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과 편집증적 심리특성

Prejudice toward Minority Groups and Paranoid Characteristic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5, v.21 no.3, pp.339-353
홍성원 (강원대학교)
이인혜 (강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에 내재하는 편집증적 심리 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이 편집성향과 갖는 관계성을 검토하고 이와 더불어 편집증의 인지적 특성으로 밝혀진 변인들의 작용을 평가하였다. 편집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MMPI-2의 편집척도 Pa 및 Harris -Lingoes 순박성 소척도 Pa3를 사용하였고, 인지적 특성으로는 편집증의 핵심변인인 이분법적 사고와 귀인양식을 측정하였다. 소수집단은 이주노동자, 동성애자, 노숙인으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편견은 인지ㆍ정서ㆍ행동적 측면을 통합하여 산정하였다. 557명의 질문지를 분석한 결과, Pa3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이 약하고 이분법적 사고가 높은 집단이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이 강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가설이 지지되었다. 반면 귀인양식에 있어서는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keywords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 편집성향, 순박성 소척도 Pa3, 이분법적 사고, 귀인양식, prejudice toward minority groups, paranoid tendency, Harris-Lingoes Naivetes(Pa3), dichotomous thinking, attributional style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paranoid tendencies,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prejudice. Revised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Pa scale, Harris-Lingoes Naivetes(Pa3), dichotomous thinking(DT), attributional style, prejudice toward minority groups(migrant workers, homosexuals, and homeless people) were administered to 557 college students. High Pa3 group was significantly low in prejudice toward minority groups. Also, the group with higher DT showed more prejudice toward minorities. The sugges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s of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소수집단에 대한 편견, 편집성향, 순박성 소척도 Pa3, 이분법적 사고, 귀인양식, prejudice toward minority groups, paranoid tendency, Harris-Lingoes Naivetes(Pa3), dichotomous thinking, attributional style

참고문헌

1.

김상학 (2004). 소수자 집단에 대한 태도와 사회적 거리감. 사회연구, 169-206.

2.

김중술 (2010).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

김중술, 한경희, 임지영, 이정흠, 민병배, 문경주 (2005). 다면적 인성검사 Ⅱ 매뉴얼. 서울: 마음사랑.

4.

김혜숙 (1999). 집단범주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편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1), 1-33.

5.

김혜숙 (2000). 북한사람에 대한 고정관념, 감정과 태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2), 115-134.

6.

노경란, 방희정 (2009). 다문화시대 한국 초등학생의 인종에 대한 명시적 및 암묵적 태도 발달과 태도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49-79.

7.

민성길 (2006). 최신정신의학. 서울: 일조각.

8.

송관재, 이재창, 홍영오 (2001). 사회적 오점보유자들에 대한 편견, 차별 및 자존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1), 119- 136.

9.

엄홍식, 박기환 (2008). 피해편집증과 처벌편집증의 귀인양식 및 추론편향. 인지행동치료, 8(1), 57-73.

10.

이명원, 김중술, 신민섭 (2003). 자기개념 위협이 편집성향자의 주의 및 귀인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1), 71-91.

11.

이하령 (2007). 인종에 대한 사회적 편견연구: 고정관념, 감정과 사회적 거리감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이현우, 이훈진 (2006). 경계형, 외현형 편집증의 자기개념과 타인개념 및 귀인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2), 449-465.

13.

이훈진 (1997). 편집증과 자기개념 및 귀인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이훈진 (2000). 편집증 집단의 자기개념과 주의 및 기억편향. 심리과학, 9(1), 77-99.

15.

이훈진 (2001). 편집성향 집단의 분노표현양식과 귀인 및 추론양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3), 443-452.

16.

이훈진, 이명원 (2000). 편집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17.

한규석 (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 서울: 학지사.

18.

황성훈 (2007). 정신병리에서 이분법적 사고의 역할.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황성훈, 양귀화, 원성두 (2006). 정신과 표집에서 낮은 Pa에 대한 역해석의 타당성. 정신병리학, 15(1, 2), 3-10.

20.

황성훈, 이훈진 (2009a). 이분법적 사고와 MMPI-2로 측정한 정신병리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1), 1-14.

21.

황성훈, 이훈진 (2009b). 편집증에서 이분법적 사고의 작용.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011-1023.

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he Committee of Black Psychiatrists of the Council of Minority Mental Health and Health Disparities (2006). Resolution against racism and racial discrimination and their adverse impacts on mental health.

23.

Bell, C. (2004). Racism: A mental illness? Psychiatric Service, 55(12). http://ps. psychiatryonline.org/doi/full/10.1176/appi.ps.55.12.1343.에서 2015, 4, 30 인출.

24.

Bentall, R. P., Kinderman, P., & Kaney, S. (1994). The self, attributional processes and abnormal beliefs: Towards a model of persecutory delusion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2, 331-341.

25.

Cameron, N. (1963). Personal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Boston, MA: Mifflin.

26.

Candido, C. L., & Romney, D. M. (1990). Attributional style in paranoid vs. depressed patients. British Journal of Medical Psychology, 63, 355-363.

27.

Chakraborty, A. T., McKenzie, K. J., Hajat, S., & Stansfeld, S. A. (2009). Racism, mental illness and social support in the UK.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45(12), 1115-1124.

28.

Durand, V. M., & Barlow, D. H. (2006). Essentials of abnormal psychology(4th edition). Belmont, CA: Thomson Wardsworth.

29.

Friedman, A. F., Lewak, R., Nichols, D. S., & Webb, J. T. (2001). Psychological assessment with the MMPI-2.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30.

Greene, R. L. (1991). The MMPI-2/MMPI: An interpretive manual. Boston, MA: Allyn and Bacon.

31.

Kinderman, P., & Bentall, R. P. (1997). Causal attributions in paranoia and depression: internal, personal, and situational attributions for negative even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6(2), 341-345.

32.

Lachar, D. (1974). The MMPI: Clinical assessment and automated interpretation. Los Angeles,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33.

McKenzie, K. (2006). Racial discrimination and mental health. Psychiatry, 5(11), 383-387.

34.

Meissner, W. W. (2002). 편집증과 심리치료. (이재훈 역). 서울: 한국심리치료연구소. (원전은 1986년에 출판).

35.

Poussaint, A. (1999, 8, 26). They hate. They kill. Are they insane? New York Times, 17.

36.

Poussaint, A. (2002). Is extreme racism a mental illness? Yes: It can be a delusional symptom of psychotic disorder. The Western Journal of Medicine, 176(1), 4.

37.

Shapiro, D. (1965). Neurotic Styles. New York: Basic Books.

38.

Sue, D. W., Capodilupo, C. M., & Holder, A. M. B. (2008). Racial microaggressions in the life experience of Black Americans. Professional Psychology: Research and Practice, 39(3), 329- 336.

39.

Torgersen, S., Kringlen, I., & Cramer, V. (2001). The prevalence of personality disorders in a community sample. Arch Gen Psychiatry, 58(6), 590-596.

40.

Werner, D. (1984). Towards a theory of prejudice.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o-Analysis, 11, 407- 412.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