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성 새터민의 성격유형에 따른 심리적응

The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Personality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4, v.20 no.1, pp.19-44
손영미 (서울과학종합대학원)
강숙정 (한겨레심리상담센터)
박정열 (서울과학종합대학원)

초록

본 연구는 다요인인성검사Ⅱ를 활용하여 여성 새터민들의 성격적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서로 구별되는 성격유형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여성새터민 163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총 158개의 자료가 최종 분석되었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자아강도, 자기통제성, 대담성, 불안성 척도에서 65T이상에 해당하는 비율이 타 척도에 비해 높게 나타난 한편 실리성과 진보성 척도에서는 34T이하에 속하는 비율이 타 척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령 및 거주기간에 따른 다요인인성검사 T점수 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 및 거주기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요인인성검사 T점수 프로파일을 토대로 여성새터민의 성격유형을 분류한 결과, 3개의 군집이 추출되었다. 제 1군은 정서적 불안정성과 부정적 정서성(높은 예민성, 불안성, 자책성)을 주요 특성으로 하고 있다. 제 2군은 적절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남한사회의 규범이나 규칙을 지키는 것을 불편해하거나 남한사회의 빠른 변화를 싫어하는 보수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제 3군은 정서적으로 안정적이고, 자아가 성숙되며, 적절하고 친밀한 대인관계를 맺는 것이 주요한 특성으로, 다른 두 군집에 비해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남한사회에 대한 적응정도도 높았다. 각각의 군집은 심리적응척도(자아정체감과 적응유연성) 간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상의 결과는 향후 여성새터민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심리적·정책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keywords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Saeteomin, SPFQ, personality, self-identity, resilience, 여성 새터민, 북한이탈주민, 성격, 다요인인성검사, 자아정체감, 적응유연성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personality of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which were extracted from the T-scores of SPFQ(scales of the Sixteen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 and psychological adaptation. For this, The data of 158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located in Seoul Yangchun-Gu and Gayang-Gu was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atio of over 65T in ego-strength, self-control, social-boldness, anxiety scales and under 34T in abstractedness and openness to change scales was higher than in other scales. Second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especially age and the term of residence in South Korea. Thirdly, three distinct groups were extracted from the K-means cluster analysis. The first group was characterized with emotional-unstability and negative emotionality. And the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in the second group hesitated to enter into and maintain proper relationships with south korean, while they were unlikely to accept norms and rules in South Korea. The third group, characterized by higher emotional stability, ego-strength, and agreeableness, was met normal range in all the scale of SPFQ. Finally, each three groups we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adaptation scales(self-identity and resilience). We expected that these results contribut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and the political plans for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settlement in South Korea.

keywords
North Korean female Refugees, Saeteomin, SPFQ, personality, self-identity, resilience, 여성 새터민, 북한이탈주민, 성격, 다요인인성검사, 자아정체감, 적응유연성

참고문헌

1.

강숙정 (2000). 하나원교육생 심리안정 및 인성수련 프로그램 개발. 통일부: 2000년 연구용역과제.

2.

강숙정 (2009). 탈북 새터민의 자기 힘 증진을 위한 셀프파워 프로그램 개발.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강숙정, 이장호 (2009). 가양동 새터민 MMPI 검사결과와 새터민 심리상담적 접근. 한국상담학회지, 10(1). 235-250.

4.

강숙정, 이재창, 이장호 (2010). 새터민 심리적응을 위한 셀프파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673-706.

5.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6.

김계순 (2006). 새터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은경, 허석재 (2009). 새터민의 사회심리적 적응: 문화적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 한국민족연구원: 민족연구, 41, 97-120.

8.

김윤나 (2007). 북한이탈청소년의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적응유연성에 관한 통합적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정규, 염태호 (2009). 다요인 인성검사 Ⅱ 실시요강. 서울: 한국가이던스.

10.

김종남, 최윤경, 채정민 (2008). CES-D와 로샤검사를 통해 본 새터민의 우울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2), 41-61.

11.

김현경 (2007). 난민으로서의 새터민의 외상(trauma) 회복 경험에 대한 현상학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김현아 (2004). 새터민의 품행장애 행동과 성격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 12, 150-168.

13.

김현아 (2006). 새터민의 적응유연성 척도 개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김현아, 전명남 (2004). MMPI에 나타난 새터민의 개인차 특성. 통일연구, 7(2), 129-160.

15.

김희경, 신현균 (2010). 지역사회 정착 전후 새터민의 성 및 연령별 심리증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4), 707-724.

16.

김희경, 오수성 (2010). 탈북 여성의 MMPI-2 프로파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1), 1- 20.

17.

김희경, 전진용 (2010). 탈북 여성에서 MMPI-2의 진단적 유용성: 정신과 내원군과 정상대조군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335-353.

18.

노대균 (2001). 탈북자의 개인차 요인이 적응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류재중, 조아미 (2007). 조손가족 청소년의 학교적응유연성 모형 적합도 검증연구. 청소년학연구, 14(2), 49-69.

20.

박정란 (2009). 여성 새터민의 자녀 돌봄과 일: 실태와 지원방안. 한민족문화연구, 28, 97- 135.

21.

성태제 (2008). 알기 쉬운 통계분석: 기술통계에서 구조방정식모형까지. 서울: 학지사.

22.

오승환 (2006). 저소득층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결정요인: 적응유연성 요인의 탐색. 한국아동복지학, 21, 181-205.

23.

양계민, 정진경 (2005). 새터민과의 접촉이 남한 사람들의 신뢰와 수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 특집호, 97- 115.

24.

이경혜 (1997). 중년여성의 자아정체감발달에 관한 연구경향과 전망에 관한 일고찰.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연구 6(2), 143-153.

25.

이기영 (2002).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13(1), 175-224.

26.

이민영 (2005). 남북한 이문화 부부의 가족과정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활용하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이민영, 김현경 (2007). 새터민 여성의 이주로 인한 상실의 극복체험: 남한남성과 결혼한 여성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5, 525-554.

28.

이수원, 신건호 (1995). 남북한의 이데올로기 갈등과 사회발전, 이장호․이춘재 편, 남북의 장벽을 넘어서, 한국심리학회 통일문제 학술심포지움 논문집.

29.

이장호 (1997). 북한출신 이주민(탈북자 포함) 심리사회 적응프로그램의 개발. 성곡학술문화재단: 성곡논총, 28(4). 739-768.

30.

이재창, 김영만 (2005). 탈북자들의 심리적 특성이 소외감에 미치는 영향: 탈북자들과 남한주민들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3), 41-66.

31.

정태연 (2002). 탈북자들의 심리적 특성연구. 국방부 정책연구과제 보고서.

32.

장혜경, 김영란 (2001). 이탈주민 가족의 가족 안정성 및 사회적응과 여성의 역할. 한국여성개발원.

33.

정지은, 김민태, 오정요, 원윤선 (2009). 아이의 사생활. 서울: 지식채널.

34.

전우택 (2000). 사람의 통일을 위하여. 서울: 오름.

35.

조영아 (2009). 새터민의 심리 상담에 대한 요구도와 전문적 도움 추구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85-310.

36.

조영아, 김연희, 유시은 (2009). 남한 내 7년 이상 거주한 새터민의 정신건강 예측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329-348.

37.

진미정, 이순형 (2006). 새터민의 자아존중감 및 내적귀인성향에 따른 사회문화적 적응. 대한가정학회지, 44(7), 141-151.

38.

차재호 (2000). 통일에 있어 심리적 통합의 전망과 과제. 한국심리학회 춘계 심포지엄 자료집.

39.

채정민 (2004). 새터민의 남한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0.

최빛내 (2009). 품행장애 성향의 청소년을 위한 도덕성 향상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Wilson의 도덕성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최윤경, 김종남, 채정민 (2009). 로샤검사에 나타난 새터민의 대처와 방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4), 507-528.

42.

통일부 (2013). 북한 이탈 주민정책 최근 현황.

43.

Berry, J. W. (1980). Acculturation as varieties of adaptation. in A. Padilla(ed.), Acculturation; theory, models and new findings. Boulder, Co: Westview Press.

44.

Dignan, S. M. H. (1965) Ego identity and material identific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 476-483.

45.

Rausch, J. L., Lovett, C. R., & Walker, C. O.( 2003). Indicators of resilience among urb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risk. The Qualitative Report, 8(4), 570-590.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