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ultural differences and related difficulties which Korean- Chinese women in Korean society experience at work and the different styles of their cultural adaptation. For this, semi-structured interviews consisting of questions related to these issues were conducted on 17 Korean-Chinese women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verage age: 34, SD = 9.25, average stay in Korea = 4 years, SD = 2.24). After analysis of qualitative data based on Giorgi’s(1985) method of phenomenological analysis, a total of 225 significant statements were found and those were grouped into 23 subcategories, which were then grouped again into 9 categories. Cultural differences and related difficulties appeared in identity, verbal communication,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and relational and sexual affairs. It was also revealed that Korean-Chinese women adapted in the three ways of Active, Passive, and Avoident. Lastly, various social actions that can aid the adaptation of Korean-Chinese women to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권숙인 (2008). 디아스포라 재일한인의 귀환, 국제지역연구, 17(4), 33-60.
김경신 (2006). 한국여성과 조선족여성의 가족가치관 비교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11(3), 23-50.
김경신, 이선미 (2007).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심리적 복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5(2), 119-131.
김교숙 (2010). 외국인 비정규직 여성근로자의 현실과 과제. 법학연구, 21, 3-24.
김귀옥 (2003). 경계 안팎의 여성 조선족: 삶의 특성과 사회인식, 재외한인연구, 14(1), 25- 76.
김현미 (2009). 방문취업 재중 동포의 일 경험과 생활세계. 한국문화인류학, 42(2), 35-75.
김현옥, 추상엽, 임성문 (2014). 유학생의 문화적응전략, 민족유형과 심리적 안녕감, 우울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1), 1-18.
김화선 (2008). 다문화시대, 아동문학의 현황과 전망. 비교한국학, 16(2), 251-272.
노재철, 고준기 (2014). 외국인근로자의 임금을 둘러싼 법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4), 135-147.
문형진 (2008). 한국내 조선족 노동자들의 갈등사례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 12(1), 131-156.
박은미 (2009). 새터민 대학생의 남한사회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박준성, 안혜정, 정태연 (2013).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연구, 21(1), 51-60.
박준성, 전미연, 허성호, 리 나, 정태연 (2009). 한국 내 조선족 여성의 이주동기와 일-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30-431.
박행모, 문승태 (2008).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의 사회생활 적응 교육을 위한 시태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2), 69-91.
신경희, 양성은 (2006). 국제결혼가족의 부부갈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4(5), 1-8.
신성자, 미치도칠 오통도람 (2012). 재한 몽골 합법․불법 이주농동자들의 직업만족도, 사회적지지, 희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희망의 매개효과와 체류자격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4), 435-462.
오옥선 (2014).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정정서, 심리적 안녕감 및 임파워먼트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1), 45-65.
유명기 (2002). 민족과 국민 사이에서: 한국 체류 조선족들의 정체성 인식에 관하여. 한국문화인류학, 35(1), 101-127.
이광규 (2011). 러시아연방 사하공화국 고려인 연구 시안. 재외한인연구, 23, 349-364.
이득춘 (1994). 이중언어학 관계 논문: 중국의 한중 이중언어 사용에서 제기되는 몇 가지 문제, 이중언어학, 11, 59-70.
이무영, 강기정 (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집단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가족복지학, 12(2), 29-44.
이익섭 (1994). 사회언어학. 서울: 민음사.
이해응 (2005). 중국 조선족 기혼여성의 한국 이주경험을 통해 본 주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인태정 (2009). The study on conscious research of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city and Kyungsangnamdo toward ethno-racial distances and cultural diversity. 국제지역연구, 13(2), 339-370.
장은영 (2011). “한국어를 배워야 하나요?”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에 관한 다중 사례연구. 이중언어학, 47, 139-164.
채정민 (2003).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심리적 문화적응 기제와 적응행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통일부 (2008). 2008년 통일부백서. 서울: 통일부.
황승연 (1997). 중국동포들의 한국사회 적응 실태, 아태연구, 1, 183-208.
Berry, J. W. (1997).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46, 5-34.
Bourhis, R. Y., Moȉse, L. C., Perreault, S., & Seʼnecal, S. (1997). Towards an interactive acculturation model: Asocial psychological approach.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32, 369-386.
Dovidio, J. F., S. L. Gaertner, & T. Saguy. (2007). Another view of “we”: Majority and minority group perspectives on a common ingroup identity.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18, 296-330.
Gao. F. (2011). Language and power: Korean- Chinese students' language attitude and practice. Journal of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Development, 30(6), 525-534.
Giorgi, A. (1985). (Ed). Phenomenol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PA: Duquesne University Press.
Hofstede, G. (2005).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McGraw-Hill.
Korean Immigration Service. (2009). 이주통계. 법무부.
Korean Immigration Service. (2013). 이주통계. 법무부.
Lee, S. (2012). A study on how to teach tense to Chinese Korean language learners. Journal of Pan-Pacific Association of Applied Linguistics, 15(1), 221-234.
Lyons, J. (1981). Language and Linguistics. University of Cambridge Press.
McClure, E., & J. Wentz. (1975). Functions of code-switching among Mexican-American children. IL: Chicago, Chicago Linguistic Society.
Phinney, J. (1990). Ethnic identity in adolescents and adults: A review of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08, 499-514.
Sharpes, D., & Wang, X. (1997). Adolescent self-concept among Han, Mongolian, and Korean Chinese. Adolescence, 32(128), 913-924.
Ward, C., S. Bochner, & A. Furnham (2001). The Psychology of culture shock. East Sussex: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