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부모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차이: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유익성, 영향과 가치, 부모-자녀 관계, 규제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Generation gap between adolescents group and parents group in the perceptions on online gam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4, v.20 no.3, pp.263-280
김지연 (서울사이버대학교)
도영임 (한국과학기술원)

초록

본 연구는 부모 세대 집단과 청소년 세대 집단이 온라인 게임 인식의 주요 하위 차원인 온라인 게임의 유해성과 유익성, 온라인 게임의 영향과 가치, 온라인 게임과 관련한 부모-자녀 관계, 온라인 게임 규제에 대해 어떠한 생각들을 가지고 있고, 각 세대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거주하는 중, 고등학생 청소년 155명과 중, 고등학생 부모 192명, 총 34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게임 인식 척도 문항을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게임 인식의 주요 하위 차원에서 부모 세대 집단과 청소년 세대 집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특히 온라인 게임의 폭력성과 사회성 항목에서 부모 집단과 청소년 집단의 인식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이 두 영역에 대한 세대 간의 인식의 차이가 온라인 게임을 둘러싼 부모 세대와 청소년 세대의 갈등의 중요한 지점이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온라인 게임과 관련한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인식에서도 세대 집단 간 차이가 분명하게 드러나, 청소년 시기 발달 과정 속에서의 부모-자녀 관계가 온라인 게임과 관련한 부모-자녀 관계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현실 상황에서 직면하는 구체적인 활동 수준에서 온라인 게임에 대한 세대 집단 간 인식 차이를 세밀하게 조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온라인 게임과 관련된 부모-자녀 갈등의 원인이 되는 구체적인 지점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다는 데에서 실용적인 시사점을 지닌다.

keywords
온라인 게임 인식, 세대차, 게임의 유해성/유익성, 게임의 가치, 부모-자녀 관계, 게임 규제, perceptions on online games, generation gap, harmfulness/benefits of online games, impacts and values of online games,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government regulation of online games

Abstract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figure out the generation gap between adolescents group and parents group in the sub-dimensions of perceptions on online games, such as harmfulness and benefits of online games, impacts and values of online games,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and government regulation of online games. To this end, we conducted online survey targeting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and parents with children attending middle or high school regarding the perceptions on online games. As a result, we identifi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s and parents generation in the sub-dimensions of perceptions on online games. Especially,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dolescents and parents generation in the perceptions on violence and sociality of online games. This result shows that the generation gap in these two factors may cause the conflict between parents and adolescents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Also, we ascertained the significant generation gap in the perception on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This result implies that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i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dolescents in real life was reflected in the perception on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Our contributions are in specifying the generation gap in the sub-dimensions of the perceptions on online games and in identifying the main causes of the conflict between parents group and adolescent group with regard to online game activities.

keywords
온라인 게임 인식, 세대차, 게임의 유해성/유익성, 게임의 가치, 부모-자녀 관계, 게임 규제, perceptions on online games, generation gap, harmfulness/benefits of online games, impacts and values of online games,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government regulation of online games

참고문헌

1.

강신규, 김광재 (2012). 디지털 게임의 자율규제 방안에 관한 비교분석적 접근. 한국게임학회논문지, 12(6), 107~120.

2.

김성동, 이지훈 (2007). 게임 이용에 따른 부모와 자녀들간의 가정문화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11, 47~54.

3.

김지연 (2013). 디지털 시대의 부모-자녀 관계: 아동,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이용에 미치는 부모 요인의 영향. 한국 사회 및 성격 심리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14. 12. 7)

4.

김지연, 김도환, 이장주, 모상현, 장근영 (2013). 온라인 게임에 대한 인식 유형과 그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13(4), 91~104.

5.

김지연, 도영임 (2012). 게임 셧다운제에 대한 부모들의 다양한 인식과 자녀들의 올바른 게임 이용을 위한 사회문화적 개입 전략. 청소년학연구, 19(3), 55~84.

6.

이투데이 (2011. 2. 1). 문화부, 준비되는 업체부터 ‘선택적 셧다운제’ 도입.

7.

한국인터넷진흥원 (2013). 2013 인터넷이용실태조사. 한국인터넷진흥원.

8.

황상민 (2000). 사이버 공간의 경험에서 나타난 부모세대와 청소년 세대집단 간의 의식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3(2), 145 ~158.

9.

Back, J. C., & Wade, M. (2004). Got game: How the gamer generation is reshaping business forever. MA: Harvard Business. 이은선 역 (2006). 게임세대 회사를 점령하다. 서울: 세종서적.

10.

Cho, C. H., & Cheon, H. J. (2005). Children's exposure to negative Internet content: Effects of family context.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49(4), 488~509.

11.

Eastin, M. S., Greenberg, B. S., & Hofschire. L. (2006). Parenting the Internet. Journal of Communication, 56, 486~504.

12.

Eklund, L., & Bergmark, K. H. (2013). Parental mediation of digital gaming and internet use. In FDG 2013: The 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Foundations of Digital Games (pp. 63-70).

13.

Havighurst, R. J. (1972).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Y: David McKay Company.

14.

Hill, J. P. (1983). Early adolescence: A research agenda.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3, 1- 21.

15.

Holloway, S. L., & Valentine, G. (2003). Cyberkids: Children in the information age. London: Routledge.

16.

Kutner, L. A., Olson, C. K., Warner, D. E., & Hertzog, S. M. (2008). Parents' and sons' perspectives on video game play: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23(1), 76 ~96.

17.

Lee, S., & Chae, M. A. (2007). Children's internet use in a family context: Influence on family relationships and parental media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10(5), 640~644.

18.

Mumtaz, S. (2001). Children's enjoyment and perception of computer use in the home and the school. Computers & Education, 36, 347~362.

19.

Nathanson, A. I. (2001). Mediation of children's television viewing: Working toward conceptual clarity and common understanding. Communication Yearbook, 25, 115~151.

20.

Nikken, P., & Jansz, J. (2006). Parental mediation of children's video game playing: A comparison of the reports by parents and children. Learning, Media and Technology, 31(2), 181~202.

21.

Nikken, P., Jansz, J., & Schouwstra, S. (2007). Parents' interest in videogame ratings and content descriptors in relation to game mediation. European Journal of Communication, 22(3), 315-336.

22.

Shaffer, D. (2002). Developmental psychology (6th ed.). Cengage Learning. 송길연, 장유경, 이지연, 정윤경 역 (2005). 발달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3.

Shaw, A. (2010). What is video game culture? Cultural studies and game studies. Games and culture, 5(4), 403-424.

24.

Skoien, P., & Berthelsen, D. (1996). Video games: Parental beliefs and practices. Retrieved from. http://www.aifs.org.au/institute/afrcpapers/skoien.html

25.

Subrahmanyam, K., & Šmahel, D. (2011). Digital youth: The role of media in development. NY: Springer. 도영임, 김지연 역 (2014). 디지털 시대의 청소년 읽기. 서울: 에코리브르.

26.

Wang, R., Bianchi, S. M., & Raley, S. B. (2005). Teenager's Internet use and family rules: A research note.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7, 1249~1258.

27.

Wood, R. T. A. (2008). Problems with the concept of video game addiction: Some case study examples.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6(2), 169~178.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