(1), 33-58.

38.

Rubin, K. H., Fein, G. C., & Vandeberg, B. (1983). Play. In P. H. Mussen(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4th ed., 693-774). New York: Wiley.

39.

Schwartzman, H. G. (1978). Transformations: The anthropology of children's play. New York: Plenum.

40.

Schwartzman, H. G. (1979).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play. In B. Sutton-Smith (Ed.), Play and learning. New York: Gardner Press.

41.

Sivern, S. B., & Williamson, P. A. (1987). The effects of video game play on young children's aggression fantasy, and prosoci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8(4), 453-462.

42.

Vygots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M. Cole, V. John-Steiner, S. Scribner, & E. Souberman (eds.),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ssachusetts.

43.

Wohlwill, J. F. (1984). Relationships between exploration and play. In T. D. Yawkey & A. D. Pellegrini, (Eds.), Child's play:Developmental and applied. Hillsdale, NJ: Lawrence Erbaum.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