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맥아더 이야기 꾸미기 검사(MSSB)를 통하여 위탁 아동의 정신적 표상 및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살펴보고,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가정위탁지원센터를 통해 가정위탁을 받고 있는 만 5-8세 위탁 아동 25명(남아 11명, 여아 14명)과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고 있는 만 5-8세 일반 아동 25명(남아 11명, 여아14명)으로 총 50명 이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탁 아동이 일반 아동보다 역기능적인 인지적 표상이 많았는데 위탁 아동은 일반 아동보다 공감적 관계 주제는 더 적게 보였고, 비조직화된 공격성 주제는 더 많이 보였다. 둘째,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내적 표상 일관성을 비교한 결과 위탁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내적 표상 일관성이 더 낮았다. 셋째,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의 내적 표상에서 역기능적 정서조절을 비교한 결과, 7세 미만의 위탁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정서조절을 실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인간 갈등, 도덕적 주제, 회피 전략, 분열 코드 주제와 역기능적 정서조절 중 과장표현에서는 위탁 아동과 일반 아동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탁 아동이 직접 느끼고 경험하는 내적 표상의 주요한 주제와 역기능적 정서조절에 대한 개별 놀이평가형태의 질적 연구 분석을 실시하여 위탁 아동의 정신적 표상을 심도 있게 이해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study examined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children in foster care through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 (MSSB) and reviewed difference between children in foster care and typical children in terms of mental representation.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50 children: 25 children (11 boys and 14 girls), aged from 5 to 8, in foster care in Gyeonggi Province, and 25 typical children (11 boys and 14 girls), aged from 5 to 8, who liv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mental representation, children in foster care showed less subjects of empathic relations and more subjects of disorganized aggression than typical children. Second, children in foster care showed lower coherence mental representation than typical children. Finally, children in foster care were more likely to fail in emotional regulation than typical children in mental representation.
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2).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K - WISC – lll)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5(1), 19-33.
곽연숙 (2007). 가정위탁보호 아동의 위탁환경과 사회적지지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민, 정익중 (2009). 위탁아동의 친가족 경험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5, 93-119.
김민정 (2007). 위탁가정 특성, 위탁가정의 가족 및 사회적 지지와 위탁아동 특성에 따른 위탁부모의 양육 효능감. 한국가족복지학, 12(2), 109-127.
김민정 (2008). 가정위탁보호 아동의 심리적 적응. 한국가족복지학, 13(4), 145-159.
김윤미, 이경숙, 박진아, 이권희, 진미경 (2008). 위탁아동의 애착유형과 가족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인간발달학회, 15(3), 63-87.
김은정, 김형모 (2010). 가족 레질리언스가 위탁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권리학회, 14(4), 633-655.
김진숙 (2007). 위탁가정 아동의 적응과정 연구: 근거이론 접근.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진숙, 이혁구 (2007). 일반위탁가정 아동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9(1), 87-116.
노서연 (2003). 어머니 부모역할 만족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노충래, 김미영, 박은미, 강현아, 신혜령 (2008). 발달단계 및 위탁형태에 따른 가정위탁보호아동의 심리적 적응에 관한 연구: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28, 238-264.
민성혜 (2006). 유아 내적 표상과 행동억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민성혜, 신혜원 (2006). 위탁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를 통한 내적 표상의 차이. 한국아동복지학회, 22, 31-61.
민윤희 (2010). 미술치료가 위탁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치료학회, 1(1), 19-32.
박진아, 정문자 (2007). 불안장애 유아의 기질과 역기능적 정서조절의 관계에 대한 어머니 양육행동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 19(2), 273-295.
박현선 (2004). 가정위탁보호제도의 현황과 문제점. 월간 복지동향, 65, 18-20.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5).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표준화. 한국심리학회, 213-221.
배태순 (2003). 국내 해체가정의 아동보호현황과 가정위탁보호의 활성화 방안. 경남지역연구, 8, 187-204.
보건복지부 (2010). 보건복지통계연보.
신건철 (2010). 일반위탁부모의 위탁해지 결정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4(1), 59-84.
신혜원, 민성혜 (2008). 가정위탁유아, 연장입양유아와 일반유아의 내적표상에서의 차이. 아동학회지, 29(3), 157-174.
양심영 (2003). 가정위탁서비스의 보호형태별 특성과 위탁아동의 적응에 관한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1(5), 131-148.
우주영, 이경숙, 신의진 (2006). 성학대 유아의 정신적 표상: 정서문제, 행동 문제, 일반유아와의 비교.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2(2), 173-201.
유영미, 이 영 (2001). 어머니에 대한 유아의 표상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14(1), 63-74.
이경숙, 박진아, 신의진 (2004). 임상 유아의 정신적 표상에 관한 연구: 이야기 꾸미기 (MSSB) 도구의 임상적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1, 337-338.
이경숙, 정석진, 박진아, 신의진 (2008). 정신적 표상에 대한0 임상적 접근; Asperger 아동의 정신적 표상-MSSB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 500-501.
이경숙, 정석진, 신의진 (2003). 학령전기 학대아동과 일반아동의 이야기 표상 차이. 한국심리학회, 16(2), 71-86.
이송이 (1999). 가정위탁보호 양육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 4(2), 43-62.
이혜란, 신의진, 이경숙 (1999). 학령전기 아동의 심적 표상.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10(1), 21-33.
이혜영, 이혜원 (2011). 위탁부모의 양육태도와 위탁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이 가정위탁보호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 151-174.
임경민 (2005). 유아의 나레이티브 표상과 사회적 상호작용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희수 (2001). 아동의 기질, 어머니의 정서조절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 (2010), 가정위탁보호 현황보고서.
최 영 (2007). 위탁아동이 인지한 사회적지지와 심리사회적 적응: 위탁가정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4, 61-90.
허남순 (2000). 가정위탁보호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1), 263-287.
허남순, 이혜원 (2006). 유엔 아동권리협약의 원칙과 국내 가정위탁보호의 현황 분석. 한국아동복지학, 22, 95-126.
Achenbach, T. M., & Edelbrock, C. S. (1983). Manual for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vised Child Behavior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Bowlby, J. (1973). Attachment and Loss. Vol. 2: Separation. New York: Basic Books.
Bretherton, I. (1999). Updating the 'internal working model' construct: some reflections.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1, 343-357.
Burks V., & Parke, R. D. (1996). Parent and child representations of social relationships: Linkage between and peers. Merrill-Palmer Quarterly, 42, 358-378.
Cassidy, J., & Kobak, R. R. (1988). Avoidence and its relation to other defensive process. In J. Belsky & T. Nezworiski (Eds.),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302-322.
Cicchetti, D. & S. L. Toth (1995). A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perspective on child abuse and neglect. Journal of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4, 541-565.
Colette McAuley. (1996). Children in Long-term Foster Car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mendeley. com.
Denham, S. A., & Couchoud, E. A, (1990). Young prescholers' understanding of emotion. Child Study Journal, 20(3), 193-202.
Eisenberg, N., Champion, C & Ma Y. (2004). Emotion-realted regulation: An emerging construct. Merrill-Palmer Quarterly, 50(3), 236-259.
Eisenberg, N., Fabe, R. A., Brnzweig, J., Karbon, M., Poulin, R., & Hanish, L. (1993).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uts. Child Development, 64(5), 1418-1438.
Fabes, R., Eisenberg, N., Karbon, M., Carlo, G., Schaller, M., & Miller, P.A. (1991). The relations of parental characteristics and practices to children's vicious emotional responding. Child Development, 62, 1393-1408.
Fanshel, D. & E. B. Shinn (1978). Children in Foster Care: A longtudinal inverstigation. Colombia University.
Fonagy, P., & Target, M. (2000). Revised Manual for MacArthur Narrative Completion Task. Unpublished manuscript,
Gottman, J. M. (1983). How children become friend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48(3), 1-82.
Holmberg, J., Robinson, J., Corbitt-Price, J., & Wiener, P. (2007). Using narrative to assess competencies and risks in young children: Experiences with high risk and normal populations.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28, 647-666.
Katz, L. G., & McCellan, D. E. (1997). Fostering children' social competence: The teacher's role. Washington, D. C.: NAEYC.
Kochanska, G., & Coy, K. C. (2002). Child emotionality and maternal responsiveness as predictors of reunion behaviors in the strange situation: Links mediated and unmediate by separation distress. Child Development, 73, 228-240.
Laible, D., Carlo, G. Torquati, J., & Ontai, L. (2004). Children's perceptions of family relationships as assessed in a doll story completion task: Links to parenting, social competence, and externalizing behavior. Social Development, 13, 551-569.
Leathers, S. J. (2003). Parental visiting, conflicting allegiances,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mong foster children. Family Relation, 52(1), 53-64.
Mcauley, C. (1996). Children in Long-term Foster Car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London: Athenaeum Press.
Oppenheim, D., Emde, R. N., & Warren, S. (1997). Children's narrative representation in mother adaptation. Child development, 68, 127-138.
Oppenheim, D., Nir, A., Warren, S., & Emde, R. N. (1997). Emotion regulation in mother-child narrative co-construction: Associations with children's narrative adapt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3, 284-294.
Pecora, P, J., Whittaker, J. K., Maluccio, A, N., Barth, R. P. & Plotnick, R. D. (2000). The child welfare challenge;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2nd ed.). Newyork: Aldine de Gruyter.
Reija Latva., Ilona Luoma., Raili Salmenlin., Tarja Sorvali., JoAnn Robinson., & Palvi Kaukonen Department of Child Psychiatry Tampare University Hospital. (2009). MacArthur Story Stem Battery Tampere Clinical Coding Manual. Department of Child Psychiatry, Tempere University Hospital, Finland.
Robinson, J., Mantz-Simmons, L, Macfie, J., & The MacArthur Narrative Working Group. (1995). Narrative Coding Maunal. Unpublished Scoring System. University of Colorado Health Science Center, Denver, Co.
Robinson, J., Mantz-Simmons, L. (2003). The MacArthur narrative coding system: One approach to highlighting affective meaning making in the Macarthur story stem battery. In R. N. Emde, D. P. Wolf, & D. Oppenheim (Eds.), Revealing the inner worlds of young childre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Robinson, J., Mantz-Simmons, L, Macfie, J., Kelsay, K., Holmberg, J., & the MacArthur Narrative Working Group. (2004). The MacArthur narrative coding manual. Unpublished maun script.
Saami, C. (1984). An observational study of children's attempts to monitor their expressive behavior. Child Development, 55, 1504-1513.
Sher-Censor, E., Oppenheim, D. (2004). Cohernce and representations in preschoolers' narrative: Associations with attachment in infancy. In M. W. Pratt & B. H. Fiese (Eds.), Family Stories and the Life Coures: Across Time and Generations. NJ: Erlbaum.
Shields, Ann., Ryan, Richard M. & Cicchetti, Dante. (2001). Narrative representations of caregivers and emotion dysregulation as predictors of maltreated children's rejection by peers. Developmental Psychology, 37(3), 321-337.
Solomon, J., & George, C. (Eds.) (1999). Attachment disorganization. NewYork: Guilgord.
Weinberg. K. M., Tronick, E. Z., Cohn, J. F., & Olson, K. L. (1999). Gender differences in emotional expressivity and self-regulation during early infancy. Developmental Psychology, 35, 175-188.
Wolf, D. P. (2003). Making meaning from emotional experience in early narratives. In R. N. Emde., D. P. Wolf., & D. Oppenheim. (Eds.). Revealing the inner worlds of young childre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Zimmermann, P. (1999). Structure and functions of internal working models of attachment and their role for emotion regulation. Attachment and Human Development, 1(3), 291-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