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성희롱: 경험과 인식, 그리고 정책 방안

Sexual Harassment at Work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1995, v.2 no.1, pp.17-32
김양희(Yang-Hee Kim) (한국여성개발원)

초록

본 논문은 최근 몇년사이에 중요한 사회문제의 하나로 대두되고있는 성희롱에 대한 개념을 명료히하고 여성들(주로 사무직)의 직장내 성희롱에 대한 경험과 인식을 파악하였으며,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직장여성 311명에 대한 조사결과 80%정도가 적어도 한가지 이상의 성희롱을 경험하였으며, 그 결과로 분노와 모욕감, 혐오감, 수치심 등의 피해를 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희롱을 경험했을 때의 대응방식이 상당히 소극적인 경향이 있어 성희롱 피해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성희롱의 대처방식에 관한 교육 및 사내처리제도 마련, 사내 지원 분위기 조성, 특히 여직원회의 지원 등이 시급하다. 성희롱관련 정책에 대한 요구도는 높았는데, 특히 성희롱 경험이 많을수록 더 그러하였다. 또한 응답여성의 성역할의식과 실제 성희롱 경험여부는 무관했지만 성역할의식이 진보적일수록 실제 경험시 부정적인 영향이 덜하였으며, 사건 발생시 고용주의 책임을 물어야 할 필요성과 회사내 상담창구의 필요성 등 관련정책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keywords

Abstract

Sexual harassment is a new social issue in Korea, although it is not a new problem for women who are its victims, Only within the past couple of years has the term sexual harassment been introduced to Korean people. It barely begins to gain legal recognition as a problem attributable to the imbalance in power relationship between women and men in the workplace and to the culture which objectifies and degrades women. Empirical documentation of the nature of the problem of harassment, however, is scare in Korea so as to clarify the concept of harassment and to provide information o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situational correlates, characteristics of victims as well as perpetrators, and typical responses to the incident of harassment. The present article summerizes the results of a survey on 311 female clerical workers on the extent of their experience of harassment and their perception of harassment as well as of related policy measures. According to the survey, almost 80% of respondents experienced sexual harassment. The longer they have been employed, the more incidents of harassment they experienced and the higher was their recognition regarding the need for policies to deal with the problem. Although the actual level of experience of harassment was not related to respondents' sex role consciousness, it was significant that women with a progressive attitude toward sex roles tended to experience less negative influences after the incident, and to have a higher perception of the need for related policies at company level. The results imply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women's attitudes and coping mechanisms regarding sexual harassment. Remedial actions to curtail and prevent sexual harassment at work a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