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평결 판단에서 웰스효과의 확인과 평결 오류 위험성 지각의 영향

Identification of Wells Effect and Effects of Risk Perception of Wrong Verdict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3, v.19 no.2, pp.159-178
석동헌 (대구대학교)
김미진 (대구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배심원 제도를 사용하는 미국의 민사 모의배심 상황에서 발견된 웰스효과(Wells effect, Niedermeier, Kerr & Messé, 1999; 배심원들이 통계적 증거에 기초하여 피고가 사건의 책임이 있을 주관적 확률을 높게 추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유죄 평결 내리기를 주저하는 현상)가 우리나라의 민사 모의배심 상황에서도 나타나는지를 반복 검증하고, 이 효과에 대한 새로운 설명기제의 하나로서 ‘평결 오류 위험성 지각’ 가설의 적절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먼저, 실험 1에서는 Wells(1992)의 실험에서 사용된 실험조건별 시나리오들인 ‘타이어자국’ 조건 시나리오와 ‘타이어자국-믿음’ 조건 시나리오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안 및 수정하여 대학생 46명에게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 모의배심원들은 두 조건 모두에서 비슷한 정도로 피고의 유죄에 대한 주관적 확률을 높게 추정하였으나, 타이어자국-믿음 조건에 비해 타이어자국 조건에서 유죄 평결을 현저히 주저하였다. 이 결과는 실험 1이 한국 참가자를 대상으로 웰스효과를 반복 검증하였음을 의미한다. 실험 2는 웰스효과에 대한 새로운 대안적 설명을 제안하고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실험 1에서 사용한 ‘타이어자국’ 조건의 시나리오에 ‘평결 오류 위험성 지각’을 높거나 낮게 조작하는 문구를 추가한 두 시나리오를 만들어 조건별로 비교하였다. 대학생 70명을 대상으로 실험 2가 실시되었고, 그 결과로 평결 오류 위험성 지각이 낮거나 높게 조작된 조건 간에 유죄의 주관적 확률에서는 차이가 없었지만, 평결 오류 위험성 지각이 낮은 조건보다 높은 조건에서 유죄평결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 실험 2의 결과는 오판으로 인해 피고가 입게 될 피해의 크기를 배심원들이 작게 지각하는 경우보다 크게 지각하는 경우에 배심원들이 유죄 평결 내리기를 꺼려하는 웰스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에서 다루어졌다.

keywords
Wells effect, Verdict, Risk perception of wrong verdict, 웰스효과, 평결 판단, 평결 오류 위험성 지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replicate the Wells effect(i.e., reluctance to rule against the defendant solely on the basis of probabilistic evidence) in Korea and 2) examine the validity of an alternative explanation(i.e., perception of risk of wrong verdict). In study 1(n=46), mock jurors in the tire-tracks condition were reluctant to rule against the defendant based on their perceived probability and this pattern was not resulted in the tire-tracks-belief condition. Therefore, the Wells effect was replicated in Korea. In study 2(n=70), we manipulated the participants' perception of risk of wrong verdict. That is, participants who were assigned in the high risk perception of wrong verdict were informed that if the defendant were found guilty, the defendant would get considerable demage both in finance and reputation of the company. Participants in the low risk perception of wrong verdict condition were informed that these demage would not be grea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Wells effect was pronounced in the high risk perception of wrong verdict condition. That is, participants were more reluctant to rule against the defendant when they perceive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 of wrong verdict as high.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Wells effect, Verdict, Risk perception of wrong verdict, 웰스효과, 평결 판단, 평결 오류 위험성 지각

참고문헌

1.

박광배, 김상준, 한미영 (2005). 가상적인 재판 쟁점에서의 현역판사의 판단과 모의배심의 집단판단에 대한 인지적 방략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59-84.

2.

서울신문 (2011, 9, 27). 민사도 국민참여재판 도입 검토. http://www.seoul.co.kr/news/ newsView. php?id=20110927001018

3.

연합뉴스 (2012, 9, 15). 춘천지법 네 번째 시민참여 민사재판...조정성립. http://news. naver. com/main/read.nhn?mode=LSD&mid= sec&sid1=102&oid=001&aid=0005798667

4.

한국일보 (2012, 2, 1). ‘어린이집 여아 사망’ 민사재판에 첫 모의배심원제. http://news. hankooki.com/lpage/society/201202/h2012020118070821950.htm

5.

Arkes, H. R., Shoots-Reinhard, B., Mayes, R. S. (2012). Disjunction Between Probability and Verdict in Juror Decision Making. Journal of Behavioral Decision Making. 25(3), 276-294.

6.

Denes-Raj, V., & Epstein, S. (1994). Conflict between intuitive and rational processing: When people behave against their better judg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819-829.

7.

Kahneman, D., & Tversky, A. (1972). Subjective probability: A judgement of representativeness. Cognitive Psychology, 3, 430-454.

8.

McCauliff, C. M. A. (1982). Burdens of proof: Degrees of belief, quanta of evidence, or constitutional guarantees? Vanderbilt Law Review, 35, 1293-1335.

9.

Niedermeier, K. E., Kerr, N. L., & Messé, L. A. (1999). Jurors’ use of naked statistical evidence: Exploring bases and implications of the Wells e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6, 533-542.

10.

Saks, M. J., & Kidd, R. F. (1980). Human information processing and adjudication: Trial by heuristics. Law and Society Review, 15, 123-160.

11.

Sykes, D. L., & Johnson, J. T. (1999). Probabilistic evidence versus the representation of an event: The curious case of Mrs. Prob’s dog.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21, 199-212.

12.

Wells, G. L. (1992). Naked statistical evidence of liability: Is subjective probability enoug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739-752.

13.

Wright, E. F., MacEachern, L., Stoffer, E., & MacDonald, N. (1996).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naked statistical evidence of liability.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36, 677-68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