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was aimed at looking into and understanding child-rearing experience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is, twelve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selected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m and then analyzed through the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analysis suggested that main phenomena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d are the conflict of child-rearing and educational crisis, and the confused identity of parenting. These main phenomena had much to do with contextual factors such as economic hardship, lower level of the Korean language, cultural differences, prejudices and ignorance. The severeness of conflict and crisis of child-rearing and the intensity of identity confusion for parenting depended on arbitral conditions such as family bonds, positive expectation for the future of their children, and the help of supportive systems. Mothers were dealing with difficulties of child-rearing through action and interaction of resignation and denial, introspection and the intention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the capacity building. As a result,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cknowledge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ir position and roles they can play and tried to change in order to resolve problems related to their children, positioning themselves for more active lives in Korean society. Through discus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is study can help better understand child-rearing experience of moth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suggest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es on multicultural families.
교육과학기술부 (2008). 다문화가정 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지원방안.
교육인적자원부구 (2006).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지원 대책.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곽금주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발달과 적응: 다문화가정에서의 부모-자녀간의 상호 패턴과 그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26.
구차순 (2007).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권구영, 박근우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연구. 14, 187-219.
금명자, 이영선, 김수리, 손재환, 이현숙 (2006). 다문화가정 청소년연구. 한국청소년상담원.
김갑성 (2006). 한국 내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도희 (2008). 결혼이민여성의 양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문화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민정, 유명기, 이혜경, 정기선 (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 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39(1), 159-193.
김범수 (2007). 일본의 다문화공생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연구, 86-112.
김성봉 (2004a). 봉사학습과 교육과정 탐구의 확장. 교육과정연구. 22(3), 229-249.
김성봉 (2004b). 미국의 봉사학습이 한국대학교육에 주는 시사점. 한국교육 31(3), 287-305.
김영천 (2010).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김은경 (2010). 다문화가정 모-자녀의 긍정심리성향 증진을 위한 긍정심리프로그램 개발. 명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이선, 김민정, 한건수 (2006). 국제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 갈등경험과 소통증진을 위한 정책 과제. 한국여성개발원.
김인회 (2008). 한국사회의 다문화성 고찰. 다문화시대의 아동권리와 상호이해 증진: 변화의 주역으로서의 정부와 민간의 역할. 한국아동단체협의회 다문화전문가 포럼 자료집, 9-28.
김혜순 (2007). 서론,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모색: 세계화시대 이민의 보편성과 한국의 특수성. 한국사회학회.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동북아시대 위원회 용역과제 07-7), 1-34.
김희정 (2007).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한울아카데미.
박상준 (2010).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교육. 교육과학사.
박정하 (2001). 사회봉사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사상연구. 시대와 철학. 12(1). 107-275.
서홍란, 김기언, 김양호 (2008).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121-143.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흥식, 이혜경, 임경택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 복지 지원정책 방안, 서울: 보건복지부.
성현란 (2011). 남편의 성역할, 고정관념, 다문화감수성 및 아내문화수용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결혼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7(2), 219-239.
송미경, 지승희 (2007). 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 경험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총서) 130, 1-89.
신승연 (2007). 다문화가족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신혜정 (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양승민, 연문희 (2009).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스트레스 요인과 반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21(4), 943-966.
염미경 (2010). 제주가족관계의 특성과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생활. 다문화사회,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다문화가족 이주여성의 지역사회 통합의 방향. 국제학술세미나 자료집. 65-91.
오경석 (2009). 한국적 다문화주의, 또 하나의 새마을운동. LE MONDE diplomatique 2009년 12월호.
오만석 (2011). 다문화가정 자녀교육의 현실과 과제. 다문화교육연구. 4(1), 43-77.
오성배 (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 연구.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32(3), 61-83.
원숙연 (2008). 다문화주의시대 소수자 정책의 차별적 포섭과 배제: 외국인 대상 정책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접근. 한국행정학보, 42(3), 20-49.
유재신 (2008). 다문화가족 자녀교육의 실태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윤명숙, 이해경 (2011).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됨을 통한 적응경험. 한국가족복지학회지. 32(6), 103-135.
윤인진 (2007). 국가주도 다문화주의와 시민주도 다문화주의. 한국사회학회.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동북아시대위원회 용역과제 07-7), 251-291.
윤창국 (2009). 다문화사회 담론 및 정책분석을 통해 본 평생교육의 과제. 평생교육학연구. 15(4), 245-274.
윤형숙 (2005). 외국인 출신 농촌주부들의 갈등과 적응: 필리핀 여성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8(2), 299-339.
인봉숙 (2002). 한일국제결혼가정 2세의 한국생활 적응 실태조사 연구: 천안시 거주 통일교인 가정 중심으로. 동국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임현숙 (2009). 결혼이주 여성의 임신, 출산을 통한 삶의 전환 체험.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장은주 (2000). 문화적 차이와 인권: 동아시아 맥락에서. 철학연구. 2000, 여름호, 155-179.
전만길 (2005). 외국인주부 한국실태조사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조영달, 윤희원, 박상철, 최영인 (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교육인적자원부.
하밍타잉 (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 베트남 여성의 적응을 중심으로. 서울대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건수 (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여서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Barnard, K. & Martell, L. (1995). Mothering. In M.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 3rd ed. pp.3-26.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approach. Child Development, 55, 85-96.
Creswell, J, W. (2007). 질적연구방법론 [Qualitative Inquiry and Reserrch Design 2E].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역). 서울: 학지사.
McDermott, J. F., & Fukunaga, C. (1977). Intercultural family interacyion patterns. In W. Teng, J. F. McDermott, & T. W. Maretzki (Eds), Adjustment in Intercultural marriag. pp. 81-92. Honolulu: University Press of Hawaii.
Ladd, G. W., & Troop-Gordon, W. (2003). The role of chronic peer difficulti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problems. Child Development, 74(5), 1344-1367.
Spenser, M. B. (1999). Social and cultural influence on school adjustment: The application of an identity- focused cultural ecological perspective. Educational Psychologist, 34, 43-57.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
Rumbaut, R. G. (1997). The ties that bind. In A. Booth, A. Crouter, & Landale(Eds), Immigration and the family: Research and policy on U. S. immigrant.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