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61
  • E-ISSN1229-0661
  • KCI

해고근로자의 심리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Dismissed Workers’ Psychological Experiences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P)1229-0661; (E)1229-0661
2015, v.21 no.3, pp.355-376
임정선 (서울사이버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해고근로자들이 해고와 이후 실업기간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그 변화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으로 현상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6명의 해고근로자의 심리적 경험을 연구하였다. 해고 당시의 심리적 경험, 해고 이후 지속적인 심리적 또는 신체적 변화, 현재 상태 등을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분석해서 12개의 하위 주제와 이를 포괄하는 4개의 상위주제를 구성하였다. 중요상위주제는 ‘해고로 경험되는 감정’, ‘신체적 증상’, ‘사회적 인식에 대한 양상’, ‘해고에 대처하는 방식’이었다. 상위주제와 하위범주에 대하여 기술하고 이와 관련된 해고근로자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해고근로자의 변화 및 경험을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keywords
해고근로자, 해고, 실업, 현상학적 연구, dismissed workers, dismissal, unemployment, phenomenological research

Abstract

This study purposed to reveal the process of change in dismissed workers’ experiences at dismissal and the subsequent period of unemployment. For this purpose, six dismissed workers’ psychological experiences were explor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he workers on their psychological experiences at dismissal, continuous psychological or physical changes after dismissal, current state, etc. and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were derived 12 sub‐themes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four main themes. The four main themes were ‘emotions experienced with dismissal,’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patterns of social perception,’ ‘and ways of coping with dismissal.’ The main themes and their sub‐categories were described, and dismissed workers’ specific experiences related to them were explained. Lastly, dismissed workers’ changes and experiences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studies.

keywords
해고근로자, 해고, 실업, 현상학적 연구, dismissed workers, dismissal, unemployment, phenomenological research

참고문헌

1.

곽상신, 박명준 (2013). 쌍용자동차 사태: 원인 진단과 대안 모색. 노동리뷰, 4, 20-33.

2.

권지영 (2012). 당신의 어려움을 ‘와락’ 껴안는 와락센터의 기적-평택 쌍용자동차 실직가족 심리치유센터 ‘와락’센터 건립사례. 로컬리티 인문학, 8, 211-234.

3.

권 혁 (2010). 해고유형론에 관한 소고. 부산대학교 법학연구, 51(1), 713-735.

4.

김병숙 (2007). 직업심리학. 시그마프레스.

5.

김병숙, 김수정, 안윤정 (2009). 실업자의 심리적․신체적 반응 단계별 주요 증후군 분석. 진로교육연구, 22(1), 93-112.

6.

김병숙, 박선주, 김소영 (2007). 청년장기실업자의 증상중심 대응전략 결과분석. 한국진로교육학회, 20(3), 139-147.

7.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 Ⅰ. 서울: 문음사.

8.

박영신, 김의철 (2000). 경제불황기의 실직자와 직장인 스트레스 경험, 대처와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1), 85-117.

9.

백용매 (1999). 실직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예방적 접근. 동서정신과학, 2(1), 94- 115.

10.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외 (2004).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1.

오수성 (2001). 국제금융위기 후 실직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스트레스 대처양식, 자존감,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2), 481-496.

12.

이민규 (2000). 실직자의 정신건강과 강인성 및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3), 549-561.

13.

이훈구, 김인경, 박윤창 (2000). 경제불황이 20대 미취업 실업자에 미치는 심리적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6(2), 87- 101.

14.

장재윤, 장은영, 김범성, 노연희, 이지영, 한지현 (2004). 청년실업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121-144.

15.

정진주 (2001). 정리해고자의 삶의 질과 건강상태의 현주소와 대안을 찾아서. 노동사회, 59, 90-103.

16.

차민정, 박소영, 송현주, 노연희 (2012). 집합주의 문화가 청년실업에 대한 불안 지각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8(1), 27-51.

17.

최영기 (2009). 시사논단: 경제위기극복을 위한 사회적 대타협. 임금연구, 17(1), 70-91.

18.

한내 (2010). 해고는 살인이다. 금속노조 쌍용자동차지부 노동자역사. 한내.

19.

Creswell, J. W. (2010) 질적 연구방법론.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학지사(원전은 2007년에 출판).

20.

Cola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city press.

21.

Davison G. C., Neale J. M., & Kring A. M., (2005). 이상심리학. (이봉건 역). 시그마프레스(원전 은 2004년에 출판).

22.

Ehrhardt, G., & Hahn G. (1993). Verlaeufe und verarbeitungsformen von Arbeitslosigkeit: Ergebnisse einem Paneluntersuchung in Ostberlin. In Mitteilung aus der arbeitsmarkt und Berufsforschung der Bundesanstalt fuer Arbeit. MittAB 26.

23.

Fischer, G., & Riedesser, P. (2003). Lehrbuch der Psychotraumatologie. Basel: Ernst Reinhardt Verlag.

24.

Fryer D., & Payne R. (1984). Proactive behaviour in unemployment: Findings and implications. Leisure studies, 3, 273-295.

25.

Hawton, K., & Rose, N. C. (1986). unemployment and attempted suicide among men in Oxford. Health Trends, 18, 29-32.

26.

Jackson, P. R., & Warr, P. B. (1984). Unemployment and illhealth: The moderating role of duration and age. psychological Medicine, 14, 605-614.

27.

Kieselbach. T., & Beelmann, G. (2006). Arbeitslosigkeit Gesundheit: Stand der Forschung. In Hollederer A., Brand H.(Hrsg.), Arbeitslosigkeit, Gesundheit und Krankheit. Bern: Verlag Hans Huber.

28.

Kulik L. (2000). Jobless man and women: A comparative analysis of job search intensity, attitudes toward employmennt, and related reponse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3, 487-500.

29.

Lazarus, R. S., & Folkman, S. (1987).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30.

Mash, E. J., & Wolfe, D.A. (2004) 아동이상심리학. (조현춘, 송영혜, 조현재 공역). 시그마프레스(원전은 1999년에 출판).

31.

Mohr G. (1993). Ausgezaelt. Theoretische und empirische Beitraege zur Psychologie der Frauenerwerbslosigkeit. Weinheim: Deutscher Studien Verlag.

32.

Paul, K. I., Hassel A., & Moser, K. (2006). Die Auswirkung von Arbeitslosigkeit auf die psychische Gesundheit: Befunde einer quantitativen Forschungsintegration. In Hollederer A., Brand H.(Hrsg.), Arbeitslosigkeit, Gesundheit und Krankheit. Bern: Verlag Hans Huber.

33.

Platt, S., & Kreitman, N. (1990). Long-term trends in parasuicide and unemployment in Edinburgh, 1968-1987.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logy, 25, 56-61.

34.

Starrin B, Rantakeisu U., Forsberg E., & Kalander-Blomqvist M. (2000). Undertanding the health consequences of unemployment - the financial/shame model. In T. Kieselbach (Ed.), Youth unemployment and health. A comparision of six European countries. Opladen: Leske+Budrich.

35.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s of Qualitiative Research: Techniques &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6.

Rantakeisu U., Starrin B., & Hagquist, C. (1997). Unemployment, shame and ill health- an exploratory study. scandinnnavi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 6(1).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