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메타분석을 통한 국내 아동․청소년의 우울 관련 변인 탐색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outh Korea: A Meta-Analysi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2, v.18 no.4, pp.533-555
김선미 (고려대학교)
고하영 (고려대학교)
박수현 (고려대학교)
양은주 (고려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선행 연구에서 보고된 아동․청소년 우울과 관련 요인(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사회적지지, 학업 스트레스)들의 관계를 메타분석적 접근으로 검증하였다. 1998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아동․청소년 우울에 대해 연구한 학술지 논문 및 학위 논문 총 86편을 분석하였으며, 무선효과모형(Random effects model)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산출된 종합 평균 효과크기를 상관계수의 형태로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청소년 우울은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을, 반면 학업 스트레스와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아동․청소년 우울과의 종합 평균 효과크기를 비교해보면 자아존중감, 학업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부모양육태도 순으로 높은 관련성을 보였으며, 모든 변인이 중간 크기 이상의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크기의 동질성 검증 결과, 분석에 포함된 연구들이 서로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각 변인들과 우울과의 관련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조절변인을 탐색하였다. 사용된 척도, 나이에 따라 하위그룹분석을 수행한 결과, 사회적 지지를 제외하고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학업스트레스, 우울 모두 사용 척도가 연구간 이질성을 유의하게 설명해주는 조절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나이 역시 유의미한 조절변인이었다.

keywords
depress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elf-esteem,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parenting attitudes, meta-analysis, 아동․청소년 우울, 메타분석,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학업 스트레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self-esteem,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parenting attitudes with depression of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a meta-analysis. A total of 86 studies, both published and unpublished manuscripts, were included. The results showed that depress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social support, and functional parenting attitudes, and negatively related to academic stress. The largest effect size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followed by the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and functional parenting attitudes, all in the range between moderate and large effect size. As the analysis indicated the heterogeneity of the results, subsequent analyses were performed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instrument and age. The significant moderators were the types of instruments used to measure self-esteem, academic stress, parenting attitudes, and depression. Age was also a significant moderator.

keywords
depress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elf-esteem, academic stress, social support, parenting attitudes, meta-analysis, 아동․청소년 우울, 메타분석, 자아존중감, 부모양육태도, 사회적 지지, 학업 스트레스

참고문헌

1.

*강성옥 (2011). 청소년의 우울,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

*강인성 (2004).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

*곽영희, 정현희 (2011). 청소년의 기질과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초기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8), 45-64.

4.

*김갑숙, 전영숙, 이철우 (2009). 청소년의 부모 애착,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17(1), 209-224.

5.

김교헌 (2004). 한국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 55-68.

6.

*김대현 (2011).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조절효과.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7.

*김명식 (2009). 청소년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2), 53-67.

8.

*김미현 (2009).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

*김보경, 민병배 (2006). 청소년 우울과 지각된 부모 양육행동, 기질 및 성격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221-236.

10.

*김보라 (2011).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1.

*김선하, & 김춘경 (2006).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자아관련 변인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ㆍ행동장애연구, 22(3), 325- 348.

12.

김세원 (2009). 지역사회 특성이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8, 101-135.

13.

*김애경 (2002).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 및 사회적 지원과 초기 청소년의 우울 및 외현적 문제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6(3), 31 -50.

14.

*김예원 (2007).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인지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5.

김의철, 박영신, 김의연, Tsuda Akira, Horiuchi Satoshi (2010).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6(2), 197-219.

16.

*김재경 (2010). 고등학생의 귀인성향과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정란 (2006). 중년 여성의 불안정 애착, 역기능적 태도, 부부갈등, 우울 및 자녀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정미 (2010). 연구논문: 아동 및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17(8), 79- 104.

19.

김지인, 이주희, 양정남, 이숙자 (2007). 결식아동의 내재화 문제와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의 관계. 상담학연구, 8(2), 621-637.

20.

*김지형, & 박경자 (2010). 아동의 또래 인정욕구가 우울과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兒童學會誌, 31(1), 83-99.

21.

김태희, 신현균 (2011). 인지행동 프로그램이 빈곤 가정 아동의 우울 취약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역기능적 태도와 낮은 자존감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4), 907-927.

22.

*김혜인 (2010).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 청소년의 역기능적 완벽주의 및 자의식 정서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3.

*류희정 (2010).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과 치유방안 연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4.

문경숙 (2008). 구두발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자기개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72-73.

25.

*문승완 (2008). 중학생이 지각하는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권과 전남권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26.

*민자용 (2010). 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7.

*박미숙, 하은혜 (2011). 청소년의 성격소질과 우울증상과의 상관관계에서 스트레스 유형의 중재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3), 53-73.

28.

*박미정, 김희순, 박소미, 최지혜 (2011). 청소년의 자살충동 경험 유무에 따른 자아존중감, 지각된 삶의 만족 우울 및 공격성 비교. 아동간호학회지, 17(4), 264-271.

29.

*박민지 (2011).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가 우울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4(4), 29- 42.

30.

*박병금 (2007). 청소년의 가족환경요인과 자살생각-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총, 11(1), 1-17.

31.

*박 선, 문수백 (2012). 학령기 아동의 자살생각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2), 75-86.

32.

박선희 (2010).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3.

*박성연, & 이은경. (2010).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과 자아 존중 감에 미치는 영향. 兒童學會誌, 31(6), 87-106.

34.

*박소영, 조성희 (2011). 청소년의 가출충동에 관한 연구: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12), 203-225.

35.

*박은경 (2009). 고등학생의 자기격려-낙담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6.

*박은민 (2010). 청소년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모애착과 자존감 및 우울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3(3), 75-88.

37.

*박재연 (2009). 청소년 자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구조적 관계 검증: 보호요인으로서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6(10), 249-272.

38.

박재연, 정익중 (2010). 인문계 고등학생의 학업문제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32, 69-97.

39.

*박진아 (2001). 청소년의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과 우울간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 학위논문.

40.

박현진 (2010). 역기능 양육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학위논문.

41.

*박혜인, 권선영, 정철호 (2010). 지역사회 청소년에서 체중과 자아존중감, 우울 및 불안 간의 관계. 생물치료정신의학, 16(1), 23- 32.

42.

*박혜정 (2009). 학업 스트레스, 통제소재, 우울과의 자살사고와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43.

*배정숙 (2006).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44.

서미경 (2004).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아존중감 비교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45.

*소선숙, 송민경, 김청송 (200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학교적응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7(3), 1-23.

46.

손병덕 (2009).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다변적 변인에 관한 고찰. 아동과권리, 13(4), 481-510.

47.

송혜향 (1998). (의학, 간호학, 사회과학 연구의)메타분석법. 서울: 청문각.

48.

*신재은 (1998). 청소년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49.

*심희옥 (1998). 아동후기 초등학교 학생의 우울성향: 일상적 스트레스, 자아 존중감 및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6(6), 133-144.

50.

*양유진, 정경미 (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회피적 정서조절과 정서인식의 명확성을 매개요인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 669-688.

51.

*어유경 (2005). 취약한 가족환경이 청소년의 우울과 문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개인적 특성의 보호 기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52.

*엄태완, 강명진, 최정순 (2008). 청소년의 스트레스,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과 사회적 지지: 성차를 중심으로. 인문논총, 22, 5- 30.

53.

*여종일, 정문자 (2009). 사회적 지지와 아동의 우울증상간의 관계: 자아존중감을 통한 경로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7(10), 19-37.

54.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09).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의 구축과 국제비교연구 조사 결과 보고서. 서울: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55.

*윤명숙, 조혜정, 이현희 (2009).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 및 또래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社會科學硏究, 25(2), 131-156.

56.

*오미숙 (2011). 학업 스트레스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57.

오성삼 (2002). 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출판부.

58.

*오송희 (1998).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59.

유성은, 권정혜 (1997).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67-84.

60.

*유숙형, 박 경 (2008). 아동의 수줍음과 우울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매개효과. 심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7(2), 107-126.

61.

유재은 (2001). 부모와의 애착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62.

*유 정, 김봄메, 신형섭, 정주영, 최남희 (2010). 고등학생의 대학입시에 대한 스트레스(심리적 충격, 우울, 불안)와 자아존중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한국위기관리논집, 6(3), 223-241.

63.

*유지혜 (200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64.

*윤선자 (2003).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65.

*윤신예 (2011).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66.

*윤혜미, 남영옥 (2007). 청소년의 위험행동 관련요인. 한국아동복지학, 23, 127-153.

67.

*이경님 (2002).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인과모형. 생활과학연구 논문집, 10(-), 41-56.

68.

*이경희 (2011). 여고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자존감, 우울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69.

*이금희 (2007). 청소년의 외모만족도, 지각된 어머니양육태도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70.

*이사라 (2007). 경제수준과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71.

이서원, 장용언 (2011). 학업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가족응집성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8(11), 111- 136.

72.

*이영미, 민하영 (2004). 학령기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 및 학교적응에 따른 아동의 우울성향. 대한가정학회지, 42(4), 1- 10.

73.

이영자 (1994). 스트레스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의 역할. 서울여자대학교 교육학과 박사 학위논문.

74.

이은희, 최태산, 서미정 (2000). 남녀 청소년들의 우울에 미치는 학교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의 내재적 지원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2(2), 69-84.

75.

*이은희 (2008).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 및 자아효능감과의 관계: 교대근무 간호사의 초등학생 자녀의 인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76.

*이주연 (2003). 아동의 인지삼제, 무망감, 자아존중감과 우울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77.

*이주원 (2005).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78.

*이철호, 정정숙, 이민규 (2009). 부모-청소년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2), 433-448.

79.

이혜순, 옥지연 (2012). 청소년의 충동성, 자아존중감, 우울수준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438-446.

80.

이희연, 하은혜 (2008). 청소년기 우울증상의 성차에 대한 인지적 왜곡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4), 547-561.

81.

*임성택, 김진호, 정의석 (2011).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완벽성향의 조절효과. 청소년복지연구, 13(3), 243- 260.

82.

임영숙 (2007). 중학생의 우울, 자아존중감, 자살사고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논문.

83.

임영식 (1997). 청소년기 우울의 특징과 문제행동. 사회과학연구, 10, 111-133.

84.

*임자성, 채규만 (2005). 초등학생의 과외학습 스트레스와 관련한 심리적 특성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295-311.

85.

장은진, 서민정, 정철호 (2001). 아동 우울에 관련된 요인 및 부모 우울과의 관계 연구. 소아ㆍ청소년정신의학, 12(.2), 245-255.

86.

전미숙, 김현옥 (2011). 학령기 아동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3), 272-280.

87.

*정문자, 여종일 (2010). 수용적 부모양육이 아동의 사회불안 및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성별조절효과를 통한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48(9), 103-111.

88.

정윤주 (2012). 아동의 자기지향 및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불안 간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대한가정학회지, 50(1).

89.

*정은숙 (2004). 기질 및 사회적 지지가 아동기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을 매개변인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0.

정현숙 (2006). 초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자아효능감이 우울 성향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1.

*정현임 (2006).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2.

*조경은 (2011).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3.

*조민영 (2004). 중․고등학생들의 학교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4.

*조순애 (2003).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아동의 귀인양식과 우울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5.

*조윤자 (2008).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우울, 인지적 와해 및 자살사고: 문제해결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6.

조혜진 (2006). 청소년의 또래 애착과 우울, 불안: 자아 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7.

*진혜민, 박병선, 배성우 (2011). 비공식낙인, 자아존중감, 우울, 공격성이 청소년비행에 미치는 영향-경로분석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3(2), 121-148.

98.

*최슬기 (2012). 일부 고등학생의 대인관계성향, 사회적 지지와 우울 간의 관련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99.

*최윤경, 이지연 (2011).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우울관계에서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자기통제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0(2), 235-251.

100.

*추소정 (2002). 정서적 학대와 자아 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1.

통계청 (2010). 청소년 통계.

102.

*하혜신 (2007). 남녀 청소년에 따른 부적응도식, 생활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3.

한상철 (2001). 사회적 지원과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청소년의 우울 및 가출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1), 1-21.

104.

한상희 (2005). 청소년의 애착유형과 대인불안 및 우울과의 관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5.

*한선영 (2011).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6.

*함미영 (2005). 초등학교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아동의 우울과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7.

*허나원 (2001). 아동의 우울과 애착 및 양육태도와의 관계.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8.

*황민영 (2010). 고등학생의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및 우울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09.

*황윤조 (2011).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귀인성향이 내재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10.

황혜정 (2006).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스트레스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9, 193-216.

111.

Aldwin, C., & Greenberger, E. (1987). Cultural differences in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5, 789-813.

112.

Andrews, J. A., Lewinsohn, P. M., Hops, H., & Roberts, R. E. (1993). Psychometric properties of scales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social variable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adolescence. Psychological reports, 73, 1019-1046.

113.

Cole, D. A. (1991). Preliminary support for a competency-based model of depression in childre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0(2), 181-190.

114.

Cooper, H. M., & Rosenthal, R. (1983). Statistical versus traditional procedures for summarizing research findings. Psychological Bulletin, 87(3), 442-449.

115.

Costello, D. M., Swendsen, J. R., Jennifer, S., & Dierker, L. C. (2008).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ssociated with trajectories of depressed mood from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6(2), 173-183.

116.

Costello, E. J., & Angold, A. (1988). Scales to assess child and adolescent depression: Checklists, screens, and net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27, 726-737.

117.

Easterbrook, P. J., Gopalan, R., Berlin, J. A. (1991). Publication bias in clinical research. The Lancet, 337, 867-872

118.

Enns, M. W., Cox, B. J., & Clara, I. (2002). Parental bonding and adult psychopathology: results from the US national comorbidity survey. Psychological Medicine. 32, 997-1008.

119.

Fisher, R. A. (1921). On the ‘probable error’ of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deduced from a small sample. Metron, 1, 3-32.

120.

Faulstich, M. E., Carey, M. P., Ruggiero, L., Enyart, P. & Gresham, F. (1986). Assessment of depression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n evaluat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for children (CES-DC).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3, 1024-1027.

121.

Harrington, R., Fudge, H., Rutter, M., Pickels, A., & Hill, J. (1990). Adult outcome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47, 465-473.

122.

Higgins, J., Thompson, S. G., Deeks, J., & Altman, D. G. (2002). Statistical heterogeneity in systematic reviews of clinical trials: a critical appraisal of guidelines and practice.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and Policy, 7(1), 5.

123.

Hilsman, R., & Garber, J. (1995). A test of the cognitive diathesis-stress model of depression in children: Academic stressors, attributional style, perceived competence, and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370-380.

124.

Judd, L. L., Akiskal, H. S., Maser, J. D., Zeller, P. J., Endicott, J., Coryell, W., Paulus, M. P., Kunovac, J. L., Leon, A. C., Mueller, T. I., Rice, J. A., & Keller, M. B. (1998). Major depressive disorder: A prospective study of residual subthreshold depressive symptoms as predictor of rapid relaps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50, 97-108.

125.

Kessler, R. C., Turner, J. B., & House, J. S. (1988). Effects of Unemployment on Health in a Community Survey: Main, Modifying, and Mediating Effects. Journal of Social Issues, 44(4), 69-85.

126.

Kovacs, M., Feinberg T. L., Crouse, N., Paulauskas S, L., & Finkelstein, R. (1984). Depressive disorders in childhood, I: a longitudinal prospective study of characteristics and recovery. Arch Gen Psychiatry, 41, 229-237.

127.

Martin, G. C., Nandini D. (2003). Risk factors for depression among elderly community subjec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m J Psychiatry. 160, 1147-1156.

128.

Orwin, R. G. (1983). A Fail-Safe N for effects Size in Meta-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Statistics, 8, 157-159.

129.

Overbeek, G., Have, M., Vollebergh, W. & Graaf, R. (2007). Parental lack of care and overprotection: Longitudinal associations with DSM-III-R disorder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2, 87-93.

130.

Paul, S. R., Donner, A. (1992). Small sample performance of tests of homogeneity of odds ratios in k 2×2 tables. Stat Med, 11, 159- 165.

131.

Pine, D. S., Cohen. E., Cohen P., & Brook, J. (1999).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as Predictors of Adult Depression: Moodiness or Mood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6, 133-135.

132.

Weissman, M. M., Wolk S., Goldstein RB., et al. (1999). Depressed adolescents grown up.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1, 1707-1713.

133.

Zdanowicz, N., Jacques, D., Reynaert, C. (2006). Can we predict the health of teenagers 2 years in advance? A preliminary study. European Journal of Psychiatry, 20(1), 5-1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